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연주 May 08. 2024

행복 줍기

나는 숨은 그림 찾기 하는 심정으로 행복을 줍는 중이다.


밀레의 이삭 줍는 여인들이라는 그림이 있다. 파리 오르세 미술관에서 실제 작품을 봤을 때 생각보다 큰 아우라가 느껴지진 않았다. 다큐멘터리를 보는 기분이었다. 저 여인들은 왜 이삭을 줍고 있을까. 풍요롭지는 않았던 그 시대의 농민들의 고달픈 삶이라더니 역시 사실적이군. 농민의 단편을 잠시 훔쳐본 기분이었다. 문득 호기심이 들었다. '누가 그렇대?!'


생각해 보니 화가는 말없이 그림만 남겼을 뿐 저 그림 속 여인들의 인터뷰를 따지도 않았고 표정이 드러나지도 않았다. 미술관에 가기 전에 교양서적 이것저것 뒤적거리며 미술사에 대한 기초 상식을 쌓고 갔다 보니 이미 정형화된 해석이 마치 내 감상인 양 그대로 들어왔다. 물론 밀레는 농부의 아들이었고 평생 농촌의 일상을 그렸다.


하지만 저 그림 속 여인들이 무슨 기분이었는지 저 여인들 말고는 아무도 모르지 않을까. 저 때 유쾌한 농담을 주고받으며 까르르 웃었을 수도 있다. 풍년이라서 기분이 좋았을 수도 있고 뼈 빠지게 농사일했는데 이제 집에 가면 남편 밥 차려줘야 할 생각에 아이고 망할 놈의 내 팔자야 하며 남편 흉을 봤을 수도 있다.




내가 매일 글 쓰고 열심히 일에 몰입하는 것을 누군가 그림으로 그려준다면 어떤 그림이 될까. 미래의 사람들은 그 그림을 보고 어떤 감상을 남길까. 당장 미래까지 가지 않더라도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은 어떤 느낌을 받을까. 관점에 따라 누군가는 내 글이 너무 처절해서 불쌍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 내 불행에 새삼 자신의 다행을 비교하며 좋아할 사람도 있을 수 있다. '너무 안타깝다, 그래도 내 남편은 정신이 건강해서 다행이야. 나는 참 행복하네. 남편한테 더 잘해줘야지.' 또 누군가는 나와 비슷한 경험을 하고 동질감을 느끼며 눈물을 흘릴 수도 있고, 자신이 오랜 시간 상처받고 가스라이팅 당했다는 걸 인지하지 못했던 사람은 내 글에서 작은 깨달음을 얻을 수도 있다. 심지어 아무개 씨는 신박하게도 내 글을 읽고 대뜸 결혼 시장에서 내가 '급'이 높은 '상급'으로 추측된다며 내 '급'에 대해서 평가하더니, 원래 멀쩡한 상급 남자는 희박해서 상급 여자는 결혼하기 어렵다고 갑분 계급론에 대해 일장연설하는 댓글도 달았다.(헐;) 이렇듯 100명의 사람, 100개의 생각처럼 사람들의 감상은 다양하다.




그러나 바라건대 나는 이 글이 그저 행복 줍기로 남기를 바란다. 글을 쓰는 이유는 스스로 위로를 건네고 실연을 애도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그런 건 부수적으로 따라오는 것일 뿐 그저 모든 감정을 기민하게 따라가다 보면 내가 깨어있음을 각성할 수 있으리라는 작은 희망으로 쓴다.


지난날 여행할 때는 인생이 길바닥에 있다고 믿었고 요가를 할 때는 요가매트 위에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인생은 어디에나 있고 어디에도 없다. 단지 나에 대해 올바른 시각을 가지려고 계속 노력하며 타인에게는 그보다 더 따뜻한 시각을 가진다면 꼭 글쓰기가 아니어도 어디서나 무엇에서든 행복을 계속 주울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내게 무슨 일이 생겼든지 간에 이렇게 계속 행복을 줍다 보면 나는 지속적으로 행복한 사람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그러니 매일 무너지고 또 무너지는 증오와 원망 같은 거북한 감정 때문에 나 자신을 괴롭히지 말자. 이것조차 사랑스러운 나의 일부일 뿐이다.




나는 매일 행복을 줍고 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