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별재회 커리큘럼 Mar 07. 2023

짝사랑 반감법칙(콩깍지) 효과

짝사랑하는 대상이 날 좋아하면 내가 감정이 식어버리는 현상.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가?

내가 생각했던 것과 다른 기대 하락, 가치 하락, 매력도 감소로 보인다.

마트 바나나로 예를 들어보겠다. 마트에 갔는데 바나나가 보인다. 근데 이 바나나는 일반 바나나보다 3,000원 비싼 8,000원짜리 바나나다.

그러면 우리는 이렇게 생각할 거다. "바나나가 뭐가 이리 비싸? 어우 못 먹겠다. 근데 왜 비싸지? 다른 거보다 당도가 있어서 그런가..? 그럼 먹어봐도 괜찮은 거 같은(살만한 가치)가 있을 거 같은데? 내일 다시 와보자. 다음날 그 바나나가 5,000원으로 내려온다.


"어? 뭐야.. 가격이 갑자기 내려왔네? 왜지? 맛없나? 유통기한이 짧나? 뭐가 문제가 있나? 갑자기 사기 싫어지네.."


또 하나로 예를 들어보자

내가 RPG 게임을 하고 있다고 상상을 해보자. 요번에 새로운 콘텐츠로 용보스 잡기가 생겼다.

현재 이것에 대한 정보는 "그 누구도 견뎌 낼 수 없고 한 번에 클리어할 수 없을 것이다"라는 문구뿐이다.

그러면 현재 상태의 나는 "와.. 난이도가 이 정도라고? 좀 해볼 만하겠는데?"라고 생각하고 콘텐츠를 진행했을 것이다. 그런데 막상 하고 보니 보스가 3번의 공격만에 죽어버렸다.


 "엥..? 뭐지? 왜 이리 약해? 뭐가 이렇게 쉬워.. 시시해"


이것을 짝사랑과 비교해 보면 어떠한 원인으로 짝사랑이 시작되고 그 원인으로 짝사랑 대상에 대한 환상(남에게 철벽일 거 같고, 다른 사람과 다른 희귀한 케이스, 남들이 쉽게 가질 수 없는 희귀한 사람, 그래서 사귀기 어려운 인식)이 심어졌을 것이다. 그런데 그 사람이 나한테 호감을 가지고 고백하게 되면 "어 뭐야..? 이렇게 쉬웠나? 뭔가 시시해.."로 기대 하락, 가치 하락, 매력도 감소가 돼버린 것이다.


어찌 보면 리액턴스 효과와 비슷하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되는가?

이것은 내 감정에 대한 문제이기에 내 내면과 많은 대화를 함으로써 나의 감정을 잘 아야 한다.

또한 그 사람에 대한 환상이 심어졌기에 그 사람에 대한 기대감을 낮춰보는 방법도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럼 상대방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1. 설렘(심쿵 포인트)을 자극할 만 것을 유도를 해본다.

2. 반전 매력을 보여준다.

3. 이 사랑에 대한 확신과 안심을 지속적으로 보여준다.




이전 04화 애인이 번아웃이 왔다고 해요 어떻게 하면 좋죠?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