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채움 Jul 09. 2024

#3. 이번 달 급식 식단표가 필요해!

: 급식 식단표 사용 설명서



"오빠, 이번 달 급식 식단표 나오면 한 장 넘겨줘요!"

매월 첫째 주에 진행되는 나만의 루틴 중 하나는 오빠가 일하는 학교의 급식 식단표를 받는 것이다.

예전 같았으면 우리 학교 것도 출력했겠지만 출산이 코앞인 지금 학교를 쉬고 있어서 우리 집 냉장고에는

하나의 식단표만이 존재하고 있다.


가지고 온 식단표에는 좋아하거나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메뉴에 형광펜을 칠하거나 별표를 그린다. 그리고 오빠에게 음식에 대한 이야기를 하거나 관심 있는 메뉴의 레시피를 찾아본다. 별일 아니지만 밥상을 차리는 것만큼이나 좋아하는 시간 중 하나이다.





#1.

나는 급식에 진심인 편이었다.

급식을 먹기 전이라면 아이들과 함께 어떤 조합으로 밥을 먹어야 쩝쩝박사가 될 수 있을지 열띤 토의를 했고, 급식을 먹은 후라면 으레 점심 먹었냐는 질문을 시작으로 오후 수업의 문을 열었다.


매월 첫째 주가 다가오면 누구보다 빠르게 식단표를 출력해 각 반 선생님들께 나눠드렸고, 내 자리 뒤 사물함에는 늘 형광펜으로 색칠된 식단표가 붙어있었다.

교무실에 용무가 있어서 온 아이들은 겸사겸사 오늘의 메뉴를 확인했고, 쉬는 시간에 수다를 떨려고 교무실에 놀러 왔다가 보고 가기도 했다. 어떤 날은 급식 메뉴 자체가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어 쉬는 시간 10분을 통으로 아이들과 메뉴만 보다가 끝이 난 적도 있었다.



(급식 메뉴를 두고 벌어진 치열했던 토의 현장)



점심시간 동안 나의 급식 업무는 더 바빠진다. 급식을 먹고 올라와 복도라도 한 바퀴 순회하면 어김없이 급식을 안 먹고 간식으로 때우는 아이들을 발견하기 때문이다.


“젤리 압수! 오늘 7교시까지 하는데 급식을 왜 안 먹냐. 이따가 학원도 가야 된다면서 어떻게 버티려고~!”

“아 쌤, 오늘 급식 진짜 맛없어요!”

“쌤~ 얘 어제도 안 먹었어요!”

“야!! 말하지 마!”


그와 관련한 잔소리를 늘어놓는 것 또한 학교 일상의 한 부분이 되었는데, 그냥 지나치기도 뭐해서 교무실로 따로 불러 빵이나 과자, 급식실에서 가져온 과일을 챙겨주기도 했다. 그게 뭐였어도 쫌쫌따리 저 젤리보다는 낫겠지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야, 이거 먹느니 국에 밥 말아가지고 한 그릇 먹고 오겠다"라고 같이 놀러 온 아이들과 희희낙락 웃고 떠들다 보면 나의 점심시간은 후딱 지나가있었다.


그만큼 식단표를 확인하고 관련 이야기를 꺼내는 것은 나에게 있어서 시험 문제를 출제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했다. 이는 학교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아이들의 일상을 확인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자 서로에게 관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확인할 수 있는 과정, 그리고 투박한 애정이 담긴 소통 창구의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2.

이 급식 업무는 우리 반 아이들에게도 왕왕 퍼졌다. 아이들은 매일 아침 식단표를 보며 자신의 일상을 공유하고 서로의 안부를 챙겨 물었다. 생각해 보면 매일 바뀌는 학교 급식 메뉴가 '집-학교-학원-다시 집'으로 귀결되는 단조로운 15살을 보내는 아이들에게 좋은 스토리텔링의 예시가 되지 않았을까 싶다.


나아가 아이들은 이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표현하고 싶어 했다.

그래서 이를 행동으로 옮긴 것이 바로 ‘급식 식단표 팔찌’.

급식 메뉴를 통해 대화의 주제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매번 식단표를 들고 다닐 수 없는 노릇이었고

친구들이 물어볼 때마다 일일이 종이를 폈다 접었다 하기도 귀찮아서 구안한 방법이었다. (사실 그중에 나도 포함되어 있었다)




(9월 자 급식 식단표_ 우리는 식단표를 시계처럼 차고 다니면 다른 반 아이들의 부러움을 살 수 있다.)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 주 단위로 구성된 식단표를 잘라 일렬로 길게 붙이고 앞뒤로 접어준다.

 - 맨 앞장과 뒷장은 표지를 붙여 책처럼 만들고 구멍을 뚫어 손목 사이즈에 맞게 고무줄로 묶어주면 끝-

  *앞/뒷장 표지 디자인은 자기가 원하는 대로.

  *자기가 좋아하거나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메뉴를 미리 형광펜으로 색칠해 놓는다면 훨씬 있어 보임.


그 주에 우리 반은 쉬는 시간마다 교내 수공업을 돌리며 서로의 식단표를 챙기고 만들어주었다.

팔찌를 만드는 동안 나와 아이들의 웃음소리는 끊이질 않았다.




#3.

아이들과의 소통 창구 역할을 톡톡히 하던 식단표는 이제 우리 집 아침 식단 구성을 위한 좋은 자료가 되었다. 그날 나오는 메뉴나 칼로리를 보며 아침 식단에 들어가는 재료를 선정하거나 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월요일: 그래도 한 주의 시작이니 파이팅 하라는 의미로 잘 차려진 백반 느낌의 식단.

  - 수요일: 잔반 없는 날이라 대개 맛있고 헤비한 것들이 나오므로 아침 메뉴는 최대한 간단하게.

  - 금요일: 한주의 마지막이니 수업도 업무도 가볍고 신나게 했으면 하는 마음에서 김밥이나 유부초밥으로.

  - 텀블러 데이: 가끔 서브 음료 등이 나오는 날로 아침 과일주스는 패스.

  - 과일주스는 일주일에 3번 이상, 샌드위치 만드는 날에 함께 먹기.


점심에 나오는 메뉴들을 보며 될 수 있는 한 재료가 겹치지 않게 식단표를 짠다.

가끔 냉장고 파먹기 기간이나 긴축 재정 등의 상황에 돌입하면 그에 맞춰 대응을 하는 편이고, 대부분은 이 틀 안에서 유연하게 움직인다. 주 5일 동안 잘 차려진 백반보다는 주먹밥, 샌드위치와 같은 핑거푸드 등이 대부분이지만 여기에도 나름의 설계와 규칙이 있는 셈이다.




#4.



주말을 제외하고 5개의 칸으로 이루어진 식단표를 하루하루 지우고 나면 한 주가 된다. 

그리고 낱알처럼 모인 한 주는 쌓이고 쌓여 한 달을 이룬다.

부유하던 메뉴들은 재료나 성분, 주제에 따라 조합되어 하나의 식단표를 구성하고, 아이들에게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기 위한 준비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주 급식 라인업이 미쳤다'는 아이들의 호들갑은 식단표가 들을 수 있는 최고의 찬사이지 않을까.


한 달이라는 시간 동안 우리도 변화를 꾀하며 무언가를 이루기 위한 준비를 한다. 

하루하루 자신의 가치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삶은 얼마나 찬란하고 눈이 부시던가.

그래서 잘 짜인 한 달치 식단표를 보고 있으면 나도 이번 달 잘 살아봐야지라는 생각이 든다. 소위 '갓생'을 사는 삶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느 것 하나 휘둘리지 않고 스스로 유영할 수 있는 삶을 꾸려야지라는 다짐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것이 선생님의 업무든 주부로서의 삶이 되었든 말이다.


그리곤 평범한 일상 속에서 찾을 수 있는 행복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 본다. 

우리의 일상 속 도처에도 분명 형형색색으로 칠해진 급식 메뉴들이 숨겨져 있을 것이다.

그것은 작지만 확실하다. 소소한 것들이 대부분이지만 존재만으로도 충만한 느낌을 준다. 어쩌다가 내가 좋아하는 메뉴라도 발견하는 날에는 그렇게 기분이 좋을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그런 생각들을 한다면 꼭 대단한 목표, 큰 성취까지는 아니더라도 행복한 일상을 영위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 수도 있겠다는 용기와 기대감이 생긴다.




소통 창구이자 식단 구성을 위한 자료집, 

그리고 자칫 늘어질 수 있는 단조로운 일상에 원동력이 되어주는 급식 식단표.


오늘 하루는 눈을 크게 뜨고 찾아보면 어떨까.

내 주위에 형광펜으로 칠한 보석 같은 급식 메뉴들이 숨겨져 있는지 말이다.











이전 02화 #2. 다정한 식탁의 면면함에 대하여.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