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인 Oct 26. 2024

당신이 꿈꾸는 10년 뒤의 모빌리티를 이야기해 보세요.

우리가 정말 하고 싶은 이야기

몇 년 전 모빌리티 스타트업 행사에서 ‘10년 뒤의 모빌리티’를 주제로 팀이 발표를 한 적이 있다. 그 행사에는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자율주행, 라이더 등 최첨단 기술을 다루는 혁신적인 기업들이 함께했다. 그런데 그곳에서 ‘휠체어 회사’인 우리가 ‘10년 뒤의 모빌리티’를 이야기한다니.


동료들과 함께 머리를 맞대어 발표를 준비하는데 우리에게 몇 가지 질문들이 떠올랐다.


“10년 뒤의 모빌리티를 이야기할 때, 우리가 정말 말하고 싶은 건 무엇이지?”

“우리는 지금하고 있는 일이 10년 뒤 모빌리티에 어떤 기여를 하고 있는 것일까?”

“우리가 바라는 10년 뒤 세상은 어떤 세상일까?”


이런 질문들을 곱씹을수록 우리가 정말로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결국 ‘사람’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4km, 이 거리는  비장애 아이들이 매일 학교에 가기 위해 이동하는 평균 거리이다. 약 8km에 해당하는 만보의 딱 절반이다. <휠체어 사용 아동 이동성 향상 프로젝트>를 하며 아이들에게 몸에 맞는 휠체어와 동력보조장치를 제공하는 일은 매일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4km를 만들어주는 일이다. 그렇게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은 같은 공간을 공유하며 함께 시간을 보낸다. 그리고 이 경험들은 어떤 형태로 아이들의 삶에 기억되어 쌓이게 된다.


프로젝트에 참가한 아이들의 영상 중 가장 좋아하는 영상은 아이들이 함께 캠프파이어를 하며 강강술래를 하는 영상이다. 수십 명의 아이들이 나란히 줄 지어 앞사람의 어깨를 붙잡고 둥글게 강강술래를 하는데, 그 사이에 휠체어를 탄 아이가 함께 어우러져 웃고 있는 장면이었다. 


어느새 프로젝트를 시작한 지 6년이 지났고, 프로젝트에 참가한 아이들은 3,000명이 넘었다. 이 아이들이 성장하고, 그 주변의 비장애인 친구들이 함께 자라 어른이 된 그때는 세상이 달라지지 않을까?


이 아이들 중 누군가는 입법가가 되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공존하는 법을 제정하고, 또 누군가는 건축가가 되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건축물을 설계하고, 또 누군가는 엔지니어가 되어 물리적인 장벽을 허무는 기술을 개발하게 될 테니까.


결국 우리가 사는 세상을 만드는 건 기술이 아니라 그 세상을 구성하는 사람들이니까. 그리고 그렇게 만들어진 세상에서 아이들은 살게 될 테니까. 아이들을 만나고, 아이들의 이동성을 향상하는 일은 마치 땅에 씨앗을 심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 하나하나의 씨앗들이 언젠가 나무로 자라고 열매를 맺게 되겠지. 그때가 되면 정말 장애가 무의미해지는 세상이 오게 되지 않을까. 

이전 19화 모든 집마다 장애인이 있으면 좋겠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