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모두의 참여
지난 6월 10일, 코로나19 감염병 역학조사 강화를 위해 QR코드를 활용한 전자출입명부(Korea Internet Pass system(KI-Pass)) 도입이 시작됐습니다. 노래연습장이나 감성주점, 유통물류센터 등 12개 고위험 시설은 7월부터 반드시QR코드 체크인 시스템을 갖춰야 하는데요.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종이에 적던 방명록이나 출입기록부를 ‘디지털화’ 하는 일입니다.
카카오는 코로나19 감염병 초기부터 카카오톡 ‘톡보드’와 톡채널 푸시 메시지, 카카오맵, 다음 포털 등을 통해 관련 정보를 전해 드리고 있는데요. 관련 정보를 큐레이션 해 드리던 카카오톡 #탭(세 번째 탭)에 QR코드 체크인 기능이 더해져 오늘(7/1일)부터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고위험 시설 체크인만을 위해 새로운 앱을 설치하고 익숙해지는 것이 부담스러웠다면, 아래 내용을 꼼꼼히 읽어주세요. 모두에게 익숙한 카카오톡으로 QR코드 체크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7월부터는 모든 고위험 시설의 출입구에서 만나게 되는 QR코드 체크인 기기.
입장을 원하는 경우 카카오톡을 열어주세요. 그리고 맨 아래 세 번째에 있는 샾(#)탭을 눌러주세요. #탭의 맨 앞에 놓인‘코로나19’ 페이지에서 ‘QR체크인’ 버튼을 누르면 인증 화면이 나타납니다. 손에 쥔 스마트폰과 전화번호가 본인 소유인지 확인하는 단계인데요, 한 번 진행하면 1개월 동안은 다시 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후 생성된 QR코드의 유효 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체크인 처리를 할 수 있어요.
카카오톡에서 #탭 열고, 코로나19 페이지에서 QR코드 생성한 다음 체크인 기기에 “삑”. 간단하죠?
확진자가 발생하면 그 사람의 며칠간의 동선을 추적하고 접촉자를 밝혀내는데 굉장한 노력과 자원이 투여됐습니다. 이 과정에는 주로 이동전화 기지국 정보나 신용카드 사용 정보, CCTV 등이 활용됐는데요. 활동 범위와 인물 특정이 어려워서 애를 먹기 일쑤였죠. 여기에 손으로 적은 출입 명부가 더해지더라도 신뢰도가 들쭉날쭉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카카오 QR체크인은 늘 휴대하는 스마트폰을 통해 이용자가 직접 행적을 제출하는 원리로 구동됩니다.
종이에 적는 방식에 비해 누가 언제 어디에 있었는지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고, 허위 기재의 우려도 확 줄어들죠. 시민 스스로 공유한 디지털 정보 자원은 필요한 시점에 보다 정확하고 빠른 역학조사를 위해 동원됩니다.
이용자 식별 정보는 카카오에, 공간 정보는 한국사회보장정보원에 분산돼 4주 동안만 저장돼요. 즉, 카카오에는 방문 장소가 기록되지 않고, 입장한 시설에서는 이용자의 인적 사항을 알 수 없게 하는 원리죠. 감염병 예방법이 정한 경우에만 두 정보를 결합할 수 있어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으면 정보는 주기적으로 폐기됩니다. 종이에 기록한 출입대장보다 개인정보를 보호하는데 한결 안전하죠.
온 국민이 하루에도 수십 번씩 여닫는 카카오톡 안에서 가장 편하게 이용하시도록 준비했습니다. QR체크인이 필요하지 않더라도 #탭의 ‘코로나19’ 페이지에 늘 관심을 기울여주세요. 환자 발생 현황이나 관련 뉴스, 팩트 체크 등을 통해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거든요.
역학조사와 환자 치료를 위해 애쓰시는 의료진 여러분, 그리고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저마다의 노력을 다하는 여러분 ‘덕분에’ 공공의 안전과 건강이 지켜집니다.
☞카카오 QR체크인 경험해보기 (안드로이드OS 4.4.4(킷캣) 이하 버전 이용자들에게는 #코로나19 페이지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카카오 QR체크인 경험해보기’ 링크를 통해 QR코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