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커피 노트 Oct 30. 2022

한국 카페문화의 3세대


대형 카페 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앞서

우리는 한국 카페 문화의 트렌드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간단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한국 카페 문화의 트렌드를 총 3세대로 나누어 간략하게 훑어보겠다.

참고로 이 시기는 보기 편하도록 필자가 분류한 것이기 때문에 따로 시기가 규정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미리 전하는 바다.





한국 카페 문화 1세대

한국의 카페 문화는 1999년 스타벅스가 도입됨과 동시에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 단계는 한국 카페 문화의 초기에 해당한다.

스타벅스가 도입된 이후 한국에는 카페베네, 파스쿠찌, 투썸플레이스 등의 

다양한 프랜차이즈 커피숍들이 들어서게 되었으며, 이후 한국은 2010년대 중반까지

프랜차이즈 커피숍들에 의해 커피 문화가 발전해 나아가는 ’ 프랜차이즈 커피숍의 전성기‘를 거쳐간다.

     

물론 과거 ’ 프랜차이즈 커피숍 전성기‘에도 개인이 운영하는 자가 커피숍이

존재하기는 했지만 지금처럼 그 수가 많지 않았으며, 이용하는 고객들 또한 지금과 같이

많지 않았기 때문에 비주류의 카페 문화라는 경향이 강했었다.

여기에 해당하는 세대를 '한국 카페 문화 1세대'라고 칭하겠다.     




한국 카페 문화 2세대

그러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국의 카페 이용객들은 획일화된 프랜차이즈 커피숍에 실증을

느끼게 됨과 동시에 이제는 커피의 맛이 아닌 카페라는 공간에서의 경험을 중요시하게 되며

그렇게 사람들은 프랜차이즈 커피숍이 아닌 특색 있고 개성 있는 카페를 찾게 나서게 된다.

그 결과 한국은 카페마다의 개성이 뚜렷한 자가 커피숍 열풍이 불기 시작하게 돼

이에 해당하는 세대를 '한국 카페 문화 2세대'라고 칭하겠다.          




한국 카페 문화 3세대

그다음은 현재 우리가 맞이하고 있는 '한국 카페 문화의 3세대' 바로 대형 카페 문화다.     

한국 대형 커피숍들은 일반적으로 200평부터 크게는 1만 평 이상의 면적을 보유하고 있는 곳들도 있다.

대형 카페라는 문화가 한국의 독자적인 문화라고 말할 수 있는 이유는  

대형 카페는 외국에도 존재하기는 하지만 한국만큼 매장의 개수가 많지도 않을뿐더러

존재한다 하더라도 트렌드를 이끄는 주류의 커피 문화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대형 커피숍 문화는 한국 커피 문화의 주류 문화로 자리 잡게 된 것인지

다양한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전 04화 팬데믹 시대를 거치며 증명된 한국의 커피문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