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도서 | 하루 5분 UX (14)(마무리)

제14장: UX업계에 몸담고 싶다면

by 나영 Feb 24. 2025

Lesson 98: UX 디자이너가 하는 일


★현실체크★

전문적인 UX 디자이너가 되면 대부분의 시간 동안 정보를 수집하거나 사람들에게 무언가를 설명하는 일을 한다. 사람들은 당신에게 동의할 수도,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다.


UX는 대부분 동료가 잘 알지 못하는 영역이다.



매우 다양한 UX 관련 업무

UX 실무자의 일은 고객 유형, 프로젝트 종류, 회사 종류분 아니라 자본이 많은 회사인지 적은 회사인지에 따라서도 매우 다양하다.


내부회의(대부분 불필요) 30%
문서 디자인 10%
스케치/와이어프레임 10%
페이스북/메신저 잡담 7%
요청 및 피드백에 관한 논의 6%
  .
  .
  .






Lesson 99: 자신에게 적합한 UX 직무 찾기


UI vs UX

UI는 당신이 눈으로 보는 것과 관련이 있고, UX는 당신이 그것을 보게 되는 이유와 관련 있다.



제너럴리스트 vs 스페셜리스트

모든 입문자가 제너럴 리스트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모든 걸 시도하라. 모든 걸 배워라. 사람들이 맡기고자 하는 일은 무엇이든 맡아라.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주로 콘텐츠와 페이지 구조에 관한 일을 한다.

작은 프로젝트에서는 그리 어렵지 않으므로 분리된 역할이 있지 않지만, 

글로벌 기업의 내부 전산망이나 정부의 방대한 기로고 보관소, 소셜 네트워크, 위키피디아와 같은 거대한 프로젝트에서는 인포메이션 아키텍처가 무척 중요하다.



인터랙션 디자인

스타일이 거의 배제된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일이다.

인포메이션 아키텍처와는 크게 관련 있지 않으며, 실제 페이지에 사용되는 애니메이션과 플로우, 레이아웃에 대한 세세한 작업을 맡게 된다.

인터랙션 디자인은 프론트엔드 개발이나 UI 디자인과 좀 더 연관된 편이다.



UX

특정 영역에만 집중하고 싶지 않거나 좀 더 큰 그림을 보는 디자이너가 되고 싶다면 UX가 적합하다.

UX는 타 부서와 더 많이 교류하고 비즈니스 측면을 더 고려해야 한다.

인터페이스 같은 기능보다 제품을 전체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일이 더 흥미롭게 느껴진다면 UX가 제격이다.



UX 전략(마케팅 + UX)

큰 규모의 기술 중심 회사나 디지털 에이전시에서 많이 필요하다.

제품 문제를 해결하는 것보다 마케팅적인 측면에서 잘 들어맞는 것에 집중한다.

만약 당신이 주류 회사의 애플리케이션을 만든다면 사용성보다는 전략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UX 리서치

분석을 좋아하고 사용자 문제 해결이 관심이 많다면, 좀 더 과학적인 것을 좋아한다면 잘 맞을 것이다.



에이전시, 인하우스, 아니면 스타트업?

가능하다면 모든 유형의 회사에서 일해보길 추천한다!


에이전시

속도가 중요하다. 무척 빠르게 배우게 될 것이며, 훨씬 흥미진진하고 다양한 일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한 제품에 대해 길게 고민하고 오랫동안 작업할 기회가 없다.


인하우스

주로 하나의 제품이나 한 세트의 제품만 다루게 될 것이다.

아마도 한 제품의 여러 버전을 만들게 될 텐데 여러 가지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으며 A/B 테스트 등을 통해 개별적인 기능과 기술에 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그와 반대로, 경험이 한정되며 다른 분야는 깊이 알 수 없다.


스타트업

회사 내 모든 분야에 관여하게 될 것이다.

UX를 경험한 상사가 없을 가능성이 크기에 나 혼자 결정해야 할 수도 있다.

일이 잘되면 큰 공을 인정받겠지만 조심하지 않으면 제품을 아예 망쳐버릴 수도 있다.

예산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스스로 창의성을 발휘한다면 더 좋은 아이디어를 낼 기회가 될 수도 있다.





Lesson 100: 자신을 어필하는 방법


청중이 누구인지 기억하라

'채용 담당자'는 보통 그 분야에 대해 잘 모를 수 있으니 가정을 하고 지원을 준비해야 한다.

포트폴리오를 설명할 때는 자신이 하는 일이나 관심 있는 분야를 먼저 이야기하라.



이야기는 짧게, 시각적으로 전달하라

보통 UX 포트폴리오에는 멋진 스크린 캡처를 많이 담지 않는다.

매력적인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다면 넣는 것이 좋지만 그렇지 않다면 자신이 한 일을 이야기로 풀어내야 한다.


설명은 짧고 간단하게 하라. 

채용담당자가 세세하게 알고 싶은 마음이 든다면 추가로 더 물어볼 것이다.

당신은 무엇을 했는지, 왜 했는지, 어떻게 리서치했는지, 어떤 한계가 있었는지 설명하면 된다.


UX에서 스타일이 중요한 건 아니지만 시각적인 자료들, 스케치나 와이어프레임, 분석 결과 스크린 캡처, 사이트 맵, 디자인 전후 비교 사진 등이 있어야 한다.



문제, 통찰, 결과에 집중하라

프로젝트에는 리서치를 통해 어떤 문제를 발견했고, 뛰어난 통찰로 증거 자료와 데이터가 뒷받침된 솔루션을 도출했으며, 솔루션의 결과가 좋았다는 과정을 담아라.

사용자를 이해함으로써 일을 성공시킨 경험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면, 경험이 많든 적든 당장 채용하고 싶은 마음이 든 것이다.



경험이 없다면 만들어라


케이스 스터디를 하라

유명 제품이나 웹 사이트 혹은 일하고 싶은 회사를 대상으로 실제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관찰하라.

당신이 발견한 몇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콘셉트를 디자인해 보고 A/B 테스트를 통해 더 조사해 보라.

설계한 디자인의 근거를 설명하고 와이어프레임을 만들어 작업물을 보여주어라.


실제 문제를 해결하라

현실에서 만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디자인하라.

스스로 해결책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면 그걸로 충분하다.


A/B 테스트를 하라

블로그나 개인 웹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가? 그래야만 한다.

구글 애널리틱스의 코테츠 실험이라는 제품을 통해 무료 A/B 테스트를 할 수 있다.

당신의 웹 사이트에서 몇몇 테스트를 진행해 보고 결과가 나오면 포트폴리오에 넣으면 된다.



당신답게 행동하라

자신의 성격을 드러내는 것을 겁내지 마라!

신입에게 많은 것을 기대하는 사람은 없다.

당신이 똑똑하고 문제를 해결할 능력을 갖추었으며 열심히 일할 준비가 되었다는 점을 보여주어라.




모든 이의 꿈을 응원합니다!
각자 자기만의 속도로 잘 나아갑시다. 
고되더라도 같이 견뎌냅시다. 화이팅 ❤︎




이전 16화 도서 | 하루 5분 UX (13-2)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