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교양 있는 아줌마 Dec 01. 2022

아이가 짜증을 낼 때  왜 나는 같이 싸우는 걸까

미스테리하다.

아이가 짜증을 낼 때 나는 온화한 엄마로서 감싸주지 못하고,

'그래, 싸우자.'라며 나에게 도전장을 내민것으로 간주하고 더 큰 목소리로 대꾸한다.

나의 이런 행태가 궁금했다.

가끔은 아무렇지 않게 반응하고 필요한 게 있으면 채워주다가

더 자주는 아이의 그러한 모습이 용납되지 않고

나는 가만히 있었는데

아이가 갑자기 달라들어 화나게 했다는 구실하에

똑같이 상대한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이 순간에 내가 어떠한 반응을 적절하게 해야 되는지 모르겠다.

'에라 모르겠다.' 하고 나의 습성이 튀어나와 버럭 성질을

낼 뿐이다.

아이가 짜증을 내는 것은 몸이 피곤한 것이거나 불편한 마음 때문인 것이니

모른 척 하고 자연스럽게 대하면 되는 걸까.

그러다 엄마를 만만히 보면 어떡하지.

그러다 버릇 나빠지는 거 아닐까.

그러다 짜증내는 것이 습관이 되어 늘 그렇게 말본새를 하면 어떡하지.

불안이 스멀스멀 올라온다.


짜증을 왜 내는지 아이의 마음을 보아야 하는데,

내 맘대로 아이의 행동 결과에만 초점을 맞추고 그 이후의 일까지 하지 않아도 되는

걱정을 하고 있다.

왜 이런 사고 패턴이 생기는 걸까?

아이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왜 이런 행동을 하는지 행동의 원인과 그 때의 마음을 살펴주고

헤아려주어야 하는데 왜 나는 행동의 결과만 보고

짜증과 온갖 화를 내는 저 아이의

일그러진 표정과 말투만 귀에 꽂히는 걸까.

'자식은 예의없게 부모한테 화를 내면 안된다'는 비합리적 신념이 발동한 것일까.

내가 어렸을 적 감정 터치를 받은 적이 많지 않아서 대꾸할 방법을 몰라서 그러는 걸까.


나에게도 과정은 있었다.

나의 태도가 문제라고 느낀 후 몇 가지의 진전들이 있었다.

아이가 화, 짜증 이러한 감정이 들 때 엄마가 수용을 안 해 주고, 자꾸 '짜증 좀 내지마'라고

말을 하면 그러한 부정적인 감정은 좋지 못한 감정이고 숨겨야 할 감정이라고 생각할까봐

걱정이 들었다.

그런 생각이 든 후에는 감정은 수용하되 표현법이 잘 못 되었음을 알려주자.로 바꾸었는데

그것 또한 문제였다.

주저리, 주저리, 말투는 아이와 똑같이 짜증이 한 가득나서 "왜이렇게 짜증이 난거야.

짜증이 나면 엄마한테 뭐 때문에 그러는지 말로 해야지~"라며 면박을 주었다.

이럴바엔 감정 수용이라도 해줘야겠다. 라고 다짐하고 다음 번 상황에 대비하였다.

하지만 그 때도 마찬가지로 문제였다.

벌써 아니~라는 말이 습관적으로 나와버렸다.

"아니 ~ 왜~ 짜증이 났어~~~'라며 타박했다.

따스한 눈빛과 포용적인 말투로 "땡땡아, 기분이 안좋아? 무슨 일 있었어?"라고 해야 했다.

텍스쳐는 완벽했는데 아쉬웠다.

다음 번의 또 도전이 다가왔을 때는 의식적으로라도, 인위적이더라도 아이의 마음을 물어봤다.

돌아오는 대답은 차가웠다.

"아니~ 그러니까 이게 왜 이러는 거냐고~~ 엄마가 이렇게 안해줬잖아~~"

아이는 나의 '아니~~' 를 습득하고, 타인의 잘못으로 돌리는 방법 또한 소화하여 나에게 되돌려 주었다.


흠. 그래서 최근에는 그 상황을 모른 척 넘어가는 데 자꾸 비논리적인 불안들이

떠올라 내가 화를 내도록 하는 원인 제공을 한다.

불안이 떠올랐을 때는 그 불안에 휩싸이지 않게 화로 덮어버려야 제맛이지. 하는

악귀가 씌는 것 같다.

새로운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내 습성을 따르도록 하는 악귀 말이다.


포용력. 나에게 부족한 것이다.

그 순간의 감정에 휩싸여서 그럴 수 있다.

아직 미성숙한 아이이다.

가르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감정 수용과 끌어안음이다.

다른 감정들과 선 긋지 말고 부정적 감정 또한 껴안아야겠다.

제일 중요한 것은 모델링이 잘 될 수 있도록 하는 나의 역할이다.

엄마가 잔소리로 '화날 때는 이렇게 해야 한다 '라고 백번 말하는 것보다

긍정적, 올바른 반응을 보여주면 알아서 체득할 것이다.

결국에는 내가 고쳐야 한다는 말인데 참. 쓰읍.


이전 01화 왜 아이의 우는 소리나 짜증내는 소리가 듣기 싫을까.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