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옹 Feb 22. 2024

나를 짓는 자유, 그리고 외로움

“나는 나를 짓는 주체이면서 내가 짓는 객체다. 주체인 동시에 객체로서 하나인 나, 인간이 본디 자유로운 존재이면서 외로운 존재인 것은 이 점에서 비롯된다. 자유롭기 때문에 외롭고, 외롭기 때문에 자유롭다.”

(홍세화 지음, 「결: 거침에 대하여」, 한겨레출판, 2020, 25쪽)    

 



사람마다 인생이 각양각색인 데는 각자 자기만의 방법으로 살아가기 때문이다. 지난 내 삶을 보더라도 스스로 한 수많은 선택의 흔적이 남아있다. 하지만 그 선택에는 옳고 그름이 없다. 정답이 없고 오답이 없다. 내가 한 선택,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그러니 삶에서 내가 가진 것은 그저 선택할 자유뿐이다.


누구나 자기 인생을 잘 살아내고 싶을 터, 그러려면 ‘나’라는 집을 나답게 ‘지을’ 수 있도록 ‘선택의 자유’를 제대로 활용하면 된다. 물론 그것이 만만한 일이 아님을 안다. 내가 없는 세계는 내게 무용(無用)•무의미한 세계여서 나는 세계의 전부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세계 속 일부로 엄연히 존재하는 또 다른 나를 부정할 수도 없는, 그런 모순 속에 내가 있어서다. 내 세계를 내 마음대로 지으려고 세계 속에 있는 나를 포기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러니 힘들지 않고 외롭지 않을 도리가 없다. 


그렇다고 자유로부터 도피할 수도 없는 처지다. 노예로 살아갈 수는 없지 않은가. 하여 어찌할 수 없으면 즐기라는 말처럼 자유도 즐기고 외로움도 즐기는 게 상책(上策)이다. 외로움을 즐기기 어려우면 달래기라도 해야 하는 것이다. 저자가 또 다른 나와 ‘소리 없는 대화’를 나누어야 한다고 강조한 이유다. 그것으로도 부족하면 사회적 존재라는 최후의 무기를 사용하여 같은 시대를 사는 사람들과 서로 사랑하고 연대하는 길도 있다. 묘한 것이 자발성에 기대어 하는 연대와 참여는 외로움만 달래주는 게 아니라 자유도 지켜준다는 점이다. 내가 이 순간 이렇게 쓰는 걸 멈추지 못하는 까닭이다.      


ⓒ 정승주 

이전 07화 어쩔 수 없어 쓴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