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요섭 Mar 21. 2023

이상한 긴장과 유연성 사이, 새로운 고유명

앙리 베르그송「웃음」 희극적인 것의 의미에 대하여, 읽기(5)



1.

  '희극적 얼간이'는 '보통명사'로 존재한다. 이미 고유명을 획득한 비극적 주인공의 고양된 집념과는 다른. 당신을 향한 낮은 자는 웃음거리가 되는 순간, '자신을 교정'하려 한다. 갑자기 풀려버린 '긴장'과 경직성에서 벗어난 오래된 '유연성'. 다른 삶을 살아가기 위한 '상보적' 힘은 이상한 결단에 이르게 한다. 어떤 '웃음'이 선물한 자기 균열이자, 느닷없이 솟아오른 상처를 마주한 이의 새로운 '고유명' 찾기. 


  The 'comic buffoon' exists as an ordinary noun. Different from the absurd obsession of the tragic protagonist who has already acquired a proper noun. When the lowly self becomes a source of laughter, it attempts to 'correct itself.' The old 'flexibility' that suddenly escapes from tension and rigidity. The compensatory power for living a different life leads to a strange decision. Finding a new 'proper noun' that faces the cracks and sudden wounds given by some 'laughter.'


2.

  '희극적 악덕'은 주인공을 '끌어당겨' 어려움에 빠지게 만든다. 우리에게 자신의 '경직성'을 '강요'하며, 해체적 웃음을 선사하는. 그들은 비극적 주인공과 달리 이름 없는 자로서 그곳에 있다. 바깥에서 주어질 뿐인, '웃음을 자아내는 악덕'. 중력보다 무거운 악령은 '이미 만들어진 틀'에 가두고 당신을 '멋대로' 부린다. 낯선 희극적 지배는 '기게스의 반지'의 '역효과'를 내며, 관객을 '무의식적'으로 그곳으로 이끈다. '자신을 망각'하는 한에서 너무도 진실한. 본래적 실존은 '희극적 인물'의 낮은 얼굴에 현현한다.  


  The 'comic villain' pulls in the protagonist and causes difficulties. It forces us to accept our own 'rigidity' and provides us with a destructive laughter. They are there as nameless beings, unlike the tragic protagonist. The demonic force heavier than gravity confines you to an 'already created frame' and orders you around as it pleases. The strange comic domination produces the 'reverse effect of the Ring of Gyges' and unconsciously leads the audience there. The original existence shines through the low face of the 'comic character' while forgetting oneself.


(28~32p)

매거진의 이전글 우발성이 도착할 수 있는, 멍청한 얼빠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