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친구가 있었다.
그는 아홉 형제 중 막내로, 맏형이 우리 아버지보다 연세가 많았다. 대구 근교에서 크게 농사를 짓는 부농 집안이었는데, 맏형은 부모님 모시고 농장을 운영하며 시골에 사셨고 두 아들(내 친구의 조카들)을 교육하기 위해 대구 시내에 따로 집을 따로 마련해 막내 동생이며 대학생인 내 친구와 함께 지내게 했다. 나이 차이가 많지 않아 말이 조카지, 거의 학교 후배 같은 관계였다. 아이들에게는 사감 선생님.
1980년 당시는 형제가 많은 것이 일반적이었다지만, 그렇다 해도 아홉 명은 드물었다.
친구는 적은 나이 차이에도 삼촌 노릇을 톡톡히 하는 당찬 아이였다. 조카들의 행실과 성적 관리를 엄격히 했는데, 아마도 큰형의 특별 당부가 있었던 듯했다.
아무래도 형제가 많다 보니 에피소드도 많았다.
평소 들려주는 살아가는 이야기는 아주 흥미진진했다. 여름방학이면 바쁜 형들을 대신해 당연한 듯 예비군 훈련을 도맡아 나가고 불만도 없었다.
"이번 주엔 셋째 형, 다음 주엔 다섯째 형", 뭐 이런 식이었다. 형들 훈련 나가느라 가끔 수업도 빼먹는다는. 한창 바쁜 농번기 때라면 동원 예비군도 대신 나갈 판이었다. (물론 40여 년 전 이야기니 오해 없길 바란다. 공소시효도 끝났다. 요즘 이러면 큰일 나겠지?)
또 한 형은 해병대에 지원해 입대했는데, 2주가 지나서야 부모님이 아셨을 정도였다. "여덟째 어디 갔노? 밥 먹으러 왜 안 오나?" "저번 달에 군대 갔는데요." "아~" 그것으로 끝이었단다. 농담하곤 했다. 모내기하다가 “다녀오겠습니다!”하고 갔다는데 너무 바쁜 나머지 어른들은 몰랐다는 거야. 부모님이 자식들 이름이나 다 아셨을까, 농담하곤 했다.
우리 형제는 4남매다.
아들 둘, 딸 둘. 이웃 사람들은 외로운 집안이라고 했다.
‘넷이나 되는데 외로운 집안이라니.......’
그 시절, 평균 다섯 명의 자녀는 흔한데, 넷뿐이라고.
그만큼 아이가 많았다.
그렇다.
아홉 형제의 독특한 가족 이야기를 새삼 기억하며, 문득 공동체와 개인의 성장 환경 차이를 생각해보게 되었다.
요즘은 하나나 둘이 일반적이다. 시대가 달라진 만큼 아이들도 달라졌다. 형들의 예비군 훈련을 대신 나가고, 조용히 군대에 가던 시절의 아이들과 오늘날 금이야 옥이야 보살핌 속에서 자라는 아이들이 같을 수는 없다.
일거수일투족 다 알아야 직성이 풀리는 아이들과 또래 집단 속에서 들풀처럼 자라는 아이들이 어떻게 같을 수가 있을까.
강인함은 내려놓음(下心)에서 나온다고 생각한다.
옛날 아이들은 공동체를 자양분 삼아 성장해 어른이 되었고, 오늘날의 아이는 또래 집단에 의지하지 않은 채 독립된 화분처럼 개별적이고 제한된 환경 속에서 자란다.
이런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이 어른이 되었을 때, 사회는 어떤 모습일까?
덩치만 크고 나이만 먹은, 사회성 부족한 아이들을 어쩔 것인가. 이것은 단순한 세대 차이의 문제가 아니다.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우리가 깊이 고민해야 할 문제다.
민감하고 예민한 주제다.
하지만 이 문제를 외면할 수는 없다. 우리는 각자 자신의 자리에서 이 문제를 마주해야 한다. 아이들이 건강한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말이다. 건강한 사회는 저절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것은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
그렇지만
우리의 노력으로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희망이 우리의 미래를 밝히는 원동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