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히치콕의 『사이코』에 나타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남자의 첫 사랑

by 배학수 Dec 19. 2024

[영화로 보는 인간의 마음]

남자의 첫 사랑: 히치콕의 『사이코』에 나타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분석   

  

“친구? 왜 친구가 필요하죠? 남자의 베스트 프렌드는 어머니거든요.” 젊고 아름다운 여자가 역시 젊은 미남에게 같이 놀러 다니는 친구가 있느냐고 묻자, 남자는 기분 나쁜 웃음을 지으며 응답한다. 여자는 히치콕 감독의 영화 싸이코(Psycho,1960)의 주인공 마리온 크레인(배우: 자넷 리))이며, 남자는 모텔을 경영하는 노먼 베이츠(배우: 안소니 퍼킨스)이다. 여자는 장거리 운전을 하다가 밤이 되고 비가 억수같이 내리자, 고속도로를 빠져나가 모텔에 들어갔다. 이 모텔은 객실 건물과 주인이 거주하는 고딕풍의 저택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차 소리를 듣고 주인이 내려와 사무실에서 여자로부터 숙박계를 받는다. 이 모텔은 외딴 곳에 위치하여 숙박 손님이 거의 없고, 오늘도 손님은 이 여자뿐이다. 젊은 미남과 미녀가 모텔에서 만났다. 무슨 일이 벌어지는 것이 자연스러운가?     


어머니는 아들의 여자를 질투한다  

   

남자는 여자의 매력에 홀려 자기 집에서 저녁 식사를 하자고 제안한다. 마리온 역시 노먼이 마음에 들어 그것을 수락한다. 마리온이 객실에 들어가 짐을 정리하는데, 거칠며 분노로 톤이 올라간 여자 목소리가 들린다. “안돼. 안 된다고 했잖아!” 마리온이 객실의 창문을 열자, 소리가 객실 건물 뒤의 저택에서 나온다는 점을 깨닫는다.    

  

여자 목소리: ”난 용납할 수 없어. 네가 낯선 여자를 집에 초대해 저녁을 대접하다니.“ 

노먼: “어머니, 제발 그러지 마세요.”

여자 목소리:“저녁 먹고 뭘 할건데? 음악 들어, 아니면 둘이 서로 속삭이며 대화를 나눠?”

노먼: “어머니. 그 여자는 손님이잖아요?”

여자 목소리: “왜, 남자는 낯선 여자하고도 자고 싶은 욕망을 품잖아?” ... 

당장 가서 말해라. 그년이 내 음식도, 내 아들에게도 입맛을 다시지 못하게 할거라구.“ 

    

아들이 여자 친구를 저녁 식사에 초대하는 것을 어머니가 반대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 장면은 노먼이 어머니 역을 하며 혼자서 대화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 사실은 10년 전에 노먼이 어머니와 남자 친구를 살해했다. 노먼은 마치 어머니가 연인을 살해하고 자신도 자살한 것처럼 위장하여 경찰은 사건을 그렇게 처리했다. 어머니의 시체를 매장할 때 노먼은 관에 돌을 채워 넣어 묘지에 매장한 후, 어머니의 시체를 빼돌려 미이라로 만들어 과일 창고에 보관한다. 이렇게 어머니의 육체는 노먼 곁에 언제나 존재하는 것이다. 


     

한 사람의 마음속에 두 사람이 거주한다


육체뿐 아니라. 어머니의 정신도 노먼에게 존재한다. 어머니의 정신이 노먼의 정신 속에 들어가 그를 지배하는 것이다. 노먼의 마음에는 노먼 자신과 어머니, 양자(兩者)가 들어있다. 한 사람의 마음을 둘이 통제하고 있으면, 이중인격 또는 다중인격 상태이다. 노먼은 노먼이기도 하고, 어머니이기도 하다. 노먼은 정체성이 혼란스럽다. 그는 이중인격 장애를 겪고 있다. 이중인격은 한 사람의 정신이 두 개의 정신으로 갈라진다는 의미에서 해리성 장애(解離性正體性障碍)라고도 부른다. 


"어머니는 아들에 집착하고 있구나. 아들이 얼마나 답답할까?" 마리온은 창문 옆에 서서 노먼의 고통스런 심정에 공감한다. 여자가 다시 창문을 내다보니 노먼이 우우병과 냅킨이 담긴 쟁반을 들고 객실로 오고 있다. 그녀가 도어를 열고 나가자 노먼이 가까이 다가와 미안하다고 말한다. 마리온이 “그렇게 입맛이 크지 않다”고 말하니, 노먼은 어머니가 언급한 “입맛”(appetite)이란 말을 마리온이 들었음을 직감한다. 입맛은 프로이트의 리비도(libido), 성적 갈망 개념을 연상하게 한다. 마리온은 이왕 식사가 준비된 것이니 노먼에게 같이 먹자고 말하며 객실로 들어오라고 몸짓을 한다. 노먼은 따라 들어가려다가 주저한다. 아름다운 여자와 모텔 객실, 이 둘을 결합한 그림은 섹스를 의미한다. 노먼의 정신 속에서 다시 어머니가 소리를 내기 시작한다. 어머니는 아들과 여자가 관계하기를 금지한다. 노먼은 사무실에서 식사하는게 좋겠다고 말하며 뒤로 돌아선다. 


두 사람은 사무실 뒤편 휴게실에서 마주 앉아 대화를 나눈다. 인간은 난관으로부터 아무리 고투해도 벗어날 수 없다고 노먼은 말할 때, 자신을 통제하는 어머니에 대한 헌신과 평범한 삶을 살고자 하는 열망 사이에서 그가 갈등을 겪고 있다는 인상을 마리온은 받는다. 노먼은 어머니로부터 벗어나고 싶지만, 어머니를 돌 볼 사람이 없으니 떠날 수 없다고 절망스럽게 말한다. 노먼의 처지를 동정하며 마리온은 “어머니를 그 곳(some place)에 넣으면 어떨까?” 제안한다. 노먼은 마리온을 차갑게 노려보며, “시설, 정신 병원? ... 거기에 어머니를 집어 넣으라구!”라고 응답한다. 다시 노먼의 의식을 어머니가 지배하기 시작한다. "나를 정신 병원에 보내고 이년이 아들과 놀아나려구?" 이런 분노가 노먼의 의식을 차지하는 어머니 파트에서 일어나는 것이다. 대화 분위기가 싸늘해지자 마리온은 객실로 돌아간다. 분노가 점점 상승하여 노먼 의식의 어머니 파트가 노먼의 의식을 완전히 점령하자, 마리온의 객실로 들어가 샤워하는 마리온을 칼로 찔러 살해한다.    


 

오이디푸스 왕의 설화가 드라마의 배경이다


사이코는 1960년 개봉한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심리 스릴러 작품이다. 히치콕의 작품은 정신분석의 시각으로 분석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그것은 인간의 심층 심리 즉 잠재의식을 탐험하기 때문이다. 영화 싸이코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the Oedipus complex)를 탐구한다. 콤플렉스는 특정 주제를 둘러싸고 의식과 무의식의 여러 가지 사고, 감정, 기억등이 집중되어 있는 집합적 심리이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아이가 부모의 한편을 사랑하고 다른 한편을 미워하는 복합 심리이다. 이 개념은 프로이트의 여러 저술에서 등장하는데, 처음은 1900년 저서 “꿈의 해석”이다.(1) 용어의 유래는 오이디푸스 왕의 전설을 소재로 하는 소포클레스의 드라마라고 프로이트는 밝힌다. 


고대 그리스의 도시 국가 테베의 왕 라이오스와 왕비 이오카스테는 아들 오이디푸스가 태어나기 전에 점을 치니, 새로 태어날 아이는 아버지를 죽이는 운명을 타고 났다. 아이가 태어나자 곧 버렸지만 이웃나라에 구출되었고 거기 왕궁에 들어가 왕자로 자라났다. 오이디푸스는 자신의 출생이 궁금하여 점을 치니 역시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하는 운명이었다. 오이디푸스는 운명을 회피하기 위해, 집을 멀리 떠난다. 그는 여정에서 라이오스 왕을 만나 싸움이 붙어 그를 살해했다. 그 후 테베로 가서 입구를 가로막는 스핑크스를 물리쳤다. 테베 사람들은 감사의 표시로 오이디푸스를 왕으로 모셨고, 왕비 이오카스테와 결혼하도록 했다. 그는 왕국을 오랫동안 평화롭게 다스렸고, 아내이자 어머니인 왕비와 두 딸과 두 아들을 낳았다. 그러나 막판에는 역병이 일어나 테베 사람들이 점을 쳐 그 원인을 찾았다. 지금까지는 전설인데, 여기서부터 소포클레스의 드라마는 시작한다. 메신저가 점괘를 전달하는데, 그것은 라이오스를 살해한 범인을 나라에서 쫓아내면 역병은 사라진다는 것이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보편적 심리이지만, 도덕과 어긋나므로 무시된다.


소포클레스의 드라마 “오이디푸스 왕”에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없다. 오이디푸스는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했지만 그들이 부모인줄 몰랐기 때문이다. 소포클레스의 드라마는 운명의 신과 운명에 대한 인간의 도전 사이의 거리를 보여준다. 인간에게는 초월적 힘이 내려준 운명이 있으며, 아무리 그것을 아무리 벗어나려고 시도해도 성공할 수 없다는 교훈을 옛날 사람들은 그 드라마에서 얻었다. 그러나 현대 관객은 다른 공감을 거기서 얻는다고 프로이트는 지적한다. 남자 아이들은 어머니에게 최초의 성적 충동, 그리고 아버지에게 최초의 살해 소망을 지향한다. 아들의 이런 꿈을 드라마 “오이디푸스 왕”에서 오이디푸스는 실현하기 때문에 현대인은 드라마를 보면서 감동을 느낀다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다음과 같이 분명하게 말한다. “오이디푸스처럼, 우리는 자연이 우리에게 부과한 이런 소망을 무시하면서 살아간다. 왜냐하면 그것이 도덕과 어긋나기 때문이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 운명이라고 프로이트는 생각한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 점을 모른척한다. 어머니를 사랑하고 아버지를 미워하는 것은 도덕과 충돌하기 때문이다.


건강하게 성장하는 아이들은 사춘기를 지나며 성적 대상을 가정 외부에서 찾는다. 아들은 어머니 대신 다른 여자를, 딸은 아버지 대신 다른 남자를 발견하는 것이다. 그러나 모두가 그런 성장을 성취하여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극복하지는 못한다. “싸이코”의 모텔 주인 노먼은 그 성장에 실패하여 어머니 대신 다른 여자를 사랑의 대상으로 선택하지 못한다. 아버지가 죽고 나서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자 어머니는 다른 남자와 사귄다. 어머니의 남자를 질투하여, 노먼은 어머니와 연인을 살해한다. 그러나 그후에도 그는 어머니를 벗어나지 못하고, 어머니를 그의 마음 속에 일부가 되도록 설치한다. 


이제 투사라는 심리 과정이 진행한다. 노먼은 어머니의 연인을 미워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어머니도 노먼이 좋아하거나 노먼을 유혹하는 여자에게 질투를 느낀다고 믿는다. 개인이 자신의 감정을 타인에게 옮기는 과정을 투사라고 한다. 남자 아이는 아버지를 미워하고 그 감정을 아버지에게 투사하여 아버지도 아이 자신을 미워한다고 생각한다. 이런 투사의 심리는 주변에서도 자주 본다. 사회의 약자들은 실제로 그렇지 않더라도 강자가 자신을 핍박한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그 이유는 약자 자신이 강자에게 질투와 공격성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자신의 마음을 자기가 제일 잘 안다고 사람들은 호언장담한다. 그러나 내 마음 속에는 내가 모르는 마음이 숨어있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내가 모르는 나의 심리이다. 이런 무의식적 심리과정을 히치콕의 영화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 파헤친다.   

  

(1)Sigmund Freud.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FREUD complete Works, 311-312.  


[예술부산 2004.8. Vol. 230. 72-75]

   


                    





작가의 이전글 ‘철학의 위안’, 최악을 상상하기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