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행동 유지전략단계
@도입: 미술치료에 있어 지켜야 할 규칙과 오늘의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➀ 제한된 물감을 인지하고 선택하기
➁ 종이컵에 담겨있는 물감 물을 책상에 쏟지 않기
@활동:
1. 연구대상자와 함께 정한 규칙
2. 물티슈 놀이 프로그램 활동
➀ 물티슈를 탐색하기(물티슈의 촉감을 느끼고 부드러운 감촉을 경험한다. 물티슈를 손으로 늘려 보거나 찢어보며 재료의 특성을 탐색한다)
➁ 물티슈 접고 묶기(물티슈를 다양한 방법으로 접어 주름과 모양을 만들어 본다. 고무줄을 이용해 단단히 묶으며 패턴을 만들 준비를 해본다)
➂ 물감 물 만들기(선택한 물감을 종이컵에 담고 물을 섞어 염색용 물감을 만들어 본다. 물감의 농도를 조절하며 색의 변화를 관찰한다)
④ 물티슈 염색하기(묶은 물티슈를 물감 물에 담가 다양한 색을 입힌다. 여러 가지 물감 물을 조합해 보고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관찰한다)
➄ 완성된 염색 물티슈 널기(염색한 물티슈를 조심스럽게 펼쳐서 무늬를 감상한다. 벽과 창문을 활용하여 줄을 고정한 후 물티슈를 널어 말리며 완성된 작품을 감상해본다)
3. 감정 나누기와 소감 발표
@이야기 나누기:
1. 프로그램에 대한 소감 나누기
염색된 물티슈를 보며 나타난 색과 무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이를 통해 떠오르는 이미지를 함께 떠올려 본다. 또한, 줄에 널려있는 물티슈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을 선택한 뒤, 그 이유를 치료사와 함께 이야기 나눈다.
2. 감사와 격려의 시간
활동과정에서 규칙을 잘 지키고 작품을 성실하게 완성한 아동에게 감사를 전하며 활동을 마무리한다.
저는 활동을 파트로 나누어 진행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ADHD 아동처럼 주의집중력이 낮은 경우뿐만 아니라, 일반 아동에게도 50분은 때때로 짧게 느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1부에서는 아동이 활동에 자연스럽게 몰입할 수 있도록 매체 탐색과 흥미 유도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를 위해 활동의 목표를 명확히 하되, 강압적인 방식이 아니라 아동이 스스로 탐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1부에서 규칙을 공유하는 것은 활동의 구조를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ADHD 아동이나 주의집중이 낮은 아동에게는 규칙을 단순히 나열하기보다는 자연스럽게 체험하면서 익히도록 돕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활동 도중 “이 부분을 다 사용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어”와 같은 방식으로 실천 가능한 규칙을 안내하면 아동이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강화 역시 1부에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아동이 활동에 몰입할 때 “이렇게 해보니까 재미있구나!”, “이런 방법도 있네!”와 같이 아동의 시도를 인정하고 칭찬하는 피드백을 제공하면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처럼 1부에서는 ADHD 아동이 미술 활동과정에서 매체 탐색과 규칙 안에서 자유롭게 작품을 창작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다음 2부에서는 완성도를 고려한 표현 활동을 강화하거나, 아동이 창의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활동을 이어가 볼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