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커피 노트 Oct 30. 2022

사람들이 대형 카페를 찾는 이유 (1)



그렇다면 이제 대형 카페 문화가 어떻게 한국 커피 문화의 트렌드로 자리 잡게 되었는지에 대해

총 다섯 가지 근거를 들어 살펴보겠다.




  


첫 번째 '개방감과 큰 공간에서 오는 안정감'



대형 카페의 넓은 공간과 높은 층고로 인해 이전의 평범한 크기의 카페 공간에서는

느낄 수 없는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는 공간적인 요소 때문이다.

실제로 대형 카페를 방문했을 때 큰 공간으로부터 오는 편안함은 ’ 대성당 효과‘라는 개념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데, ’ 대성당 효과‘란 사람은 층고가 낮은 곳에서는 구체적이고

꼼꼼한 인지활동이 촉진되며 반대로 층고가 높은 곳에서는 자유로움을 느끼고 창의성과

추상적 사고의 인지활동이 촉진되는 효과다.

 

그렇기 때문에 층고가 높은 대형 카페는 닫혀 있는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일반적인 규모의 카페를 이용할 때보다 층고가 높고 넓은 공간에 속해있을 때 자유로움과

편안함을 느끼는 것으로, 이러한 공간이 주는 편안함은 사람들로 하여금

대형 카페를 찾아오게 만드는 충분히 매력적이 요소다.




두 번째 '자연의 경관과 어우러진 점'


대형 카페는 도심 속에 존재하기도 하지만 상당수의 대형 카페는

산, 바다, 호수 등 자연경관과 함께 어우러져 있으며, 도시가 아닌 비교적 시골 외지에 위치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자연 속 대형 카페는 교통체증, 매캐한 매연, 빽빽하게 들어선 건물로부터

도시 속의 삶에 지친 사람들이 벗어나 쉴 수 있는 휴식처가 되어주기에 충분했다.




   

세 번째 '가족과의 방문하기 좋은 카페'    


사람들이 대형 카페를 찾는 이유 중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기 좋은 장소라는 점은

대형 카페를 한 번이라도 가본 사람이라면 결코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어떻게 대형 카페는 일반적인 카페와 다르게 가족 간의 방문이 가능한 것일까?

바로 그 이유는 대형 카페가 '부모세대와 자녀세대 각자의 니즈를 충족시켜주었기 때문'이다.


우선 부모세대의 니즈를 충족시킨 점은 바로 위에서 언급한 대형 카페가 대부분 자연 속에 위치했다는

사실이다. 앞서 말했듯 대형 카페는 카페의 규모 특성상 비교적 도심으로부터

멀리 떨이진 외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카페 주변에는 자연스럽게 산, 호수, 바다 등

자연경관이 함께 어우러져 있다.  이처럼 자연경관과 대형 카페가 함께 어우러진 점은

자연경관을 바라보며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대부분 부모세대들의 니즈를

충족시켜준다고 볼 수 있다.      


그다음 자녀세대의 니즈를 충족시켜준 것은 대형 카페라는 공간은

SNS에 업로드하기 좋은 장소이기 때문이다.

그 SNS는 바로 인스타그램이라는 어플로 현재 한국의 거의 모든 10대 20대에서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높은 이용률을 보이고 있는 대세 어플이다.


대형 카페가 자녀세대들이 인스타그램에 업로드하기 좋은 장소라는 뜻을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 인스타그램의 특성‘ '10대 20대들에게'서 두드러지는

특성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인스타그램= 찰나의 모습이 곧 나의 전부가 되는 곳


인스타그램은 자신이 먹은 것이나 방문한 장소에 대해 사진 혹은 동영상들로

또 다른 자신의 자아가 규정되는 곳, 즉 찰나의 모습이 곧 나의 전부가 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스타그램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서의 자신을 멋있게 보이기 위해

자신이 얼마나 멋지고 좋은 장소를 방문하였는지 또는 얼마나 비싸고 맛있는 음식을

먹었는지에 대해 자랑하듯 올리는 경향이 짙어졌다. (물론 아닌 사람도 있지만 일반적인)


한마디로 ’ 인스타그램의 특성’의 핵심은 누가 더 멋지고 예쁜 곳에 방문하며,

비싼 음식을 잘 먹고 잘 사는가를 표현하는 과시의 경향이 짙게 표현되는 공간이라 말할 수 있겠다.


이러한 '인스타그램의 특성'은 인스타그램의 주 사용 연령층인

10대 20대들의 '남에게 보이는 것이 중요한 특성'과 맞물리게 되었고 ,

자연경관과 어우러진 그리고 개성 있는 대형 카페들은 그들의 인스타그램에 업로드할

공간이 되어주기에 충분한 무대였던 것이다.      


이전 05화 한국 카페문화의 3세대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