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2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찻잎이 있었는데요, 없었습니다.

고슈엔 흑두 말차 현미차

by 미듐레어 Dec 28. 2024

오카야마 마트에서 시라오레를 사 오던 날 옆에 있길래 덩달아 사온 흑두 어쩌고 현미차. 이것도 사 오게 된 계기가 개그가 따로 없는데 루피시아 오카야마 한정 중에 포도우롱이 있어서 그걸 사 오는 길에 들렀던 마트인지라 저 흑두, 그러니까 검은콩을 포도로 보고 ‘포도가 들었다고? 현미차에?’ 하면서 사 온 것. 저기.. 옆에 흑두라고 써있잖아.. 그 정도는 읽을 수 있잖아.. 나중에 확인을 하면서 어찌나 황당하던지. 하지만 역시나 알았어도 사 왔을 것 같은 차. 이거 또 심상치 않은 게 차엽이 확실히 들어있고 우지말차까지 블랜딩 된 지역산 검은콩이 들어간 현미차. 현미녹차라면 한국도 내공이 꽤 깊다구. 어려서부터 현미녹차가 녹차의 전부인 줄 알고 자라온 사람들도 많다, 한국인의 까탈스러움을 보여주겠다. 와라 네놈. 홈페이지 기준 300g 400엔. 근데 제가 사온건 200g짜리입니다. 그래서인지 300엔이었음. 상미는 아마도 제조 1년.

undefined
undefined
이름이 참 길고 복잡 미묘하다

일단 그림 자체가 좀 그냥 녹차같이 생겨서 뭔지 읽어보지도 않고 샀다가는 녹차인 줄 알 수도 있겠는데 이것은 현미차로서 맛으로 따지자면 우리가 옛날부터 흔히 먹던 그 현미녹차의 맛이 맞다. 오카야마의 특산품인 검은콩을 찌고 말려서 그걸 다시 직화로 구워내어 블랜딩 했고 국산 100%의 현미를 사용했으니 나름 신선신선한 재료들을 모아서 만든 현미차 되시겠다. 현미만 해도 충분히 구수한 맛이 날 텐데 검정콩까지 구워서 넣었다고 하니 곡물차의 구수함이 크게 기대가 된다.

팡이쓰가 아니고 말차분말을 뒤집어쓴거다팡이쓰가 아니고 말차분말을 뒤집어쓴거다

봉투를 열어서 향을 맡아보니 곡물의 약간 묵은내 같은 게 난다. 이것도 역시 말차가 들어있어서 아무래도 분말이 날리면서 나는 향이 좀 있는 듯하다. 볶은 현미와 말차의 향이 섞여서 독특한 향이 되었는데 그게 약간 나에게는 묵은내 비슷하게 나는 것 같다. 건엽을 덜어보면 돌돌 침형으로 빡세게 말려진 센차라고 하기에는 약간 대충대충 만든듯한 차엽에 볶은 현미가 한참 들어있고 대빵 큰 검은콩이 뙇하고 들어 있다. 전체적으로 말차가루를 흠뻑 뒤집어쓰고 있어서 가루가 많이 묻어나오니 주의. 볶은 현미를 몇 알 주워 먹어 봤는데 과자처럼 바삭하고 맛있다.

undefined
undefined
둥둥 현미, 오카야마 특산품인 백도랑그르드륵과 함께.

아무래도 현미차니까 투차량을 조금 늘려서 8g의 차를 90ml가량의 70도 물로 30초 우려 주었다. 벌써부터 겐마이차 특유의 꼬순내가 진하게 퍼진다. 보리차와 숭늉을 합쳐놓은 듯한 고소함. 이건 뭐 안 마셔봐도 아는 맛이고 마셔보니 또 그 맛이다. 검은콩을 사용한 게 이 제품의 특징일 텐데 콕 찝어서 검은콩의 맛이 어떤 건지 모르겠어서 좀 더 집중을 해본다. 한 모금 마실 때 현미맛이 일단 많이 나고 약간의 녹차맛이 은은하게 깔려있는데 다 마시고 나서야 약간 검은콩 두유 같은 걸 마시고 난 뒤의 그 콩맛이 살짝 있다. 꽤나 희미한 정도의 존재감이다. 차 자체의 맛은 그냥저냥 준수하고 역시나 현미차라 그런지 물 마시듯 쑥쑥 들어간다. 아니, 물보다 마시기 더 편한 듯. 들어간 차도 그렇게 캐릭터가 강한 차는 아닌지 너무 순하고 딱 기본의 느낌이었다. 사실 그냥 까먹고 3분쯤 우려도 전혀 지장이 없는 느낌이었다. 그래서인지 반대로 꽤나 여러 번 우러나는 건 또 장점. 어떻게 해도 강도가 70%를 넘지 못하는데 60%의 느낌으로 횟수를 여러 번 우러난다. 물을 많이 넣고 오래 우리면 비슷해질까 싶어 해 봐도 그건 좀 싱겁고 그냥 여러 번을 우러난다. 우려도 우려도 곡물차의 달달함이 계속 유지되는 차.

녹차에 현미를 좀 넣은 느낌인데 맛은 반대녹차에 현미를 좀 넣은 느낌인데 맛은 반대

엽저를 보면 꽤나 실하게 찻잎이 들었는데도 전혀 녹차가 강하게 올라오지 않는다는 게 역시 신기하다. 이 차는 재미있으니 마셔보라고 여기저기 돌리기도 했던 차이고 또 딱히 돌아오는 감상평이 없었던 차이기도 하다. 그만큼 별 특징이 없었다는 뜻이겠지. 근데 밥차로 마시면 진짜 숭늉처럼 입가심과 에피타잇을 효과적으로 해주는 차이기도 하다. 간식보다는 식전식후에 잘 어울리는 차. 뭐랄까 지역 특산물로 만든 어디어디 지역 농협에서 나오는 차 같은 인상인데 아마도 고슈엔이 그런 이미지의 회사인가 보다. 혹은 내가 마트에서 사 온 고슈엔이 딱 그런 것만 골라온걸수도. 암튼 로컬스러운 느낌이 한껏 살아있는 재미있는 차였다. 고슈엔의 흑두 현미차, 끗.

매거진의 이전글 소박해 보이는 시라오레의 따뜻한 맛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