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론 Jun 05. 2024

실수는 언제나 두려워

2020년도 10월 한글날 전후로 부서를 이동했다. 어수선한 분위기에 사무실도 자주 옮겨 적응하기 어려웠다. 연차가 제법 쌓였기에 얼마 뒤 근무 조의 조장 자리를 맡았다.




일도 많은데 상사들은 부하직원 갈아 넣을 생각밖에 못하는 형국에 끼여버렸다. 눈코 뜰 새 없이 바빴기에 밥도 못 먹는 경우가 다반사라, 나는 못 먹더라도 후배들 밥은 먹이려고 노력했지만 번번이 미안했다.


정규 근무시간이 끝나 다음 근무 조로 업무 이관 미팅이 끝난 후에야 밀린 업무를 쳐낼 수 있었다. 새벽 3시까지 자료 정리를 마치고 집에 가던 길에 하늘을 올려봤다. 새벽에는 도시에서도 이렇게 별이 잘 보이는구나.


저 어두운 밤하늘에도 별들이 있듯이 머지않아 안정화를 거치고 편안한 시대가 오리라는 희망으로 퇴근하곤 했다. 아쉽게도 그런 날은 내가 다시 부서를 옮길 즈음에야 찾아왔다.




그렇게 언제나와 같이 미친 듯이 업무가 쏟아지는 날이었다. 나 이외에는 업무 순서를 숙지한 인원이 별로 없었고 가능한 분배를 최대한 했지만 견뎌내기도 벅찼다.


그러던 중 옮기기 전 부서와 동일하게 업무를 처리하다 사달이 났다. 관리 방법이 달랐기에 설비가 멈추었고 그에 대한 보고를 해야 했다. 내용을 정리한 뒤 부장님 자리로 찾아갔다.


자리로 향하니 모니터에 시선은 고정한 채로 한 마디가 비수처럼 날아들었다. "아직 네 차례가 아니야". 고개를 숙이고 자리로 돌아왔다. 뭐랄까, 범죄자가 된 기분이었다.




옮긴 지 얼마 되지도 않아 마음 붙일 곳도 없었다. 이럴 땐 술이라도 마시며 시간을 흘려보내야 할 텐데. 퇴근 후 동네를 계속 걸었다. 정리되면 다 잊힐 걸 알면서도 언제나 실수는 두렵다.


신입사원 때를 제외하면 늘 실수는 바쁜 상황에서 옥죄는 마음에 치곤 했다. 늘 편안하고 안락한 상황을 바라긴 힘들겠지만, 요즘에는 그런 상황에서 오히려 돌아서 안전한 방법으로만 간다.


더 오래 걸린다고, 집에 늦게 간다고 투정 부리는 후배들의 성화에도 타일러서 방향을 조정한다. 열심히 하면 사고도 잘 치고, 사고도 치며 배운다고 하지만 세상은 점점 실수에 박해지는 느낌이다.




잘해봤자 본전, 못하면 모든 것을 책임지는 게 원래 선배이고 회사임을 알면서도 힘든 시간들이 참 많았다. 오히려 모를 때는 그런 말들에 위로를 받았는데 알게 되니 그 마저도 위로를 못 받는 형국이랄까.


더 연차가 쌓이면 상위 관리자에 자리에 오르겠지. 그때는 그런 딱딱한 사람보다는 단단한 사람이 되고 싶다. 내가 받은 충격조차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울림으로 퍼져나가는 그런. 후배들에게도 비수보다는 꽃 한 송이를 건네줄 수 있는 그런.

이전 13화 슬럼프, 회상, 불안함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