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브런치북 ! 04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띠노링 Jul 02. 2022

용각산과 길경탕(feat. 용각산쿨 과립)

사포닌 성분의 인후부 자극이 포인트


용각산은 일제강점기 시대 이전인 1883년부터 일본인 약업자들이 약을 들여와 팔기 시작하여 우리나라에서만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는 약이다.


용각산은 길경, 세네가, 행인, 감초 4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약재들의 효능과 성분을 보면 재미있는 점을 찾을 수 있다.


우선 길경은 도라지의 뿌리를 말한다. 많은 분들께서 도라지가 목에 좋다는 것을 아실텐데 실제로 길경은 한방적으로도 거담, 배농하며 흉격과 인후를 편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생약학적으로 보면 'platycodin'이라는 triterpenoid계 saponin이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사포닌류 거담제는 위장에서 잘 흡수되지 않는다. 임상실험에 의하면 세네가 추출물을 위에 직접 투여했을 경우는 하부 기도점막 분비가 억제됐지만, 경구로 복용했을 때는 2.5배로 증가한다고 밝혀졌다. 이는 사포닌을 복용할 때 일어나는 점액 분비 항진반응이 인후부 작용에 의한 설인신경 반사작용이라는 것을 설명해준다. 용각산이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목에서 넘어가는 시간이 길수록 좋을 것이다. 이를 위해 용각산 유효성분 분말을 균일하게 분포시켜 입안에서 분말의 현탁액(slurry)화를 유도하는 것이다(물 없이 복용하라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출처 : 청년의사(http://www.docdocdoc.co.kr)


실제로 한약에는 구내염, 치주염, 편도염 등에 쓰이는 '길경탕'(길경+감초)이라는 약이 있다. 용각산은 제형 특성상 목에서 넘어가는 시간이 길도록 해주지만 길경탕 복용시에는 반드시 가글한 뒤 삼키라고 한다. 바로 길경에 함유된 사포닌이 인후부에 머무르면서 자극시키는 것이 포인트기 때문이다.

사실상 위의 설명이 용각산의 전부라고도 할 수 있겠다.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와 도라지의 뿌리(길경)


세네가 역시 길경과 비슷한 역할이다. 원지과(Polygalaceae) Polygala senega의 뿌리를 "세네가"라고 부른다. 세네가는 'senegin'을 주성분으로 하는데 길경과 마찬가지로 triterpenoid계 saponin이다. 세네가 역시 길경과 마찬가지로 '자극성 거담제'로 분류된다.

세네가(Polygala senega)와 세네가의 뿌리(세네가)


행인은 '살구의 잘 익은 씨'를 말한다. 행인은 한방에서 "마자인환(변비약)"을 제외하고 대부분 호흡기 질환을 치료하는 용도로 쓰인다. 지해평천(기침을 멎게하고 숨이차는 증상을 완화)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살구나무(Prunus Armeniaca)와 살구의 씨(행인)


마지막으로 앞서 말씀드린대로 길경탕의 구성약재 중 하나인 감초다. 감초는 한방에서 생강과 더불어 조화제약(약성을 조화롭게 하는 약)하는 대표적인 약재다. 감초는 '윤폐지해(폐를 윤택하게 하여 기침을 멈춤)'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glycyrrhizin'을 주성분으로 한다. 이 성분 또한 triterpenoid계 saponin이다.


길경, 세네가, 감초 모두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을 주성분으로 한다는 점이 매우 흥미롭다고 볼 수 있겠다.



요즘에는 용각산 뿐만 아니라 용각산쿨 과립 형태로도 출시되고 있다.

용각산의 유효성분 구성약재에서 인삼, 아선약, 노스카핀이 추가로 들어간 제품이다.

추가된 약재의 특징을 살펴보자.


- 인삼: 기를 보하는 대표적인 약재로써 익폐(益肺)하여 폐기허약증을 치료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 아선약: 기관지 점액분비를 촉진하고 섬모운동을 활발하게 한다.

- 노스카핀: 중추성 진해제 성분. 약국에서 판매하는 종합감기약이나 진해제에 종종 들어있다.


그렇다면 두 제품 중 무엇이 더 좋은 제품인가?


용각산쿨 과립이 1포 단위로 포장도 잘되어 있고 맛도 복숭아향과 민트향을 선택할 수 있다보니 복용의 편리함을 고려하였을 때는 비교대상이 되지 않는다. 또한 동일용량대비 유효성분 함량을 보면 길경, 세네가를 제외한 유효성분들의 함량이 기존 용각산제품보다 더 높다.


하지만 실제로 제형을 보게되면 원조 용각산의 과립이 훨씬 미세한 가루와 같은 형상이다. 앞서 언급한 길경탕과 같이 인후부에 최대한 머물러 자극하는 것이 포인트라면 원조 용각산이 이러한 측면에서는 좀 더 장점이 있지 않을까 싶다.

이전 03화 '우루사 1알 + 박카스 1병' 조합의 비밀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