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넬라 Sep 04. 2024

쏟아지는 '디지털 문맹' 관련 법안과사업들, 실효성은?

법안과 조례만 남발하고 예산만 낭비되지 실효성은 없는 이유

디지털 문맹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명목으로 정부, 국회, 그리고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에서는  각종 법안이나 조례들을 여러가지로 내놓고, 예산을 투입한 사업들도 앞다투어 내놓고 있습니다. 


하지만  디지털 문맹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디지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채로 동시다발적으로 쏟아져나오는 각종 법안,조례나 정책들을 보면 희망을 주는 것 같은데, 정작 실제로는 별 도움이 되지 못하는 ‘희망고문’이 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교육 프로그램이 만능 해결사?


교육을 수강하자마자 '아, 이거야' 하고서 바로 활용법을 깨우치고 실생활에 활용하시는 성과를 내신 분들도 계시기는 합니다. 하지만 그런 분은 대체로 이전에 컴퓨터 등으로 비슷한 것을 써보고 익숙했기 때문에 교육 수강 몇시간만에 바로 '배운 것'을 활용할 수 있던 경우가 많지요.


인터넷이 보급된 이후 지금까지 20여년 이상을 디지털 기기와 담 쌓고 지내던 분이, 10회의 교육으로 스마트폰에 키오스크를 자유자재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지부터 의구심이 들어야 하지 않을까요? 10회의 교육을 그것도 10여명 이상의 인원이 모인 교실에서 배우자마자 스마트폰을 자유자재로 쓸줄 안다면, 차라리 천지개벽하는 것이 더 빠르지 않을까요?


더군다나 이미 다른데에서 디지털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일부' 수강생의 성과를 지나치게 부각하여, 정작 '교육장 나서자마자' 잊어버리는 대부분의 수강생들에 대해서는 원인 분석 등은 제대로 안되는 경우가 많지요. 교육장만 나서면 다 잊어버리니 몇번을 들어도 또 잊어버리게 되는 일이 반복되면 , 이 과정에서 교육을 받는 분들도 괴롭고, 예산은 예산대로 낭비되고요.


또한 '현장 실습 위주의 교육'을 해야한다고 주장하는 것도 실효성이 없습니다. 특히 키오스크 교육 과정에서 보면 실제 점포에서 실습을 하는 시간이 있는 경우도 있어서이지요. 문제는 실제 점포에서도 강사가 옆에서 보조를 해주면 주문에 어려움이 없다가도, 강사의 도움이 없이 혼자서는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이지요.


이는 마치 제한된 교실 환경에서만 외국어를 배웠다가, 실제 그 언어를 사용하는 나라에 가서 어려움을 겪는 것과 같은 문제이지요. 





교육용 키오스크? 실제 점포에서는 도로 '백지상태'



점포들의 키오스크 프로세스를 따온 교육용 모의 키오스크로 연습을 하여 키오스크에 친숙해지면, 실제 점포에서도 키오스크로 주문을 어려뭄없이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아이디어는 참 그럴싸하게 들리지요.


그러나 이는 따지고보면 '못알아듣는 외국어를 무작정 반복해서 들으면 외국어가 유창해진다'는 것과 비슷한 원리이지요.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이민을 가서도 현지 언어를 제대로 익히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단순히 언어를 그것도 '못알아듣는 언어'를 반복적으로 듣는 것만으로는 그 말이 무슨 뜻이고 어디에 쓰여야 하는지 알 수 있다는 보장을 할 수 없어서이지요. 


마찬가지로 디지털 기술과 주문에 대한 이해가 없이 단순히 키오스크 화면만 반복적으로 접하는 것도 비슷한 맥락이고요. 즉, 화면에 나오는 정보와 시스템의 작동 원리는 전혀 이해하지 못한 채, '교육용' 기기로 단순히 화면 구성에만 익숙해져봐야 실생활에서는 결국 '백지상태'로 되돌아가는 일이 반복되지요. 교육용 키오스크를 통해 교육을 받고 실습도 했지만 실제 점포에서 사용하는 키오스크와는 화면 구성 등이 많이  달라서 당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고요


이는 주문 과정에 대한 이해를 하지 못한 상태로 교육용 키오스크에서 주어진 화면 구성에만 익숙해지다보면 결국 맹목적으로 '달달 외는'방식으로 빠지기 쉬워서이고요. 그렇다보니 실제 점포에 있는 키오스크의 화면은 교육용 키오스크로  '외워놓은 것'과 달라 그야말로  '백지상태'가 되는 경우가 많지요


따라서 디지털 기기와 주문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외시한채 무작정 '연습용' 모의 기기를 들여온다고 하면,  비싼 가격에 비해 효과가 나오지 않는 것도 모자라, '달달 외는' 좋지 못한 습관을 고착시키는 역효과가 날수도 있어 유의가 필요하답니다




저가형 기기 보급 사업?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저소득 어르신을 위하여 '저렴한' 스마트 기기를 보급하는 사업을 추진한 적이 있기는 하지요. 예산이 한정된 상태에서는 대개 저렴한 기기로 보급 대상 인원을 늘리는 방식으로 갈 수밖에 없기는 합니다.


하지만 저가형 기기에서 원가를 맞추기위해 플래그십에 비해 빠지는 사양들이야말로 특히 사용 편의에서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이지요. 저가형 기기에서 빠지는 사양들은 대체로 '겉보기 사양'으로 내세우기는 어려운 것들이다보니 저렴한 가격에 맞추려면 빠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지요. 

그리고 어르신 뿐만이 아니라 저소득가정 학생의 학습을 위한 기기 보급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저가형으로 단가를 맞추려다보니 엉뚱하게도 '저사양이라 너무 느려터져서 아무도 안건드린다'가 구매하는 원인이 되는 사례도 있었습니다.


https://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969236


단지 저렴한 기기를 대량으로 보급하는 것으로 ‘디지털 문맹 해결을 위해 사회가 나섰다’는 식의 접근은 실제로는 아무 도움이 안되는 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예산 낭비로 이어진다는 점이 문제이지요. 


당장 보급되는 대수를 늘리려다보니 보급되는 기기의 성능과 사용 편의성이 현저하게 낮다면, 정작 기기를 쓰는 당사자들에게는 더 불편하게 느껴져서 디지털 활용을 포기하게 될 가능성이 더 높고요. 결국 사용 편의성 등을 전혀 고려하지도 않은 채 저가형으로만 밀어내는 식의 기기 보급 사업으로는 결국 '디지털 문맹'의 수렁에 더 깊숙히 빠지게 되는 원인이 됩니다






실효성은 없으면서 '희망고문'만 일삼고 예산만 낭비되는 사업들은 예산 자체가 낭비되는 것도 문제이지만,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필요한 재원이 부족하게 될 수도 있다는 점도 문제입니다. 무작정 '사회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면서 단기의 '보여주기'용 성과에 급급하여 법안이나 조례를 남발하거나 예산을 낭비하것은 오히려 '디지털 문맹'의 수렁을 깊숙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기도 하지요.


따라서 지원을 한다 하더라도 무작정 '어르신들 어떡해' 식의 막연한 접근보다는,  당사자 스스로 디지털을 활용하는 방법을 익히고 적정한 기기와 서비스를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예산을 낭비하지 않으면서도 디지털 문맹세를 줄이고 없애는 방안입니다.

이전 18화 컴퓨터와 스마트기기 자판은 2벌식으로 통일해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