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루키 Mar 31. 2024

작별

하리에트 바케르

노르웨이 상류층 출신의 바케르는 여성이라는 이유로 정규 미술을 받을 수 없어 개인 수업으로 그림 공부를 했다. 자신의 꿈을 위해서 가족들의 만류를 뿌리치고 기어이 작별의 인사를 하는 여성의 모습을 담은 그림은 어쩐지 화가 자신의 모습과 겹치는 듯하다. 실제로 이 작품은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비보를 받고서도 집으로 돌아가지 않고 완성한 것이다. _작품 해설, 『365일 모든 순간의 미술』


*

(작가, 미술 기법, 역사적 배경 등 일체의 객관적 사실을 배제한 하루키의 감각과 추상표현으로 쓴 감상입니다.)

harriet backer <The Farewell>, (1878) 출처: Wiki



+ 하루키 감상

1877년 (뮌헨에서) 에일리프 페테르센 밑에서 (명암 묘사에 대한) 특별한 회화 기법을 공부하며 공동 작업을 하다 겨울이 되자 (노르웨이) 오슬로 집에 돌아옵니다. 특별한 이곳은 자신에게 항상 다정하고 주변과 인간관계가 좋은 사업가 아버지와 품위와 지적인 어머니가 있는 곳입니다. 밤이 긴 겨울 한낮의 햇볕처럼 밝은 빛과 따뜻함이 넘치는 나의 집.


케르는 현재의 안락함이 두려웠습니다. 밖은 도시화, 산업화로 인해 가난한 농민과 노동자로 가득했고, 스웨덴 분리 독립운동으로 노르웨이는 혼란스러웠습니다. 더 슬픈 현실은 대부분의 여성들은 교육도 받지 못한 채 노예처럼 살았습니다. 이러한 현실은 언제라도 자신과 가족을 불행에 빠뜨릴것만 같았습니다.


1878년 3월 아직 밤이 길었습니다. 세상은 밤에 지배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바케르는 저항군처럼 은밀하고 끊기있게 한 장의 그림을 완성합니다. 가족들은 바케르가 완성한 그림을 보며 가족과의 이별에 대한 서글픈 마음을 표현했다 생각할지모릅니다. (그림 속) 여인의 표정은 슬픈듯 강한 의지가 느껴집니다. 


바케르는 그림의 완성과 함께 어렴풋한 숙명을 보게 됩니다. 노르웨이에 여성 교육*과 예술 전파를 해야 한다는. 숙명은 소명이 되어 그녀를 행동하게 합니다. 해외 유학을 끝내고 돌아온 바케르는 여성 미술학교를 운영하는 한편, 다른 예술가들과 협력해 예술 전파 운동을 펼칩니다. 정치와 폭력이 아닌 예술이라는 평화적이고 아름다움의 힘으로 노르웨이를 바꾸려 노력합니다. 


* 1888년, 바케르는 노르웨이로 영구 귀국하여 크리스티아니아 외곽의 샌드비카에 정착합니다. 1889년부터 1912년까지 미술학교를 운영하며 마리 하우게, 라스 요르드, 헨릭 룬드 등 수많은 젊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



1. 노르웨이 최고 작곡가 (북구 낭만주의의 최고봉) 에드바르드 그리그는 바케르와 동시대를 산 음악가이자 그녀의 친구이자 팬이었습니다. 1893년 샌드비카에 있는 바케르의 아틀리에(작업실)에 방문한 그리그는 우연히 <작별 The Farewell>을 보게됩니다. 위대한 음악가의 감수성은 강렬한 전율로 온몸이 떨렸습니다. 노르웨이 애가哀歌의 현현顯現(나타나고, 들려짐). 수개월 뒤. 여전히 그날의 감흥이 가라앉지 않자 한 통의 편지를 씁니다.


"당신의 그림은 삶과 영혼이 가득하고 진실하며, 진지한, 고귀하고 순수합니다. 노르웨이 사람인 것이 행복하고 자랑스럽습니다."


2. 에드바르드 그리그는 편지를 보내고, 가라앉지 않은 감흥을 그대로 오선지 위로 쏟아냅니다. 현악 합주곡 'Heart-Wounds(마음의 상처)'를 완성합니다.

Grieg: Two Elegiac Melodies, Op. 34 - I. Heart-Wounds



* 화가 - 하리에트 바케르Harriet Backer (1845 - 1932, 노르웨이)

+ 전기(1845~1880)


하리에트 바케르는 노르웨이의 홀메스트란트의 부유한 가정에서 네 딸 중 한 명으로 태어납니다. 그녀의 가족은 1856년 크리스티아니아(오슬로)로 이주를 합니다. 그녀는 빌헤민 오텐트리에스의 여학교(1857-1860)와 하트빅 니센의 학교(1863)를 다녔습니다. 12세부터 요아힘 칼마이어(1857)에게 드로잉과 회화 수업을 받았고, 베를린과 프랑스에서 미술 공부를 합니다. 또한 유명한 콘서트 피아니스트인 언니 아가테 백커 그뢴달의 유럽 콘서트 투어를 따라다니며 많은 곳을 여행합니다.


+ 중기(1880 - 1900)


1880년부터 1888년까지 바케르는 파리에 살면서 노르웨이 예술가 키티 랑게 키엘란드와 스튜디오를 공유합니다. 또한 파리의 살롱 마리 트렐라에서도 활동합니다. 이 시기에 그녀는 인상주의, 특히 클로드 모네와 알프레드 시슬리의 영향을 받습니다. 그녀는 밝은 색채, 느슨한 붓질, 야외 장면을 실험합니다.


1888년, 바케르는 노르웨이로 영구 귀국하여 크리스티아니아 외곽 샌드비카에 정착합니다. 1889년부터 1912년까지 미술학교를 운영하며 마리 하우게, 라스 요르드, 헨릭 룬드 등 수많은 젊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이 시기에 인테리어 그림들은 주제와 관점에 더 많은 변화를 주었고 집중을 합니다.


+ 후기(1900-1932)


이 시기부터 바케르의 작품 수는 줄고 완성된 작품은 성숙하고 숙련된 작품들이었습니다. 그녀는 추상적이고 상징적인 요소를 더 많이 사용했고, 풍경과 정물화도 그립니다. 


그녀는 노르웨이 최고 예술가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아 1889년 파리에서 열린 세계 전시회에서 은메달을 수상했고, 1908년 성 올라프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 1912년 국왕 공로 훈장을 금으로 받았으며, 1926년에는 노르웨이 예술가 협회의 명예 회원이 됩니다. 1932년 오슬로에서 87세의 나이로 사망합니다.


+ 비평적 관점


일부 비평가들은 그녀의 작품이 지나치게 보수적이고 관습적이거나 감상적이라 비판합니다. 또한 그녀의 주제 선택이 너무 여성적이거나 가정적이란 의문을 제기하기도 합니다. 프랑스의 영향보다는 노르웨이의 정체성과 문화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 *


+ 주요 특징


1. 자연주의


바케르는 사실주의 회화의 전통에 따라 일상의 장면을 정확하고 세밀하게 묘사하는 작업을 합니다. 그녀는 파리에서 그녀를 가르친 레옹 보나트와 장 레옹 제롬과 같은 프랑스 자연주의 화가들의 영향을 받았고, 구스타브 쿠르베와 장 프랑수아 밀레의 작품에도 영감을 받습니다.


2. 인상주의


그녀는 특히 빛과 색을 사용하여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상주의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느슨한 붓질, 부서진 색상, 광학 혼합과 같은 다양한 기법을 실험합니다. 클로드 모네, 알프레드 시슬리, 베르테 모리소트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습니다.


3. 상징주의


일부 그림에 상징주의 요소를 통합하여 색상, 사물, 제스처를 사용. 더 깊은 의미와 감정을 전달합니다. 그녀는 인간 삶의 영적, 심리적 측면뿐만 아니라 피사체의 문화적, 역사적 맥락에도 관심이 있었습니다.



+ 의식 안의 미술관


방, 창, 아이들, 여성, 피아노, 책상, 의자 등 소박한 노르웨이의 가정 풍경 같습니다. 1800년대 후반, 여성화가가 없다시피 한 노르웨이. 그녀가 그린 노르웨이에는 인류 보편적 감수성이 느껴집니다. :)

출처: Wiki

   




"요한 세바스찬 바흐는 오늘 태어났다.

다시 한번 말한다.

오늘은 바흐가 대어난 날이다." _1일 1클래식

/

이 곡의 제목은 '오 예수 그리스도, 내 삶의 빛O Jesu Christ, meins Lebens Licht'이다. 음악은 나에게 한 줄기 빛과 같다. 내 삶의 빛 _하루키

Bach: Motet BWV 118/b "O Jesu Christ, meins Lebens Licht"




삶이 고양될지 혹은 무해할지, 의식 안의 미술관을 꿈꾸며 ... 감사합니다. 하루키





+ 출처


[1] 위키피디아: Harriet_Backer

[2] askart: Harriet_Backer

[3] wikiart: Harriet_Backer

이전 22화 니베르네의 경작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