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nndrew Jun 30. 2020

보크와 견제구

2020.06.27. vs KT

 

김민우는 성장했다. 야구 팬에게 팀의 유망주의 성장한 모습을 목도하는 일은 대단한 뿌듯함을 안긴다. 이 팀에 그런 선수가 거의 없다는 사실이 기쁨을 배로 할 것이다.


95년생, 고교 최대어, 혹사와 부상, 기나긴 재활, 강속구 선발 투수. 그는 이 날 경기에서 견제구 동작이 투수를 기만한다하여 보크 판정을 받았다. 내가 아는 보통의 한화 투수, 그리고 김민우는 여기서 무너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작년 이맘 때 그는 흔들리면 속절없이 무너졌던 것을 기억하기에.


놀랍게도 김민우는 보크 이후에도 또다시 견제구를 1루에 뿌렸다. 보크 판정에도 아랑곳 않고, 보란듯이, 의연하게. 그는 위기 상황을 담대히 헤쳐나갔다. 5이닝 2자책의 기록과 8 탈삼진을 잡아내며 선발을 마무리했다. 이 안타까운 선수는 팀의 빈곤한 득점 지원 하에서 이 날도 패전을 기록했다. 그래도 괜찮다. 지옥을 뚫고 지나가는 심정으로 마음을 단련했다는 것이 느껴졌다.


나는 김민우의 보크가 왜 보크인지 잘 모르겠다. 다른 보크 판정도 마찬가지이고 야구에서의 보크는 어려운 구석이 많다.


 따지고보면, 인생의 안 풀리는 순간은 보크랑 닮아있다. 분명히 노력하고 고쳐가려고 애를 써본다. 여러 사람이 내 인생을 들여다보고 문제 상황을 이해해보려한다. 그래도 원인이 뚜렷하지 않다. 문제에는 분명 이유가 있을텐데 답답한 순간들이 많다. 어설픈 추측과 가설 설정으로 상황을 납득해보려 할 뿐이다.


그런데 오늘 보니 끝내기 보크가 아니고서야, 보크 자체는 경기 전체에 크게 중요하지 않은 것 같다. 보크의 순간을 의연하게 넘길 수 있다면, 보크를 두려워하지 않고 견제구를 계속해서 1루에 던질 수 있다면. 슬럼프의 길이와 경기의 판세는 보크가 아니라 보크 이후의 자신감과 의연함에 달린 것 같다.





이전 04화 야구팬에게 월요일의 의미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