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래옥에서도 맛을 못 느낀다면, 평양냉면과는 인연이 없는 겁니다
평양냉면은 언제나 호불호가 갈리는 음식입니다.
"이걸 왜 먹는지 모르겠다" 라는 사람과 "이 깊은 맛을 모르는 사람은 미각이 없는 것이다"라는 사람 사이의 논쟁은 끊이질 않습니다.
저도 사실 전자에 가까웠습니다. 몇 번 먹어봤지만, 제 입에는 밍밍하고 감흥 없는 음식이었죠. 마치 처음 탄산수를 마셨을 때처럼, 뭔가 익숙한 맛이 빠진 듯한 낯선 느낌이었습니다.
그런데 누군가 이런 말을 하더군요.
"서울 우래옥에서도 평양냉면의 맛을 못 느낀다면, 당신과 평양냉면은 인연이 없는 것이다."
그 말을 듣고 나니 한 번쯤 제대로 먹어보고 싶어졌습니다. 마침 서울 출장이 있었고, 그렇게 우래옥을 찾았습니다.
우래옥(又來屋), 이 이름에는 특별한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1946년 해방 직후 문을 열었지만, 전쟁으로 인해 피난을 가야 했고, 다시 서울로 돌아와 가게를 열면서 "다시 돌아온 집"이라는 뜻으로 우래옥이라 이름 지었다고 합니다.
시간이 약간 이른지 모르겠지만 웨이팅 없이 입장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한여름, 특히 점심과 저녁 시간에는 발 디딜 틈도 없다고 하더군요. 가게에 들어서니 세월이 느껴지는 실내 분위기가 인상적이었습니다.
드디어 평양냉면이 나왔습니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뜨거운 국물 대신, 맑고 차가운 육수가 담긴 그릇. 차분한 빛깔의 면발. 군더더기 없이 정갈한 비주얼이었습니다. 한 젓가락 집어 들어 조심스럽게 입에 넣었습니다.
"오, 이건 다르다."
예전에 먹었던 평냉면과는 확실히 달랐습니다. 간이 약한 차가운 갈비탕에 국수를 말아 먹는 느낌이라고 해야 할까요. 강한 자극은 없지만, 은은하게 퍼지는 깊은 맛이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잘 몰라도, 한 입 두 입 먹다 보면 고기의 감칠맛과 담백한 육향이 천천히 입안에 퍼지는 묘한 매력.
하지만 여전히 평양냉면이 호불호가 갈리는 이유도 알 것 같았습니다. 익숙한 강한 자극을 기대하는 사람에게는 밍밍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죠.
우리는 흔히 "정통 평양냉면"이라고 부르지만, 사실 북한과의 교류가 단절된 지 70년이 넘었습니다.
과연 지금 우리가 먹는 이 평양냉면이 북한의 그것과 같은 맛일까요? 오히려 "서울식 평양냉면"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정확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그런 생각도 잠시, 다시 젓가락을 들고 면을 집어 올렸습니다. 맛의 기원이 어디든, 이 순간 중요한 것은 단 하나 입니다. 맛이 있냐 없냐?
예전에는 맛없고 비싼 음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가끔 생각날 때 찾아도 괜찮을 만큼의 음식이 되었습니다.
왜 평양냉면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극찬하는지, 그 포인트가 이제야 조금 이해가 됩니다.
물론 저한테는 새콤달콤한 냉면이 더 잘 맞는 것 같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