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자크슈타인 Oct 30. 2024

힘없이 스러져간 별들이여..

10.29 이태원 참사 2주기를 지나치며


오늘은 샌드위치데이다.

어제는 10.29 이태원 참사가 있었던 2022년의 10월 29일 이후 참사 2주기를 맞이한 날이었고,

내일은 올해의 할로윈 데이를 맞이하는 2024년 10월 31일..


차마 씹을 수도 삼킬 수도 없는 고통으로 가득 찬 하루다.  어제와 내일 사이에 놓인 이 하루, 참사 2주기를 맞아 미디어를 통해선 다시 그날의 기억들과 유가족들의 외로운 싸움이 조명되었고, 애써 마음을 다잡아도 가슴속에서 먹먹하게 밀려드는 깊은 슬픔과 마주할 수밖에 없는 그런 날.


이 사이에 낀 10월 30일이 되어서야 먹먹한 가슴을 조금이라도 쏟아놓고 싶어 펜을 든다.


그날, 나 역시 발걸음을 옮길 뻔했던 그 주말의 이태원..


그저 매년 즐기던 축제의 거리였을 뿐인데, 159명은 아무런 의심 없이 그곳을 향했겠지. 손을 뻗으면 닿을 것 같은 죽음이 그들 바로 곁에 있었다는 걸, 잠시 후에 나의 곁에 다가와 내 손을 붙잡고 다시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보지 못할 곳으로, 그렇게 훌쩍 떠나버릴 줄 159명의 희생자들은 알고나 있었을까.


마지막 인사도, 미처 나누지 못한 대화도, 그 모든 것들을 그토록 허망하게 남겨둔 채 그들은 떠났다. 아무도 그들을 부르지 않았는데, 죽음은 그렇게 조용히 다가와 그들을 데려갔다.


마지막 순간에 스쳤을 그들의 심정… 차마 상상할 수조차 없는 그 두려움과 공포, 못다 한 말들이 마음을 무겁게 짓누른다. 그들의 부모, 가족, 친구, 연인… 이들은 이제 남은 삶을, 그날의 그림자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점차 희미해지는 목소리를 기억하며, 마지막 그 온기를 애써 붙잡으려, 그날의 기억 속에 갇혀 숨 막히는 슬픔을 품고 살아갈 것이다.


꿈에도 모르고 그저 축제의 장을 즐기러 나왔다가 ‘이게 마지막이구나..’ 하는 것을 직감했을 때의 그 심정, 그 159개의 마음들을 생각하면, 그리고 그들에게 연결되어 있는 그들 각각의 부모와 가족, 수많은 지인들의 눈물을 생각하면 속이 울렁거릴 정도로 가슴이 아리다.


살아남은 195명의 생존자들 역시 그 삶이 예전과 같을 수 있을까. 그날, 눈앞에서 친구와 연인의 마지막을 목도하며, 몸과 마음에 새겨진 상처를 품고 살아가는 그들의 삶. 악몽처럼 다가오는 기억 속에서 끊임없이 그 고통을 되새기며 매일매일을 견뎌내야 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나로선 감히 상상조차 되지 않는다.


우리는 아직 그들에게 해줄 수 있는 것이 없다. 유가족들은 여전히 그날의 진실을 밝혀내려 애쓰고 있지만, 책임을 져야 할 이들은 여전히 어디에도 없다. 그들이 남겨둔 자리는 공허한 약속과 답 없는 침묵만이 가득할 뿐이다.


대통령의 관저 경비에만 몰두했던 공권력, 썩어빠진 권력의 해바라기들.  수많은 무고한 시민들이 스러져가던 그 순간, 두 손을 놓고 뒤돌아보던 책임자들. 성수대교와 삼풍백화점 붕괴, 대구 지하철 참사, 세월호… 그리고 이태원까지. 재난이 왜 반복되는지 살펴보면 필경 대동소이한 원인이 나오더라.


이름만 다를 뿐, 우리는 여전히 같은 비극을 반복해오고 있다.  다음은 내 차례가 아니라고 누가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까.


무엇이 이토록 부끄럽게 반복되는 참사를 만드는 걸까. 그들에게 묻고 싶다. 언제까지 우리는 미리 막을 수 있던 일을 막지 못한 채 이렇게 소중한 생명들을 잃어야만 하는 것이냐고. 이 묻혀진 마음들을 어떻게 할 것이냐고.


결국 책임감의 부재와 안전에 대한 무관심, 안전관리 소홀이 반복되는 비극의 근본 원인일 것이다. 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사회는 그 고통을 견디며 책임과 변화를 요구하지만, 그 목소리는 이내 잦아들고 정책과 시스템으로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심지어 마련되어 있는 안전관리 시스템조차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이를 무시하며, 사고가 터진 후에는 책임 회피와 간교한 법적 대응으로 가벼운 처벌과 무죄로 풀려나는 꼴을 얼마나 더 보아야 하는가.


더 이상 이런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이제는 변해야 한다. 이런 참사들을 잊지 않고 계속 기억하며,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갖는 것 역시 중요하겠다.


그들의 목소리를 외면하지 않고, 그들의 삶을 온전히 기억하며, 이 비극이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우리 모두가 끝까지 함께하자고 말하고 싶다.  개인이든, 기업이든, 정부든 안전과 생명에 대한 진정한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힘을 모으자고 말이다.


.

.







작가의 이전글 역사 속 섹스와 매춘에 대한 이야기들, 두번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