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핫불도그 Jul 30. 2024

국악과 예술 (3-1)

민간: 연희(남사당놀이)

연희

민간의 종합적인 놀이 또는 공연은 농악, 연희, 종교의례, 음악극 등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전편에서는 농악의 갈래인 두레농악, 연예농악, 의례농악, 군고, 그리고 지역농악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연희를 알아봅니다. 연희(펼 연, 놀 희)의 사전적 의미는 놀이를 펼치는 것으로 말과 동작으로 여러 사람 앞에서 재주를 부리거나, 배우가 각본에 따라 어떤 사건이나 인물을 말과 동작으로 관객에게 보여주는 무대 예술이라고 정의합니다.


살펴본 농악이 주로 두레 구성원들이 펼치는 놀이임에 반하여 연희는 전문성을 갖춘 직업 예인들 중심의 민간 예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연희의 남사당놀이를 알아봅니다.


남사당놀이(남사당패놀이, 사당패놀이, 유랑광대놀이, 꼭두각시놀이)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 중반까지 전국을 돌아다니며 단체(패) 이름으로 공연하며 생계를 잇는 유랑광대들이 있었습니다.

주요 유랑광대패는 곡예(솟대쟁이패, 대광대패, 초라니패, 굿중패, 사당패, 남사당패) 또는 예능(풍각쟁이패, 각설이패, 비나리패)을 선보이는데 남사당패는 곡예 중심의 놀이를 보여줍니다.

사당패가 여성들로만 이루어진 데 반하여 남사당패는 남성들로만 구성된 특징을 보입니다.

남사당놀이 마당은 얼른, 풍물, 버나, 살판, 덧뵈기, 덜미, 어름, 비나리 등으로 구성됩니다.

★남사당놀이의 구성★
1. 얼른(요술): 전승이 끊겼습니다.
2. 풍물(농악): 이십명 중후반으로 구성한 풍물잽이들이 수십여 가지의 풍물을 펼치는 놀이입니다.
3. 버나(대접돌리기): 버나, 대야, 대접 같은 용기를 담뱃대나 막대기로 돌리는 놀이입니다.
4. 살판(땅재주): 살판쇠(땅재주꾼)가 몸놀림으로 하는 기계체조와 묘기를 말하며 열두 종류의 동작을 보여줍니다. 여기서 살판은 '살판 죽을판'하는 공연이라는 의미입니다.
5. 덧뵈기(탈춤): 덧뵈기는 덧쓰고 보여준다는 뜻으로 탈춤을 말합니다. 멍석을 깐 마당에서 마당씻이, 옴탈잡이, 샌님잡이, 먹중잡이 등 네 과장으로 구성합니다.
6. 덜미(꼭두각시놀음, 인형극): 덜미는 목덜미를 잡고 논다는 의미에서 생긴 이름입니다. 나무인형을 사용하며 꼭두각시는 등장하는 인형의 하나이자 덜미와 동일어로 사용합니다.
7. 어름(줄타기): 어름은 살얼음판을 걸어다니듯이 줄 위에서 어려운 묘기를 부린다는 의미에서 생긴 명칭이며, 연기자는 광대줄꾼과 어름줄꾼이 있으며 전자는 유랑하지 않는 고을의 줄꾼이며 후자가 남사당패의 줄꾼입니다.
8. 비나리(고사): 고사는 관객과 연희자 모두의 안녕을 기원하고 사고 없이 무사히 놀이판이 끝나기를 기원하는 축원의식입니다.

여기서 1, 8을 제외하면 여섯 마당의 공연으로 구성되며 전체 레퍼토리를 펼치려면 40~50명의 남자 연희자들이 필요합니다.

자료: 국가유산청

한편 남사당패는 엄격한 위계질서와 도제방식으로 유지되었습니다.


남사당패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꼭두쇠

패의 우두머리입니다.

꼭두쇠의 역량에 따라 놀이패의 인기와 남사당패의 인원이 결정되곤 합니다.

남사당패의 이름 앞에는 흔희 꼭두쇠 이름을 붙여 부르는데 남운용패, 바우덕이패 등이 그 예입니다.


곰뱅이쇠(기획자)

꼭두쇠를 보좌하는 역할입니다.

곰뱅이란 남사당패의 은어로 ‘허가’를 의미하며 공연할 마을에 미리 찾아가 놀이판을 벌일 수 있도록 허가를 받아내는 역할을 합니다.


뜬쇠(무대 관리자)

실제로 공연을 담당하는 연기자를 말합니다.


가열(연행자)

뜬쇠 수하에 있으며 각 연희에 소질이 있는 기능자를 말합니다.


삐리(초입자)

초보자를 칭합니다.


저승패(늙은 단원)

놀이의 기능을 잃은 노인들을 말합니다.


나귀쇠(잔심부름꾼)

패거리들의 장비를 운반하고 잔심부름을 담당합니다.

자료: 국가유산청

모든 놀이는 꼭두쇠-뜬쇠-가열의 조합으로 실연됩니다.


남사당놀이, 풍물놀이, 사물놀이

남사당놀이의 모든 마당을 펼치려면 약 50명에 가까운 인원이 필요합니다. 총 여섯 마당을 펼치는데 그중 풍물놀이는 전체 인원의 절반이 넘는 인원으로 연기를 펼칩니다.


풍물놀이에 사용되는 악기는 타악기와 관악기이며 타악기는 장구(장고), 북, 징, 꽹과리(쇠) 등 네 가지이며 관악기에는 태평소와 나발 등 두 가지입니다.


사물놀이는 풍물놀이를 재구성한 놀이로 사용하는 악기가 타악기 (장구, 북, 징, 꽹과리)으로 한정됩니다. 이 네 타악기를 사물이라고 하며 사물놀이는 사용하여 만든 예술적으로 심화된 감상용 풍물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물놀이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사물놀이★
기원: 1978년 장구 명인 김덕수 등 네 명의 연주자가 무대예술로 변형시킨 풍물놀이
목적: 감상용
사용 악기: 타악기(북, 장구, 꽹과리, 징)
연주 장소 및 구성: 실내 공연장에서 넷이 연주

즉, 사물놀이는 남사당패 출신의 장구 예인 김덕수와 동료들이 창조한 풍물놀이의 하위 장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타악기로만 구성된 쿼텟 편성으로 다양한 장단이 빠른 순서대로 전개되며 네 명의 연주자들은 여러 악기를 다룹니다.


사물놀이는 1980~90년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공연을 통해 국악의 위상을 드높였으며 서양 관객들을 매료시켰습니다. 또한 재즈 뮤지션들과의 콜라보 등을 통하여 재즈, 월드 뮤직, 국악 등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불도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