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이디김 Dec 15. 2023

혼자이긴 싫어_인터넷

연결되기를 원하다 | 딸과 나의 집단따돌림 극복기, 넷

큰언니가 1+1 쿠폰이 딱 하루 만에 만료된다기에 보러 간, '서울의 봄'. 상영관이 늦은 밤에 가득 찼다. 다음 날 아침, 간만에 간 건식 사우나 안에서 낯 모르는 이들끼리 서로 '서울의 봄'봤냐고 하던 걸, 전두환이 어쩌고 저쩌니 하는 그 열기와 나는 거리를 두고 살았구나. 보고 나면 분노 게이지 상승이라기에 기대가 적잖았다. 그리고 잘 만든 영화를 보고 나서 나는 감사했다. 너무 꽉 찬 내 머리를 비우기가 쉽지 않아서 멀리서 세상과 나를 둘러싼 사회에 눈을 돌리게 해주는 영화는 단비였다.


따르릉 소리가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이 영화는 지금의 인터넷으로 연결된 우리 세상과 뭐가 다른가. 영화 속에는 전화, 감청과 불통, 그리고 지연 또는 학연, 혈연을 이용한 방해 공작이 난무한다. 실시간 댓글과 댓글부대 또는 리뷰와 가짜 리뷰와 동행하는 우리 지금과 많이 다른가? 악한 편은 선명하게 전략적이고 무식하게 권력 지향적인 반면, 반대 편은 한 몸처럼 행동할 수 없는 온갖 이유가 있고 그리고 전략은 없고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어중간한 누군가는 대세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라는 속삭임에 혹한다. 죽어서도 한국 땅 어디라도 누울 자리를 거부당한 전두환이 이끌던 하나회는 이름만 사라졌던가? 기세등등한 검찰, 의사 아니면 세상 뭐 어디라도 권력과 힘을 영원히 등에 업었다고 여기는 곳에 살아있다.


영화 스포는 딱 질색이지만, 쓰다 보니 끝이 없겠다. 좋은 영화는 하고 싶은 말이 계속 떠오르게 하니까 내 잘못이 아니다. 그래도 내가 보고 기억한 느낌은 온전히 내 것이다. 맨 처음에는 '하나회도 거기서 거기, 사람 사는 게 또 비슷하구나'했다. 아니다 하나회는 더했다. 지나친 일반화로 우리네 평범한 사람까지 욕되게 하지 말기. 권력욕에 사로잡힌 이들과 사다리를 오르고 싶은 이들의 심리를 조종하고 결국에는 한 나라의 정치와 사회를 뒤흔들고 죄 없는 사람을 죽이기까지. 뿌리부터 썩은 이가 힘을 쥐면 평범한 사람들에게 얼마나 끔찍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던가.



상영 중인 영화들 가운데에서 제일 감정이입이 안 될 것으로 골랐었다. 말도 안 되는 소리. 극우유튜버 때문에 학교 단체 관람이 취소된다는 촌극 같은 뉴스 헤드라인을 보자 더 많은 사람과 나누고 싶었다. 엄마 아빠 영화 데이트 하시라고 바로 예매를 해 드렸다. 같이 극장에 오른 영화들 중에 송강호가 추천한 일본 영화 '괴물'은 내딸이 처한 상황 때문에 그나마 잠궈놓은 수도꼭지를 틀게 될까봐 싫었다. 그리고 김해숙이 열연한 '3일의 휴가'는 내가 가진 엄마라는 정체성 때문에 참지 못 할 눈물을 흘리기 싫었기 때문에 고르고 고른 영화가 '서울의 봄'이었다. 아직도 불의가 만연하고 가진 사람은 더 가지려고 애쓰는 지금을 사는 입장에서 더 감정이 이입되고 말았다.                          


영화관 에스컬레이터 앞 팻말, 난 왜 이 표지가 좋았나. '위험하니까 뛰어들지 마시오. 거기까지가 허락된 공간입니다.' 보다 더 짧지만 따뜻한 표현. 난 그런 표현이 그립다.


그래도 픽션은 진짜 우리 사는 이야기의 힘을 이기지 못한다. 나 같은 사람도 직접 겪은 여러 상황을 세세하게 기억해 내어 알아듣게 표현한다면 시트콤 한 시리즈 정도는 거뜬하게 만들 텐데. 문제는 장르가 어중간해서 다음 화를 궁금해할 흡입력 있는 전개도 부족하고 통쾌한 엔딩도 없다. 진짜 삶은 해피엔딩도 새드엔딩도 없다. 계속 버티어야 하고 그래야 산다.


그래도 나는 굳이, 시간을 내어, 친구나 남의 인스타 피드와 카톡 프사를 기웃거리고 그 단편적인 모습을 들여다본다. 통화할 필요 없이 SNS 피드를 몇 초만에 훑어보고 그네들의 삶을 다 알아 버린 것 같은 느낌을 받고 좋아요를 누르고 댓글로 몇 초만에 인사를 주고받고 몇 달 치 대화를 다 나눈 듯 느낀다. 남의 일상을 흘끗거리며 나는 잘 살고 있나 비교해 보고 남들만 한 하루를 살았거나 비슷한 무언가를 가지면 안도하고 흐뭇해한다. 그렇지 않으면 순간 치민 자격지심을 삼키며 이를 상쇄할 다른 경험과 물건을 찾아 내 SNS와 카톡 프사를 꾸미면서 살고 있다. 인터넷은 세상 어디든 실시간 소통을 가능하게는 했으나 전화선이 이어주던 친구가 목소리로 전하는 이야기에 귀 기울이던 경험을 빼앗았다.


사회적 동물. 편지, 전화선 그리고 인터넷까지 기술이 허락하는 만큼 우리는 연결하기를 원한다. 혼자는 싫다. 남과 나누는 이야기 속에 내가 살아 있음을 느낀다. 같은 영화를 보고도 우리는 다른 것에 감명을 받기도 한다. 그래서 다른 누군가와 이야기 나누고 내가 느끼는 바는 확장되어야 한다. 그래서인가, 불편하지만 계속해서 관계 맺기를 열망하고 또 이 속에서 상처를 찾거나 주고받고 치유하며 성장한다. 그래서 내딸도 치유될 것이다. 시간은 내 편이다. 치유와 극복의 이야기가 열 번 째에서 끝이 날지, 혹은 천일동안 끝나지 않는 이야기가 될지는 써 봐야 알겠지.

이전 01화 나 많이 아파_신체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