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 시절에 시를 참 좋아했었다. 분명 책은 책인데 한 페이지 안에 여백이 이렇게 많다고? 게다가 얼마 되지 않은 단어들은 하나같이 예뻤다. 어떤 시구들은 내 마음속으로 불쑥 손을 뻗어 마구 휘저어놓기도 했다. 시의 매력에 퐁당 빠져들어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시집을 매일 읽었다. 그리고 한 편씩 외우기 시작했다. 스스로 만든 챌린지였는데, 아마 예쁜 시어들을 내 것으로 만들고 싶은 마음에서 시작했을 것이다. 부모님께 부탁드려 받아낸 동시집 한 권을 늘 옆에 끼고 읽으며 외웠다. 그러다 보니 나는 시를 좋아하는 어린아이가 되어있었고, 종국에는 ‘시를 쓰고 싶다’는 열망이 강하게 불타올랐다.
4학년 어느 날, 한 단체에서 주최하는 글짓기 대회 소식을 들었다. 평소 책 읽는 것을 좋아한다는 것이 선생님들 사이에 알려져 나는 그 대회의 참가자로 발탁이 되었다. 그리고 ‘당연히’ 운문 부분으로 출전하겠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어린아이가 시를 쓰겠다니 모두들 신기해했다. 짧은 문구에 함축된 이야기가 좋았다. 구구절절 설명하거나 풀어쓰지 않아도 되는 점 또한 매력적이었고 약간의 틀 안에서는 맘껏 뛰어놀 수 있는 시적 허용이라는 것에 완전히 푹 빠져들었다.
그렇게 교내 글짓기 선생님의 지도 하에 얼마간 훈련이 있었다. 주제는 무엇이 나올지 모르니 어떤 주제가 나와도 줄줄 쓸 수 있도록 자주 써봐야 했다. 쓰고 쓰고 또 쓰고. 자꾸자꾸 쓰면서 생각했다. 나는 시를 쓰는 것보다 읽는 것을 더 좋아하는 아이였구나. 시 쓰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이었구나. 시인들은 천재가 아닐까? 매일매일 원고지 앞에서 절망하며 내가 내뱉은 ‘운문으로 나갈게요!’를 지키려 노력했다. 그리고 대회날.
주어진 주제는 가을하늘이라던가, 코스모스, 고추잠자리와 같은 시적인 단어들이 아니었다.
'시장'
뭐라고? 여태껏 흔하지만 그래도 아름다운 시어들을 연결하고 완성하는 연습을 해왔는데 다리 밑 5일장에 대해서 써야 한다고? 지도 선생님은 당황하셨지만 무엇보다 황당한 건 나였다. 시의 세계란 정말 광대하구나. 예쁘고 다듬어진 동시들만 보아왔는데(가령 ‘비눗방울’이라던가, ‘풀잎 위의 이슬’이라던가) 엄마가 물건 값을 깎느라 흥정하는 시장판도 시어가 될 수 있구나. 현기증을 느끼며 원고지를 받고 자리로 돌아온 나는 한 시간 동안 종이 위를 헤매었다. 그리고 머리를 쥐어짜 내 시를 완성했다.
선생님도 알고 계셨다. 내가 주제를 보고 크게 동요했다는 것을, 그리고 이 아이는 협소한 동시의 세계에 갇혀있다는 것을. 마감시간 10분을 남기고 혼신의 힘을 다해 시 한 편을 써내 선생님께 드렸는데 선생님께서는 한 번 훑어보시더니 이런 말씀을 하셨다.
“지현아, 미안한데. 우리 산문으로 출전하자.”
뭐라고요? 여태 운문으로 연습을 해왔는데 갑자기 10분 남겨놓고 산문을 쓰라고요? 하지만 머뭇거릴 시간이 없었다. 대회에서 즉석으로 출전부문을 교체할 수 있는 것은 행운이었지만 일단 제출 마감시간까지 10분밖에 남지 않았다.
시장과 관련된 이야기를 떠올려야 한다. 시장, 시장, 시장… 엄마가 물건 값을 깎는 장면, 할머니들이 사투리를 써가며 정겹게 물건을 파는 장면, 5일마다 열리는 장터 등등 순식간에 많은 장면들이 머릿속을 스쳐 지나갔고 다들 지우개 가루를 탈탈 털어내는 시간에 다시 미친 듯이 써야만 했다. 5분 만에 완성한 형편없는 산문, 심사위원들이 글씨라도 알아볼 수 있길 바라며 원고는 지도 선생님께 넘어갔다. 5분 정도의 검토 후 제출된 어이없는 내 원고.
결과는? 나는 그 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내 글은 당시 아동문학지에 실렸고 나를 인터뷰하기 위해 당시 유명한 아동문학 작가들이 학교에 방문했으며, 플래카드가 걸린 좌담회가 개최되었다. 어떤 이야기를 나누었는지 잘 기억은 나지 않지만 정말 대단한 글이라고 극찬을 받았고 나는 왜 그런 말을 듣는지 내내 갸우뚱했다. 나에게 그건 시간에 쫓겨 대충 써낸 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그때부터 나의 동시 세계는 빠르게 소멸되어 갔다. 더 이상 시집을 읽고 싶은 열망이 생기지 않았으며 매일 시 하나씩 외우는 일도 그만두었다. 나는 함축된 시어로 내용을 표현하는 것보다 읽기 쉽게 풀어쓰는 데에 재주가 있었구나.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사이에는 종종 거리감이 있다. 좋아하는 것에 함부로 덤비지 않기로 마음먹었다. 그리고 잘하는 것을 조금씩 좋아해 볼 용기가 생겨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