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대상자의 배치 계획과 특수교육교원의 수급 계획 등 특수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의 일환으로 각 학교 교감이 관리자의 역할로 꼭 참여해야 하는 온라인 조사 정책이다.
특수교육 실태조사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13조(특수교육 실태조사),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제8조(실태조사), 통계청 국가승인통계 제112014호(2008.8.28. 승인)의 법적 근거하에 진행되는 조사며 국립특수교육원이 주관하여 3년 주기로 진행된다. 올해가 바로 조사 연도다. 2026년에 실시되는 다음 조사까지 이번 조사의 통계 자료로 특수교육 전반에 관한 계획이 짜이기에 무척 중요한 조사라는 생각이 든다.
조사문항은 다음과 같다.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시 국가, 시도교육청, 학교의 재량권 배분은 어느 정도 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통합학급 당 특수교육대상자의 최대 배치 인원은 몇 명입니까?
특수교육대상자를 일반학급에 배치하는 기준은 무엇입니까?
특수교육대상자가 통합교육을 통해 얻게 되는 교육적 효과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장애인식개선교육(장애이해교육 포함)을 연간 몇 회 실시합니까?
장애인식개선교육(장애이해교육 포함) 대상은 누구입니까?
특수학급 교사들에게 주로 장려하는 장학 형태는 무엇입니까?
특수교육이나 특수교육대상자 지원과 관련한 교내 교원연수는 주로 어떻게 합니까?
일반교사들에게 가장 필요한 특수교육 관련 교내 연수 주제는 무엇입니까?
특수학급 교사에게 가장 필요한 특수교육 관련 교내 연수 주제는 무엇입니까?
특수학급 교사들에게 주로 장려하는 연수 형태는 무엇입니까?
통합학급 담임교사를 배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무엇입니까?
특수교사에게 특수교육 외에 다른 업무를 배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무엇입니까?
특수교사가 특수교육 업무 외에 다른 업무를 맡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까?
특수교사가 특수교육 업무 외에 다른 업무를 맡는 것이 필요 없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특수학급에서 예산이 가장 많이 투입되는 부문은 무엇입니까?
특수학급 예산 중 가장 확대되어야 할 부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특수학급 운영 관련 예산으로 인해 일어나는 갈등은 주로 어떻게 해결합니까?
교감으로 특수교육과정에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 특수교사가 일반학교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교육계획을 수립할 때 좀 더 촘촘해야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통합학급 담임교사를 배정할 때 본인의 의사도 미리 물어보는 것이 좋을 듯싶다.
올해에는 휠체어를 탄 통합학급 학생이 있었기에 미리 특정 교사에게 의사를 타진했었다. 감사하게도 흔쾌히 수락해 주었다. 휠체어가 이동하지 못하는 곳은 그 선생님께서 업어서 이동하는 모습을 자주 본다. 현장체험학습 중에도 버스를 오르내릴 때 덩치 큰 학생을 직접 업어서 오르내린다. 참 수고를 많이 하시는 선생님이다. 힘들다고 말씀을 하실 법도 한데 한 번도 힘든 내색을 비치지 않는다.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담임교사와의 관계도 무척 중요할 것 같다. 협업의 개념으로 함께 힘을 모아야 순탄하게 1년 간의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다. 그 중간에 교감이 해야 할 역할을 오늘 특수교육 정책 조사를 통해 다시 상기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