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현 Oct 06. 2023

직시할 용기

남들을 의식하지 않고, 내가 진짜 원하는 삶이 무엇인지 직시하기로 했다

 당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사실을 직시하라.
그것이 당신을 변하게 할 것이다.
- 키에르케고르 -


 학창 시절, 한 남자애가 자신이 좋아하는 여자애한테 고백했다가 차였다는 이유로, 내게와 화풀이로 욕한 적이 있다. 나는 아무 말도 못 하고 벙쩌서 듣고만 있었다. 그리곤 집에 왔는데 갑자기 억울함이 밀려들었다. 주체할 수 없는 눈물이 솟아올라서 방 안에 틀어 막혀 한참을 울었다. 엄마는 “누가 욕하면 너도 같이 욕해버리면 그만이지, 그걸 왜 집까지 들고 왔어!”라며 나무라셨다. 안 그래도 억울한데 설움까지 더해져서 눈물 줄기가 더 굵어졌다. 


 그때 나는 왜 반격하지 못했을까? 갈등을 싫어하는 내가 그 자리에서 취할 수 있는 선택지에 ‘싸우기’는 없었다. 최선은 ‘가만히 있기’, 그리고 차선은 ‘울기’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나는 왜 이렇게 참고 사는지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가만히 있다가 당하는 것은 분했다. 그러나 정면으로 돌파하는 건 더 고된 일이었다. 여태껏 한 번도 제대로 부딪혀 본 적이 없으니, 만약에 정면 돌파했다가 내 세계가 걷잡을 수 없이 혼란스러워지면 어쩌지, 하는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다. 엄마의 말처럼 진짜로 같이 욕해도 되는지 헷갈렸다. 동화책에서든 교과서에서든 ‘싸우지 말라’는 가르침은 늘 노골적이었고, 나는 수년간 그것이 맞다고 생각했으니까. 


 싸워도 된다는 쪽으로 마음이 조금이나마 기운 건 스무 살이 된 이후였다. 당시 나는 재수를 하고 있었고, 이 시기에 영어 과외를 해주시던 선생님이 내게 ‘회피 성향’이 있다고 이야기하셨다. 선생님이 보기에 문제를 일으킨 게 무엇이고, 어떤 상황이었는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다. 중요한 건 내가 취한 행동이었다. 선생님은 종종 “도망치지 말고 싸워.”라고 말하셨다. 그러나 나는 매번 고집스럽게 도망쳤다. 그리고 이 성향은 성인이 되어서까지도 이어졌다. 


 문득 주변을 돌아보니 이 문제가 나만의 문제는 아닌 듯싶었다. 내 주변에도 나와 비슷한 성향을 지닌 이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내 가족 중에는 타인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 그는 남들 부탁을 들어주느라, 정작 본인 일을 제때 끝내지 못하기도 했다. 고등학교 동창은 남들에게 자기 의견을 말하는 걸 어려워했다. 편의점에서 간식을 고를 때도 상대가 고르는 걸 보고는 따라서 골랐다. 식사로 어떤 메뉴가 좋을지 이야기할 때도 자신의 욕구를 드러내는 법이 없었다. 직장에서 한 동료는 자신의 감정을 철저히 억눌렀다. 특히나 부정적인 감정을 드러내는 걸 꺼려했고, 감정을 표현하는 건 남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라고까지 생각했다.


 나를 포함해서 자신을 좀처럼 내보이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공통점이 있었다. 바로, 남들을 신경 쓰느라 자신이 진짜로 원하는 걸 쟁취하지 못한다는 사실이었다. 또한 사람들에게 미움받지 않으려 애쓰고, 갈등을 피하고, 어떠한 구속이나 책임도 싫어하다 보니, 인간관계에 있어서 쉽게 피로감을 느끼면서 자신만의 세계로 빠져들기도 했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삶이 위축되고, 점점 더 진실된 인간관계를 맺기가 어려워진다. 


 사실은 모든 인간관계엔 필연적으로 마찰이 있다. 그래서 갈등 자체를 거부하고 회피하면, 그 관계는 발전하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갈등을 제대로 직면하고 해결해 나가고자 하면, 오히려 관계가 회복되고, 나아가 지속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회피형 인간의 반격은 ‘투쟁’이 아니라, ‘진정한 관계 회복’을 위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다양한 이유로 내 삶을 제대로 직시하지 못했다면, 이제는 회피형 삶을 살았던 과거의 탯줄을 끊고 ‘진짜 내 삶’을 살기로 다짐한다. 남을 의식하는 삶이 아닌, 내가 진짜로 원하는 삶을 직시해본다. 그것이 내게 참된 삶의 의미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기대하며. 



사진: UnsplashMichael Schofield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