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메밀 Oct 21. 2023

나를 살린 성취경험

    여러분의 첫 성취 경험은 무엇인가요? 제 경우엔 D대학교 편입전형에 합격한 것입니다. 전적대에서 1~2학년을 마치고 입시 전형을 거쳐 3학년으로 입학하는 제도를 편입이라고 하는데, 저는 1~2학년 때 다닌 대학교와 3~4학년 때 다닌 대학교가 다른 편입생입니다.


    보통 주위에 물으면 고등학교 3학년 때 대입준비를 하면서 이러한 성취경험을 하더라고요. 그런데 전 고등학생 때에는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았어요. 공부를 해야 할 이유를 찾지 못했거든요. 그렇게 대충 성적에 맞는 대학교 중에서 마음에 드는 과를 골라서 원서를 넣었고, 합격한 대학교에 다니게 됐습니다. 아무 노력을 하지 않은 것은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열정을 기울이지도 않았죠.


    편입을 하고 싶었던 가장 큰 이유는 나도 할 수 있다는 것을 스스로에게 증명하고 싶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무엇을 하던 진심으로 노력해 본 적이 없다는 것을 전 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실수도 능력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스스로 생각하는 잠재력의 크기와 실제 능력에는 차이가 크다고 생각해요. 무엇이든 생각이나 상상에 그치지 않고 실제 실행되어야 의미가 있죠. 


    하지만 저는 그동안 내내, ‘지금 진심으로 열심히 하지 않아서 이런 점수인 거지, 진짜로 열심히 하면 원하는 성적을 받을 수 있을걸?’이라고 생각만 하며 살았어요. 그렇지만 실제로는 성공한 적이 없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저는 성취한 적이 없는 사람인 거예요. 이것이 주는 자괴감과 스스로에 대한 불신이 대단했습니다. 도전하고 싶은 것이 생길 때마다 시작하기도 전에 단정 짓기 일쑤였어요.


'보나 마나 또 할 수 있다고 생각만 하고 그에 필요한 노력은 안 할 텐데. 내가 진짜 할 수 있나? 흐지부지 되고 실패할 것 같은데, 그냥 하지 말자. 내가 할 수 있겠어? 어차피 실패할 텐데. 지금까지 그렇게 살았잖아.'


스무 살의 어느 날,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계속 이대로 살아도 되나?


안 될 것 같았어요. 나 자신에게 당당한 사람이 되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이루어 낼 수단을 찾기 시작했는데, 당시엔 대학 편입이 가장 성공확률이 높은 목표였어요. 물론 대학의 순위나 우리나라의 학벌구조에서 오는 압박감도 있었고, “좋은”대학교를 다니는 친구들을 보며 가지는 자격지심도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그것보단 나 자신에 대한 도전이라는 생각이 더 강했어요. 


첫 대학교가 별로인 건 아니었습니다. 믿을 수 있는 친구들을 얻었고, 공부하고 싶었던 걸 배우면서 행복했습니다. 그렇지만 그때의 저에겐 새로운 시도가 필요했어요.


그렇게 편입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2학년 학교생활과 병행하느라 정말 바쁘게 보냈던 기억이 나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인터넷 카페에 가입하고, 학교 입학처마다 접속해 모집요강을 분석하고...... 학점과 토익 점수로 평가하는 전형을 준비하느라 학교 공부도 영어 공부도 놓칠 수 없어서 힘들었어요. 그렇지만 온전히 나의 결심으로 한 선택이며, 비로소 내 인생에 매진하고 있다는 느낌을 처음으로 받아 뿌듯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저는 합격했습니다. 

내 의지로 찾아보고 준비해서 이루어낸 첫 경험… 얼마나 소중하던지요.


이 긴 과정에서 얻은 것들 중에 가장 감사한 것은 대학 간판도, 부모와 친구들의 축하도 아닌

'아, 나도 노력하면 할 수 있는 사람이었구나'라는 자신감이었어요. 우울하고 무기력해서 힘들 때마다 저 문장을 떠올리며 버텨낸 것 같습니다. 저는 이 성취 경험이 저를 살려냈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저는 암울하고 지치고 슬퍼도, 할 수 있는 사람이니까요.



이전 01화 아주 전형적인 우울증입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