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왕식
□
홍난파 선생 젊은 시절
■
홍난파 선생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친일 오명을 둘러싼 재평가의 필요성
문학평론가 청람 김왕식
홍난파(洪蘭坡, 1898~1941) 선생은 한국 근대 음악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작곡가이자 음악 교육자로서 한국 음악계에 큰 족적을 남겼다. 그는 경기도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음악적 재능을 보였으며, 일본 도쿄 음악학교에서 유학하며 서양음악을 본격적으로 익혔다. 귀국 후에는 한국 최초의 관현악단인 ‘경성음악단’을 조직하는 등 서양음악의 보급과 교육에 힘썼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고향의 봄, 봉선화, 성불사의 밤 등이 있으며, 이 곡들은 지금도 한국인의 정서를 어루만지는 명곡으로 사랑받고 있다.
그의 음악적 업적과 별개로, 친일 행적이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일제강점기 동안 그는 일본 제국주의를 찬양하는 노래를 작곡하거나 연주하며, 음악을 통해 일제의 정책을 홍보하는 데 기여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대화찬가, 국기아래서 등의 곡은 그의 친일 행적을 증명하는 자료로 지적된다. 이러한 이유로 그는 광복 이후 친일파 음악가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게 되었으며, 일부 연구자들은 그의 업적과 함께 이 문제를 공정하게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홍난파를 둘러싼 친일 논란에 대한 재평가는 보다 면밀한 역사적 고증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가 친일 행적을 보인 시점은 이미 일본의 강압과 검열이 극심해진 시기였으며, 음악 활동 자체가 생존과 직결된 상황이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그는 말년에 항일운동을 하는 독립운동가들과 교류하며, 일본의 압박 속에서도 민족적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는 연구도 있다. 그가 1941년 요절하면서 해방 이후 자신의 입장을 직접 밝힐 기회를 갖지 못한 점도, 그를 일방적으로 친일파로 단정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다.
따라서, 홍난파 선생의 음악적 유산을 온전히 평가하고, 그의 친일 논란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갖추기 위해 보다 철저한 역사적 검증이 필요하다. 단순히 친일파라는 낙인을 찍는 것이 아니라, 그가 남긴 음악적 공헌과 시대적 한계를 함께 고려하여, 그의 행적을 보다 객관적으로 조명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학술적 연구뿐만 아니라, 대중들에게 그의 생애와 음악이 지닌 가치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교육과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단순히 한 음악가의 명예 회복을 넘어서, 우리 역사를 더욱 정확히 바라보는 과정의 일환이 될 것이다.
ㅡ 청람
홍난파 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