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수필가 백송자 Mar 17. 2023

아카시아꽃차

아카시아 꽃잎이 복점처럼 피어났다

꽃이 핀다. 나비의 날갯짓이 주전자에서 쏟아지는 물줄기에 팔랑인다. 마른 찻잎이 찻잔에서 뜨거운 물을 만나 꽃으로 피어난다. 한 송이 두 송이, 도톰하게 살이 올라 아카시아 꽃숭어리로 만개하더니 연한 노란색으로 물이 든다. 두 손으로 찻잔을 받치고 먼저 눈으로 맛을 본다. 눈이 맑아진다. 깊은 숨을 들이켠다. 머금은 호흡을 따라 아카시아 향이 온몸을 훑는다. 발에서부터 머리까지 꽃이 만발한다. 내 몸이 꽃 세상이다.


 산소 주변에는 아카시아 꽃이 우우우 다발로 피어나고, 꽃잎 그늘 사이로 꿀벌들이 날아들고 있다. 매년 뿌리를 캐어내도 오월이면 아카시아 나무는 꽃을 세상 밖으로 보란 듯이 밀어낸다. 산소에는 쑥, 토끼 풀, 바랭이, 엉겅퀴 등 푸른 풀이 담상담상 돋아나 있다. 포물선을 그리듯 팔을 뻗쳐 잔디를 어루만져 본다. 손바닥에 전해지는 촉감이 따뜻하다. 손톱깎이가 필요 없을 만큼 닳아서 뭉뚝해진 손톱에 시꺼먼 때가 더께 되어 있던 아버지의 투박한 손을 잡은 듯하다. 따듯한 온기가 새어 나갈까 봐 두 손을 오그리며 쥔다. 그런 두 손을 가슴으로 끌어올린다. 


 바쁘다는 핑계를 내세워 아버지께 늘 쌩하고 돌아섰던 나를 꾸짖으며 산소 주변을 서성이다가 앉는다. 아카시아 향이 코끝을 자극한다. 나무를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보니 활짝 핀 것이 아니라 이제 막 봉오리를 펼치는 숭어리가 많다. 아카시아 향이 절정에 다다른 꽃을 그대로 두고 발길을 돌릴 수가 없다. 그동안 고향 집에 가끔 찾아와도 이내 또 떠났던 내가 부끄러워 아카시아 꽃을 핑계 삼아 아버지 곁에 더 머무르고 싶은 마음이다. 아카시아 꽃차를 만들까.


 발끝을 곧추세워 서서 나무줄기를 휘어잡고 꽃을 딴다. 남편도 내 마음을 읽고 가시에 조심하라며 다가와 함께 한다. 나무 두 그루에서 숭어리 채 꽃을 따고 남편이 맨손으로 나뭇가지를 어렵사리 잘라낸다. 예기치 않게 삶의 둥지를 잃은 꿀벌들만이 잉잉거리며 내는 소리가 따갑다.

 

 어린 벌 한 마리는 어미를 잃은 채 아카시아 꽃에 묻히어 집에까지 쫓아왔다. 눈과 눈이 마주치는 곳에 애잔함이 번진다. 거실 베란다 창밖으로 데려가자 벌은 날개를 파닥이더니 시야에서 멀어진다. 제 집으로 잘 찾아갈까.


 아카시아 꽃을 건조기에 넣고 고르게 편다. 손에는 마늘 향 대신 꽃 향이 배어 얼굴이 붉어진다. 달뜬 얼굴 앞으로 아카시아 꽃숭어리를 쏟아주던 아버지 모습이 다가온다. 바람과 햇빛과 땀으로 주름진 얼굴이다.


 할머니 일찍 돌아가시고, 할아버지 만주로 떠나시고, 아버지는 오롯이 자신의 등뼈에만 의지한 채 세상과 마주서야 했다. 아버지는 세상 속으로 걸음마를 뗐다. 그 누구도 한 걸음 한 걸음 발을 떼는 아버지의 홀로서기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 신발 한 켤레 신겨주는 사람 없이 아버지의 맨발이 신발이었다. 아버지 발길 머무는 곳마다 세상은 아카시아 나무처럼 강하게 살아야만 각박한 토양에 뿌리를 내릴 수 있다는 것을 일러 주었다. 학교 문턱에 넘어지기라도 하고 싶었지만, 아버지는 이름 석 자를 비뚤비뚤 적는 것으로 시작도 못 한 공부를 마쳤다. 평생 까막눈으로 들판에서 읽고 쓰고 말하고 들으셨다. 


 아버지는 산골짜기 다랑논을 샀다. 그 논은 훗날 늦은 나이에 엄마와 결혼하여 얻은 다섯 자식이 세상 밖으로 나가는데 길을 터 준 든든한 터전이 되었다. 다랑논에서 모내기하여 수확한 벼는 이팝나무 꽃처럼 하얀 쌀밥이 되었고, 밀을 심어 얻은 밀가루는 언니 오빠들이 시집 장가가는 날 잔칫집 국수가 되었다. 부모의 정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사랑이라는 말에 낯선 아버지는 오직 일하는 것만으로 가족을 보듬었다.


 아버지는 하루 종일 들일을 하다가 돌아오면 마당에서 머리에 둘렀던 수건으로 온몸을 패댔다. 그럴 때쯤이면 해가 기운 하늘은 붉게 타올랐다. 햇볕과 바람에 그을린 아버지의 얼굴에 노을빛이 물들면 나는 우물가로 쪼르르 달려갔다. 두레박에 물이 들어가도록 긴 끈을 좌우로 늘렸다 당겼다 하며 우물물을 퍼 올렸다. 오월의 두레박에는 아카시아 꽃잎 서너 장이 내려와 먼저 물을 마시고 있었다. ‘어, 시원하다’ 하며 웃는 아버지의 입 언저리에는 물을 배불리 먹은 아카시아 꽃잎이 복점처럼 활짝 피어났다. 

 “뭔 놈의 아카시아는 끝없이 번지냐….” 


 할머니, 할아버지 산소를 성묘하고 오면 아버지는 언제나 혼잣말을 하셨다. 꽃이 피어날 때는 가지 채로 배어 와서는 꽃숭어리를 훑어 내 치마폭에 가득 담아주셨다. 다 받아내지 못한 꽃잎들은 마루에 쏟아지고 마루 틈에 끼인 꽃잎은 하루 이틀 지나면서 누구의 관심도 받지 못한 채 바스락거렸다. 생각해보면 이는 마치 자식들 틈새에 박힌 아버지와 닮은꼴이었다. 아버지는 다섯 자식을 건사하느라 메마른 꽃잎이 될 때까지 당신의 몸을 혹사했다. 하지만 자식 누구도 아버지의 고단한 삶에 눈길을 주지 않았다. 아버지는 눈만 뜨면 보이는 멀지 않는 곳에서 큰 나무로 계실 줄만 알았다. 


 찻물을 입안에 오래오래 머금고 있다가 조금씩, 조금씩 삼킨다. 입안에 남은 차향과 두 손으로 감싸 쥔 찻잔의 온기가 지워질까 봐 온몸을 살포시 당겨 안는다. 


이전 08화 개심사 가는 길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