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대
오카다 다카시의 "애착수업"에서는 애착장애와 안전기지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애착을 안정시키려면 안전기지가 매우 중요하다. 안전기지를 통해 '살아가는 의미'를 발견한다. 안정된 애착은 옥시토신 분비를 활성화시켜 불안과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기능을 높여 활력과 면역력을 강화시키고 사회적 기능과 인지 기능을 우수하게 만든다.(118-119)
잠이 아주 많은, 활동성이 낮은 기질의 나는 회사만 갔다 와도 거의 지치곤 한다. 하루 할당치의 기력을 회사에게 바치고 집에 와서는 강아지 산책을 위해 동네 한 바퀴 돌고 곯아떨어지면 그래도 오늘 할 일은 다 했다, 랄까.
그래도 아내로서 집안일도 하고 저녁도 차려줘야 하는데,라는 생각은 있지만 늘 생각만 있을 뿐. 일상이 아니고 가끔의 이벤트일 뿐이다.
이렇게 게으른 나를, 종종 씻지도 않고 침대에 누워 잠들어 버린 날 발견하는 남편은, 밝게 켜진 침실 불을 어둡게 꺼주고 조용하게 방문을 닫고 나갈 뿐이다.
결혼식을 올리지 않아서 결혼한 것이 맞는가, 실감이 잘 나진 않지만 벌써 혼인 1년이 다 되어간다.
참 신기하다.
남편은 좋은 연애상대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외로움을 잘 타는 나에게, '남자친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장거리'이기에 자주 만나지 않아도 되어 서로의 삶을 존중할 수 있는, 공부하면서 만나기 좋을 사람.
근데 결혼할 사람은 알아본다고 하던데, 나도 그를 처음 본 인천에서. 그리고 두 번째인 부산에서.
'결혼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남편은 북방계 미남형 얼굴에 유쾌한 성격을 가져 동성친구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나와는 정반대인 사람.
서로의 바운더리가 당연히 겹친 적이 없었기에 우리는 이때껏 만나본 적 없던 종에게 서로 신비함을 가졌다.
참 복잡한 애쓰며 살던 나에게 단순하고 만족하며 사는 남편은 신기했고 부러웠다. 남편 또한 자격증이며 시험이며 무언가를 찾고 공부하는 나를 보며 자신이 너무 안주했었나 싶었다고.
없는 것을 가지고 있던 서로이기에 운명인가,라는 착각(?)도 했고.
가족을 만나고 싶었다. 사라진 나의 가족 말고 내가 만드는 가족을 만나고 싶었다.
남편을 만났을 때는 이미 너무 지쳤으니깐.
죽음을 기다리는 요양병원의 늙은 생명들.
생명의 옆엔 최소한의 안녕을 유지시키는 사람들.
점점 흐릿해지는 생명의 불씨에 오늘 죽을지 내일 죽을지 알 수 없어.
혈압, 맥박, 체온은 간간이 끊어질 듯 끊어지지 않는다.
보호자에게 DNR(연명치료포기)을 할지 전화하고,
같이 늙어버린 보호자에게는 주사비도 부담이다.
일주일, 3주, 두 달을 넘어 이어지던 생명이 끊어졌다.
어디에 전화해야 할지 모르겠는 애매한 보호자를 가진 환자.
보호자는 환자를 보러 병원에 오지도 않고,
몇 시간 전까지 숨 쉬던 생명은 어딘가로 사라진다.
요양병원에서 간호사로 일하던 어느 날, 결국 가족밖에 없잖아. 가족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히 들었고, 남편에게 결혼하고 싶다고 하니,
"(내가 살고 있는 곳으로) 올라와. 내가 행복하게 해 줄게. 너를 행복하게 해주고 싶어."
남편의 이 대사는 날 상경하게 만들었고, 그 뒤로 결혼까지 많은 일이 있었지만.
나의 안전기지가 되어준 남편. 선물같이 나타난 시어머니.
일어나라고, 씻고 자라고, 잔소리하고 깨울 법도 하지만 아무도 그러지 않았다. 남편도 시어머니도. 아늑하게 닫히는 방문 소리는 늘 나에게 잘 자라고 일러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