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미래 Dec 12. 2023

쉬는 것도 운동입니다.

배드민턴을 치기 시작한 이후로 제대로 쉬어본 적이 없다. 휴식 시간에 운동을 하는 나에게 쉼은 그저 운동이었다. 그런데 운동 자체를 쉬라니, 쉽지 않았다. 쉴 때 운동 말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 쉬는 운동이 무엇인지 알지 못했다.      


6개월을 아침, 저녁으로 또 하루에 두 탕씩 열심히 치기를 반복하다 보니 정강이도 시리고 쑤시고, 종아리 근육도 아프고, 무릎도, 어깨도 아프고, 아프지 않은 곳 보다 아픈 곳이 훨씬 많았다. 건강하게 살려고 운동을 하는데도, 몸이 건강해지지 않는 것 같았다.      


배드민턴을 같이 치는 사람들은 내게 좀 쉬면서 치라는 말을 자주 했다. 너무 무리하면 몸에 더 좋지 않고, 오래 칠 수 없다고. 그럼에도 당장은 배드민턴이 재밌고 좋아서 하루에 2번 모임에 참여할 정도로 무리해서 치긴 했다. 몸이 점점 아프고 나서야 휴식이 필요함을 알게 됐다. 운동이란 게 많이 한다고 해서 빨리 느는 게 아니니까 말이다.      


정강이가 너무 아파서 마사지를 하고 싶어도 제대로 못하는 날이 많았다. 다리가 부어서 조그만 스치거나 주무르기도 힘들었고, 운동 후 마사지를 잘해주지 않으니 통증은 가라앉지 않고 피로는 계속 쌓여만 갔다. 이 악순환에도 쉬지 않고 운동을 계속했던 게 문제였다.      


배드민턴을 뛰기에 다리도 많이 아팠는데, 마침 저녁 약속이 많아 운동을 쉬게 됐다. 3일을 쉬고 오랜만에 운동을 나갔다. 며칠 쉬는 동안 정강이도 평소보다 덜 아팠고, 폼롤러로 다리 마사지를 조금은 할 수 있었다. 쉬는 것도 운동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휴식을 취하고 운동을 하니, 운동도 잘 되었다.  

    

무작정 쉬는 것이 해결이 됐다. 운동을 못한다는 죄책감도 생각하지 말고, 어떻게 하면 배드민턴을 더 잘할지 스트레스받지 말고, 편하게 아무 생각 없이 즐기며 머리를 비우는 것이 몸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거였다.      

가끔은 쉬어도 괜찮다. 쉬는 건 멈추는 게 아니다. 앞만 보고 가는 것이 아니라 주변을 한 번쯤 돌아볼 여유, 그 시간 동안 나를, 내 몸을 챙기는 것도 운동의 일부이자 나의 몫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첫 대회를 참가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