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브런치북 ! 03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띠노링 Jun 30. 2022

'우루사 1알 + 박카스 1병' 조합의 비밀

비밀은 타우린에 있다

"(복합)우루사1알이랑 박카스1병이요~"


연령대가 어느정도 있으신 분들께서 약국에 오시면 이 조합으로 많이들 찾으시는 듯 하다.

그만큼 대한민국 의약품 역사에서 전통을 자랑하는 약들이다.


사실 우루사와 박카스 조합은 한방적으로 생각해보면 꽤 의미가 있는 조합인데 왜 그런 것인지 차근차근 살펴보도록 하겠다.

옛날에 게재되었던 대웅제약의 우루사 광고를 보면 곰을 항상 강조했다.

우루사의 주성분이라고 할 수 있는 UDCA(ursodesoxycholic acid)는 웅담(곰의 담낭)이라고 하는 약재의 주성분으로 알려져있다.


웅담의 약리작용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① 간의 지방을 감소시켜 간 실질 보호 및 해독 기능을 높인다.
② 간의 글리코겐(glycogen)을 축적시켜 유산 생성을 억제한다.
③ 담즙의 생성과 분비 촉진 및 배설량을 증가시킨다.
④ 비타민 B1, B2의 흡수와 에스터(ester)화를 증가시켜, 비타민 C의 함량을 장기 내에 증가시키고 소화액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웅담의 주요 활성 성분인 우루소데옥시콜산은 주로 간 기능 장애와 같은 간 질환, 소화기계 및 피부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이 성분은 이담작용, 간 혈류 증가 작용, 지방의 흡수 촉진 억제 작용 및 미세담도를 통한 노폐물 배설 작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밖에도 웅담이 간에서 콜레스테롤이 합성되는 것을 막는다는 보고도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웅담 [熊膽] (자생한방병원 한방의학정보)


해당 내용만 보면 웅담의 주요 활성 성분인 UDCA는 확실히 대중들이 얘기하는 간장약이라고 볼 수 있겠다.



현재 우루사는 UDCA 단일성분으로 구성된 우루사정, 비타민B1,B2가 첨가된 우루사연질캡슐, 비타민에 인삼, 타우린, 이노시톨이 추가된 복합우루사연질캡슐 등 다양한 종류로 출시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베스트셀러 제품인 대웅 우루사(연질캡슐)와 복합 우루사(연질캡슐)에 대해 비교해보겠다.


복합우루사는 위 사진과 같이 UDCA 함량이 절반으로 줄어들고 인삼엑스 50mg과 타우린 300mg이 들어가있다. 이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기 전에 먼저 타우린이 어떠한 생리적 기능을 갖는지 보도록 하겠다.

현재까지 밝혀진 타우린의 생리기능은 뇌의 교감신경에 대해 억제작용을 나타내어 혈압의 안정화 및 뇌졸중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 또 심장의 저칼슘 상태에서 심근의 수축력이 저하할 때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역으로 고칼슘의 경우 수축력을 감소시켜 부정맥이나 심부전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 밖에 동맥경화·협심증·심근경색 등을 유발하는 저밀도 지단백질(LDL) 콜레스테롤의 생성을 억제하고, 혈관 조직에 침투되어 있는 콜레스테롤을 분해시키는 고밀도 비단백질(HDL) 콜레스테롤의 양을 증가시켜, 혈관 내 혈소판 응집작용 뿐만 아니라 각종 혈관계 질환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타우린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위의 내용에 따르면 타우린은 심혈관계 생리 기능에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삼은 한방적으로 귀경이 비, 폐, 심경으로 작용하고 원기를 크게 보하며 손상된 기혈을 회복하고 진액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인삼과 타우린은 한방적 개념의 '심기허(심장의 기운이 허한 상태)'로 인한 피로를 개선해주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한약제제로 이러한 증에 쓸 수 있는 대표적인 처방으로 '자감초탕'이 있다.

혹시 시중에 피로회복제로도 절대 피로가 풀리지 않는다면 자감초탕을 한번 드셔보시라. 혹은 기회가 된다면 '비타민B군 + COQ10 + 자감초탕' 조합을 한번 드셔보시길 추천해드린다.

(자감초탕의 핵심 성분이라고 할 수 있는 '글리시리진'은 우리 몸에 분비되는 스테로이드호르몬을 분해하는 효소를 억제하여 스테로이드양(陽)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복합우루사는 UDCA가 대웅우루사 대비 절반량으로 줄어 간기능개선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인삼과 타우린이 심기허를 개선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심장약과 가깝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서두에서 언급한 (복합)우루사 한 알과 박카스의 조합은 박카스(D)에 타우린이 2000mg 들어있다는 것을 고려해보았을 때 심기허로 인한 피로회복이 주 원리라고 볼 수 있다.

피곤한 건 항상 간 때문 만은 아니다


이전 02화 까스활명수는 냉장보관인가? 실온보관인가?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