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복잡한 시장에서 승리하기

스티븐 윌슨 ⟪복잡성과의 전쟁⟫ 저자의 직강 요약

by KEN Mar 17. 2025
복잡성은, 기업 운영에서 반드시 제어해야 하는 핵심 요소 중의 하나입니다. 

겉으로는 흑자를 기록하며 호황을 누리는 기업이라 할지라도, 내외부의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통제하지 못하면 흑자 도산에 이를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 운영의 냉혹한 현실입니다. 예를 들어, 작은 편의점을 운영하는 경우에도 상품 관리의 복잡성, 아르바이트 직원 운영 등의 요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복잡성과의 전쟁⟫과 ⟪복잡성 시대의 성장의 역설⟫을 저술한 스티븐 윌슨(주1)의 복잡성 관리에 대한 강의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효과적인 복잡도의 관리를 통해 견실한 기업으로 성장하시기를 기대합니다. 


[목차]

 I. 복잡성 관련 웨비나 내용 요약
II. Winning in Complex Markets 발표자료 시청


I. 복잡성 관련 웨비나(Webinar) 내용요약


1. 개요 및 웨비나 목적

  - 글로벌 비즈니스 운영에서 발생하는 복잡성과 그로 인한 운영 및 재무 성과 저하 문제를 논의하는 자리.

  - Wilson Perumal & Company(WPNC)와 월스트리트 저널이 공동 개발한 글로벌 시장 복잡성 지수(GMCI, Global Market Complexity Index) 소개.

    .. GMCI는 시장(Market), 운영(Operational), 규제(Regulatory) 복잡성을 분석하는 도구로, 글로벌 기업들이 각국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

  - 이번 웨비나의 목표: 다국적 기업이 직면하는 복잡성을 이해하고, 단순한 시장 규모나 지리적 인접성이 아닌 복잡성을 고려한 글로벌 확장 전략을 고민하며, 복잡한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전략을 탐색하는 것.


2. GMCI 개요

  - GMCI는 100개국을 대상으로 시장, 운영, 규제 복잡성을 분석한 세계 유일의 지수.

  - 주요 데이터 출처: 세계은행(World Bank) 및 기타 글로벌 기관.

  - GMCI는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해 국가들을 복잡성 프로파일별로 클러스터링(그룹화)함.

  - 이를 통해 기업이 자신의 역량과 맞는 시장을 탐색하고, 비슷한 복잡성을 가진 국가들에서 확장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음.

국가 그룹 분류 예시

  - 그룹 1: 낮은 복잡성(선진국) – 호주, 오스트리아, 홍콩, 싱가포르 등

  - 그룹 4: 높은 운영/규제 복잡성 – 대규모 시장이지만 진입 장벽이 높은 국가들

  - 그룹 6~8: 높은 규제 및 운영 복잡성 – 신흥국 중심


3. 기업이 직면하는 복잡성의 영향

  - 조직 내부 복잡성 증가:

    .. 제품, 기술, 공급망, 채널의 다양성이 증가하며 복잡성이 증대됨.

    .. 특히 디지털 전환, 팬데믹 이후 새로운 근무 방식 등이 추가적인 혼란을 야기.

  - 이익 감소:

    .. 제품/고객 포트폴리오가 복잡해질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저하됨.

    .. 일부 고객이나 제품이 기업의 전체 이익에 기여하지만, 나머지는 수익을 잠식하는 경우가 많음.

  - 성장 둔화(Growth Paradox):

    .. 더 많은 시장을 확보하려다 보면 오히려 운영이 비효율적으로 변하고 성장 속도가 느려짐.

    .. 글로벌 확장 시 운영 복잡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기업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음.

  - 의사결정 지연:

    .. 복잡성이 높은 조직에서는 중요한 결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음.

    .. 조직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면 전략적 대응 속도가 둔화됨.

복잡한 시장의 도전과 그 영향

1. 복잡한 시장에서의 다중 효과 (Multiplier Effect of Complex Markets)
  -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 운영의 복잡성은 시장(Market), 운영(Operational), 규제(Regulatory) 세 가지 축에서 발생.
  - 복잡성이 증가하면 기업이 요구하는 역량과 비용 부담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 기업이 한 국가를 넘어 다국적, 지역 간 운영을 확장할수록 복잡성이 가중됨.  

2. 복잡성 큐브(The Complexity Cube)
  - 세 가지 주요 복잡성 요소
    (1) 시장(Market): 소비자 수요, 경쟁 환경 등
    (2) 운영(Operational): 제품, 프로세스, 조직의 복잡성
    (3) 규제(Regulatory): 국가별 법규, 규제 절차
  - 큐브의 핵심 개념
    .. 기업의 활동 중 “가치 창출(Value Add)” 부분과 “비가치 창출(Non-Value Add)” 부분을 구별해야 함.
    .. 불필요한 복잡성을 줄이는 것이 기업의 수익성과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전략.

3. 복잡성이 증가하는 단계
  ① 제품·프로세스·조직 복잡성 증가
  ② 국가 간 운영 확대 (Operating Out of Country)
  ③ 지역 간 조정 필요 (Coordinating Across Region)
  ④ 시장·운영·규제 복잡성 심화 (Market - Operational - Regulatory Complexity)
  ⑤ 기업이 새로운 역량을 요구받음 (Different Competencies Required)
→ 단계가 올라갈수록 기업이 맞춰야 할 변수와 요구되는 운영 역량이 증가하며, 효율적인 관리 전략이 필수.

4. 기업 리더십의 대응 필요성
  - Johnson & Johnson의 전 CEO, Alex Gorsky의 발언
    .. “오늘날 글로벌 헬스케어 및 소비자 환경의 복잡성은 전례 없는 집중력(focus), 혁신(innovation), 그리고 민첩성(agility)을 요구한다.”
    .. 기업은 단순히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아니라,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능력이 경쟁 우위를 좌우한다.

핵심 시사점
  -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 요인
  - 시장, 운영, 규제의 복잡성을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전략 필요
  - 기업의 운영 모델을 최적화하여 비효율적인 복잡성을 줄이고 가치 창출을 극대화
  - 경쟁력 있는 글로벌 기업이 되려면 집중력, 혁신, 민첩성을 기반으로 한 전략적 대응 필수



4. GMCI의 적용과 활용 사례


① GMCI를 활용한 글로벌 확장 전략

  - 기존의 글로벌 확장은 주로 지리적 인접성, 언어, 시장 규모에 초점을 맞췄지만,

  - GMCI는 규제 및 운영 복잡성까지 고려해야 함을 강조.

  - 예: 인도네시아에서 성공했다고 해서 필리핀/말레이시아보다 가나, 자메이카, 남아공과 유사한 환경을 갖추고 있을 수도 있음.


② IKEA 사례 연구

  - IKEA는 글로벌 확장을 단계적으로 진행했으며, GMCI에서 낮은 복잡성 그룹(13)에 먼저 진출 후 점진적으로 높은 복잡성 그룹(48)으로 확장.

  - 이를 통해 각 단계에서 운영 역량을 쌓으며 확장 전략을 최적화함.


③ 동남아시아 국가 분석 (2023 GMCI 기준)

  - 동남아 6개국(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베트남, 필리핀)은 5개의 다른 복잡성 그룹에 속함.

  - 싱가포르: 낮은 복잡성, 높은 경제 효율성 → 글로벌 기업들에게 매력적인 시장.

  - 인도네시아: 높은 규제 복잡성, 다양한 시장 특성 →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높은 적응력이 필요.

  - GMCI는 단순한 경제적 기회뿐만 아니라 운영 및 규제 복잡성을 고려한 시장 진출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지원.




5. 글로벌 복잡성이 기업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 GMCI 연구 결과:

    .. 기업이 더 많은 복잡성 그룹에 진출할수록 수익성(영업이익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 예: FedEx vs. UPS, P&G vs. Unilever → 더 많은 복잡한 시장에서 운영할수록 수익성이 낮아지는 경향.

  - 기업이 고려해야 할 요소

    .. 진입할 시장을 신중히 선택(단순한 시장 크기보다 운영 복잡성 고려).

    .. 현지 맞춤형 운영 전략 개발(각 국가의 운영 및 규제 특성에 맞춘 운영 모델 도입).

    .. 지나치게 많은 시장에서 운영하지 않도록 전략적 선택(불필요한 복잡성을 줄이는 것이 중요).

Deep Dive: Footprint Complexity Score (FCS) 요약

1. 개요: FCS (Footprint Complexity Score)란?
  - 기업의 글로벌 운영 확장이 지리적 복잡성을 얼마나 증가시켰는지를 수치화한 지표.
  - 기존에는 정성적으로 평가되던 기업의 글로벌 운영 복잡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도구.
  - 기업이 본래 위치했던 복잡성 그룹과 새롭게 확장한 시장 간의 차이를 수치화하여 평가.

2. Compass Group 사례: 과도한 확장에서 회복까지
  - Compass Group은 2006년 80개국 이상에서 운영하며 과도하게 확장된 글로벌 footprint를 가짐.
  - 이후 2013년까지 절반 수준(약 50개국)으로 축소하면서 운영을 최적화.
  - 그 결과 자유 현금 흐름(Free Cash Flow) 및 영업 이익(Operating Profit) 증가.
  - 핵심 교훈: 지나친 글로벌 확장은 운영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수익성을 저하시킬 위험이 있음.

3. 다국적 기업과 Footprint Complexity Score (FCS) 비교 분석
  - FCS가 낮을수록(운영 복잡성이 낮을수록) 영업 이익률(Operating Margin)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
    .. McDonald’s, P&G, Coca-Cola → 낮은 FCS, 높은 영업 이익률.
    .. FedEx, Compass (2006년 기준) → 높은 FCS, 낮은 영업 이익률.
    .. Compass는 2013년 기준으로 FCS를 줄이면서 운영 마진을 개선.

4. 주요 시사점
 - FCS를 0.25 개선하면 영업 마진이 평균 4.3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 기업의 글로벌 확장 전략은 단순한 시장 확대가 아니라 운영 복잡성을 고려해야 함.
 - 과도한 글로벌 운영 확장은 비용 증가와 수익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음.
 - 보다 전략적인 시장 선택 및 운영 최적화가 기업의 장기적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결론: 기업이 글로벌 확장을 추진할 때 무조건적인 시장 확대보다 Footprint Complexity Score를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함.



6.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대응 방안



① 재무적 포지션 및 글로벌 전략 평가

  - GMCI를 활용해 현재 운영 국가들의 복잡성 프로파일을 평가하고, 경쟁사와 비교.

  - 복잡성이 높은 국가에서의 운영 방식이 기업 수익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② 시장 참여 전략 재설정

  - 새로운 시장 진입 및 기존 시장 철수를 고려할 때 GMCI 데이터를 활용해 신중한 결정을 내릴 것.

  - 제품 포트폴리오 최적화: 모든 국가에서 동일한 제품 라인을 운영하는 것이 아닌, 시장별 특성에 맞게 조정.


③ 운영 모델 최적화

  - 복잡성이 높은 국가에서는 지역 기반 운영 전략을 최적화해야 함.

  - 단순한 지리적 인접성 기준이 아닌, GMCI 그룹을 기반으로 한 운영 모델을 구축.

  - 예: 동남아 시장을 하나의 그룹으로 보기보다 동남아 일부 국가와 남미 일부 국가를 같은 그룹으로 묶어 운영할 수도 있음.



7. 결론 및 핵심 시사점

  - 복잡성은 기업이 직면하는 주요 도전 과제이며, 비용 상승, 성장 저하, 실행 지연 등의 문제를 유발.

  - GMCI는 단순한 시장 규모 분석이 아닌, 국가별 복잡성을 고려한 글로벌 전략 수립에 유용한 도구.

  - 기업들은 GMCI 데이터를 활용해 글로벌 확장 전략을 최적화하고,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

  - 복잡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


현대 글로벌 기업들은 단순히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별 복잡성을 고려한 최적의 운영 모델을 설계하는 것이 성공의 핵심임.



II. Winning in Complex Markets 강연 자료 시청



[참고]

(주1) Stephen Wilson 

Wilson Perumal & Company (WP&C)의 공동 창립자이자 Managing Partner입니다. 그는 글로벌 시장 복잡성 지수(GMCI)의 개발을 주도했으며, 이는 기업들이 지리적 확장 기회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데 도움을 주는 분석 프레임워크입니다.


- WP&C의 공동 창립자 및 Managing Partner로서 다국적 기업, 사모펀드 및 헤지펀드의 고위 경영진과 긴밀히 협력하여 중요한 전략 및 운영 문제를 해결합니다.

- 산업재, 소비재, 소매 및 비즈니스 서비스 분야에서 깊은 산업 지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MIT Sloan Management Review를 포함한 저널에 정기적으로 기고하고 있습니다.


- "Growth in the Age of Complexity", "Waging War on Complexity Costs", "Conquering Complexity in Your Business" 등 3권의 책의 공동 저자입니다.

- GMCI 개발을 주도했으며, 이는 The Wall Street Journal과 협력하여 만들어졌습니다.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 스쿨에서 재무 및 전략 경영으로 MBA를 취득했습니다.


Stephen Wilson은 복잡성 관리 분야의 선구자로, GMCI를 통해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그의 연구와 저서는 기업들이 복잡한 글로벌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경쟁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제도적 허영'에 빠졌다는 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