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안블루 Apr 07. 2024

마음, 연결이 끊어지다

구길 데까지 구기다가 끊어지는 마음들

"저희 부모님은 부모님의 속도대로 움직이지 않는 것에 엄청난 분노를 느끼세요. 외출했다가 집에 돌아와서 게임기를 켜면 어떻게 그러냐고 막 흥분을 하세요. 맘 같아서는 내 입장을 이야기하고 싶은데, 그러면 부딪히니까. 난 부모님이랑 부딪히는 게 싫어요. 나를 보면서 눈썹을 찡그리는 것도 싫고. 솔직한 이야기를 하라고 말은 하시는데 막상 말을 하면 더 흥분을 하세요. 그동안은 대충 맞추는 시늉을 한 것 같은데  그러다 보니 부모님은 계속 자기가 원하는 대로 나를 맞추려고 하고 내가 무언가에 관심을 가지면 세상물정 모르는 소리라고 하세요. 제가 벌어놓은 돈으로 배우고 싶은 것을 배우고 있는데 다 쓸데없다고 하고. 돈을 쓰기만 하면 어쩔 거냐고. 언젠가부터 숨이 너무 막혀요."   
(공황장애를 앓고 있는 청년)

        

마음을 구겨서 맞추다   

세상을 살아가는 수많은 방법 중 단 몇 가지만이 옳다고 굳게 믿는 부모 밑에서 성장하는 자녀들은 자기 마음을 구겨서 부모에게 맞춥니다. 처음에는 구겨서 맞추는 것이 낫다 싶습니다. 흥분하던 부모가 진정하고 시끄러운 소리가 없어지니까요.  문제는 다음입니다. 부모님을 대하는 것이 점점 불편해지고 자기에 대해서 부적절함이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부모님 앞에서 자꾸 자기를 구기게 되니 부모님을 마주 대하는 것이 싫고 자신이 자꾸 구깃구깃 구겨지니 그것도 싫어집니다.  나이가 서른, 마흔이 넘어도 자기 뜻을 조리 있고 힘 있게 이야기하기보다는 일방적으로 맞추거나 회피하는 쪽을 택하게 됩니다. 이런 자녀들은 부모가 생각하는 틀 안에 어떻게든 자기를 구겨 넣어보려고 하다가 마음에 병이 생깁니다.


이것 아니면 다 틀려, 히스테리컬한 신경계   

자녀의 마음을 자꾸 구겨버리는 부모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각양각색이라도 하나의 공통점이 있는데, 자신의 생각과 다른 생각을 인정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것입니다. 특정 학교, 학과, 직업을 갖지 않는 것은 잘못된 선택이라고 하거나 몇 살이 되면 결혼을 해야 하고 집을 사야 하고 배우자는 어떻게 만나야 한다는 것들에 대한 정답을 갖고 있으며 이를 자녀에게 강요합니다. 만약 자녀가 여기서 벗어난 선택을 하려고 하면 상당히 감정적으로 반응합니다. 부모 의견을 표현할 자유가 있는 것을 모르지 않으나, 자녀가 우울이나 불안 등으로 치료를 받고 있다면 부모가 자기 의견을 표현한다는 이유로 자녀에게 감정적 분출을 하는 것은 자제해야 합니다.


히스테리를 만드는 세 가지 요소

왜 이렇게 극적이고 감정적인 반응이 일어나는 것일까요? 히스테리적인 말과 행동을 불러일으키는데 필요한 세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대상에 대한 관심, 자신이 옳다는 생각, 신경계의 빠른 반응성, 이 셋이 함께 작동하면 자녀를 숨 막히게 하는 히스테리적인 말과 행동이 자연스럽게 생산됩니다


대상에 대한 관심 + 나만 옳다는 생각 + 신경계의 빠른 반응성 = 히스테리적인 말과 행동


대상에게 관심이 줄거나 자신이 옳다는 생각이 줄거나 신경계 반응성이 조금만 줄어도 히스테리적인 말과 행동을 덜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공식이 깨지는 것이 좀처럼 쉽지 않다. 자녀에 대한 관심은 잘 줄지 않고, 생각은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더 굳어지고, 신경계의 반응성은 약물치료 또는 심리치료와 같이 변화를 하겠다는 결단이 있어야 변화가 일어납니다. 히스테리적인 말과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말입니다.


자녀의 심리적 어려움으로 상담실을 찾은 히스테리적인 부모들은 문제가 있는 것은 자식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신을 변화시키려 하지 않습니다. 네가 아픈 것은 너 때문이라는 식의 메시지는 어떻게든 부모와 연결하고 싶어 하는 자녀 부모에게서 나가떨어지게 만니다.


부모로부터 마음이 끊어지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것은 자녀-부모와의 관계는 삶의 BGM이나 밑그림 같은 것이라서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아도 삶의 운율이나 색조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부모를 대체할 안전한 대상 없이 부모 관계가 끊어지면 사람과의 관계에 전반적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니다.


부무와의 관계에 심각한 손상이 생겼다면 그냥 둘일이 아닙니다. 건강하고 안전 대상을 찾아 인간에 대한 일반적 탈애착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심해야 니다.


제7화 마음, 다시 연결되다 다음 주 연재



마음을 고치는 이야기

안블루





이전 05화 돌덩이를 얹고 사는 K-장녀의 신경계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