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2.1. 발성 느낌 탐색

by Don Hwang Oct 22. 2023

영어 소리는 발성 과정상의 특성상 콧소리, 동굴 소리, 호흡 차단 소리, 웅얼거림, 혀 짧은 소리, 공기 차단 그리고 리듬 등이 강한 특성이 있고 이것이 소리를 감각적으로 인식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그런데, 훈련자 모국어에서는 이런 느낌들이 소리를 인식하는 데 있어서 별다른 의미가 없을 수 있다. 그래서 이런 느낌들을 인식하는 감각이 발달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발성 느낌 탐색'이라는 것은 이런 느낌들에 대한 감각을 키우기 위한 것이다. 


소리의 느낌을 인식하는 감각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겉으로 들리는 소리(값)에만 주목해서는 안 된다. 소리의 느낌은 그런 소리를 만들어 내는 과정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그 느낌을 이해하려면, 해당 소리를 만들어 내는 과정에서 발성 기관들에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주목해야 한다. 이 말은 결국 '발성 과정'과 그리고 그 과정의 결과로 만들어지는 소리값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이다. 


소리(값)와 발성 과정을 분리해서 생각할 필요가 있다.


우리들이 듣게 되는 '소리'는 ‘발성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 결과물이다. 그림으로 그려 보면 다음과 같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발성 과정과 소리의 구분>


겉으로 들리는 소리(값) 자체는 모국어 소리와 유사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소리가 만들어지는 내부 발성 과정은 전혀 다를 수 있다. 이 발성 과정 부분이 영어 소리의 느낌을 만들어 내게 된다. 


훈련을 통해서 최종적으로는 소리의 값만으로도 그 소리를 알아들 수 있는 것이 목표이다. 훈련자들은 소리(값)에 주목할 수도 있고, 필요하다면 더 구체적으로 발성 과정 차원에서 주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집중하는 범위를 더 구체적으로 만들게 되면 그만큼 집중도와 훈련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발성 과정과 소리의 분리'는 집중도와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겉도는 수준의 소리 훈련은 그만큼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이전 09화 2. 영어식 소리 탐색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