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비루장 Aug 29. 2021

낙엽이 꽃이라면,
가을은 두 번째 봄이다

내가 읽은 책과 세상: 김훈의 시 이야기

내일이 새로울 수 없으리라 확실한 예감에 사로잡히는 중년의 가을은 난감하다.

 

젊은 글쟁이 가운데 몇몇이 외우고 있다는 문장을 여러 번 읽었다. 중년과 가을은 왜 이리 서글픈지. 밟히는 낙엽 소리가 흘러가는 세월에 더 서글프다. 하지만 김훈은 ‘난감하다’고 말한다. 서글픔 보다는 난감함이 마음이 더 아프다. 발문을 쓴 이문재 시인은 “그때 나는 30대 초반이어서 저 난감함이 절실하지 않았다. ··· 선배의 중년은 가을이 아니었다. ··· 선배의 중년은 난감하지 않았다”라고 한다. 김훈의 중년은 난감하지 않은데 왜 우리의 중년은 가을이며 난감하다고 느껴야 하는지 진짜 ‘난감’하다. 첫 번째로 엮은 ‘시로 엮은 가을’은 정말 난감하다. 하지만 김훈은 난감하지 않은 것 같다. 그는 젊다.


선배의 내일은, 즉 선배의 중년은 가을이 아니었다. 선배는 50대 초반에 본격적으로 소설을 쓰기 시작했고, 50대 초반에 사회부 기자로 사건 현장에 뛰어들었다. 선배는 산악자전거를 타고 50대에 달려들어갔다. 선배의 중년은 난감하지 않았다. 젊은이들보다 더 젊었다. _이문재, 발문

 

《내가 읽은 책과 세상: 김훈의 시 이야기》은 89년 나온 책을 2004년 시詩만 모아서 ‘김훈의 詩이야기’라는 부제를 달아 개정판으로 출간했다. 지금도 시가 읽히지 않지만 2004년에도 시가 읽히지 않았을 때라 생각한다. (정확하진 않지만 시가 우리에게서 잊힌 지는 아주 오래되었기에.) 한데 왜 시만 묶어서 개정판을 내었을까? 왜 그랬을까?

 

개정판 서문에서 말한다. “나는 내가 쓴 글을 다시 들여다본 적이 거의 없다. 나는 그 수치와 모멸을 견디지 못한다. 원고를 출판사에 넘길 때, 버려야 할 내 신체의 일부를 잘라주듯이 던져버렸다. 교정은 물론, 책이 나와도 다시는 읽어보지 않았다. 나를 오래오래 괴롭힌 글일수록 더욱 거들떠보지 않았다. 그리고는 다시 책상 앞으로 돌아와 연필을 잡았다. 자기혐오로써 자신을 긴장시켜 나가는 자의 불우는 말로 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개정판을 내었다. “이 책을 엮는 과정에서, 편집자의 강권에 못 이겨 오래전에 쓴 글을 다시 읽었다. 글을 바꾸어 쓰면서 나는 참담하였다. 결국 이렇게 나이 먹고 세월은 별 수 없이 허송세월 되는 것인가. 20년 전에 원고를 내던졌듯이 이 원고도 또 한 번 팽개치듯이 내던질 수밖에 없다. 무슨 수가 있겠는가. 나에게는 없다.” 꾸역꾸역 밥을 벌자. 아무 도리 없다. ‘밥벌이의 지겨움’을 잘 알기에 그의 말이 괜한 변명처럼 들리지 않는다.

 

1984년 초판 서문을 보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밥을 벌기 위해 허둥지둥 쓴 글들”이라는 점을 말한다. 궁색함을 들어내는 말인지 모르지만 절절하게 다가온다. 아마도 이 점이 김훈의 장점, 아니 매력이다.

 

낙엽이 꽃이라면, 가을은 두 번째 봄이다.
_알베르 카뮈


 

여기에 모이는 글 부스러기들은 대부분이 밥을 벌기 위해 허둥지둥 쓴 글들이다.

 

글 쓰는 자의 정당한 기쁨이나 글 쓰는 자가 마땅히 흘려야 할 피를 정직하게 흘려가며 쓴 글도 있지만, 그날그날의 마감 시간과 사투를 벌이며 “이 글에서 벗어나야 한다”라는 일념으로 몰고 나간 글들도 적지 않다. 그걸로 밥을 먹었으니, 부끄러운 일이다. 다만 거기에 조금이라도 묻어 있을 내 고난과 헤맴의 자취에 의하여 그 부끄러움이 사하여 지기를 바란다. 그러나 이러한 글 부스러기를 모아 책을 낸다는 파렴치 행위는 이 다 떨어진 생애에 모욕을 배가하는 일임에 틀림없다.

 

어린아이가 세상을 바라보듯이, 모든 것을 새롭게 읽고 새롭게 받아들일 수는 없을까. 아마 그럴 수는 없으리라. 업과 더불어 짜증과 더불어 모자람과 더불어 한 발자국씩 나가는 이외에 무슨 다른 길이 있으랴.

 

더 나이 든 어느 날, 글을 버리고 책을 버리고, 치타나 기린 같은 알 수 없는 짐승들 옆에서 혼자 앉아 있게 되기를 바란다.

 

그러나 방금 쓴 이 건방지고 난폭한 말은 또다시 용서를 빌어야 할 죄악은 아닐는지, 그만 쓰자.

 

1989년 6월

 



1988년 김수영 20주기 기념 시선집을 《사랑의 변주곡》을 말하는 “자유인의 초상”에서 신동엽을 빌어

“반도는 오직 한 사람밖에 없는, 어두운 시대의 증인을 잃었다. 그의 죽음은 민족의 손실이다. ··· 그러나 김수영은 죽지 않았다. 위대한 민족시인의 영광이 그의 무덤에 빛날 날이 멀지 않았음을 민족의 알맹이들은 다 알고 있다.”라고 “통곡했다.” “그의 최후의 작품인 풀이 70년대의 민중 주의자 들을 매료시키기도 했지만 그가 민중적 유대에 이한 정치적 자유의 건설을 꿈꾼 것은 아니었을 것이다.” 김수영과 같이 거론되는 박인환의 ‘도시적’은 자유를 말하지만 김수영의 감수성을 ‘도시적’이라 말하는 ‘도시’는 도시적 신경질을 바탕에 깔고 있는 도시라고 말한다. 김수영에 대해 김훈은 “사후의 영광이 그의 무덤에 빛나게 될 것이라는 신동엽의 예언은 적중했다”라고 말한다. 김수영은 지금도 아쉽다. 이 글은 개정판에는 빠져있다.

 

초판본을 재발행하여 이 책에 나오지 않은 소설에 관한 그의 글을 읽게 하고 싶다. 초판과 개정판을 모두 가지고 있으니 행복하다.

 

시를 새롭게 바라보게 보았다. 마치 오래전으로 돌아간 듯 한 느낌이다. 난감함을 느끼게 하는 ‘시로 엮은 가을’과 더불어 ‘여름과 시’는 제목만으로도 시를 읽고 있다. 다시 시를 읽으면 ‘난감함’이 덜해질 것이다.

 

이제까지 무수한 화살이 날았지만 아직도 새는 죽은 일이 없다

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 그 섬에 가고 싶다

어떤 이 세상의 말도 잔잔히 지우는 바다

산은 혼자 있으며 더 많은 것들과 함께 있다

저문 강물을 보아라

소들은 왜 뿔이 있는가

지고한 목숨을 울면서 일체를 거부하던 너의 외로움이 이제 마른 잎으로 땅에 눕겠구나




덧_

김훈, 《내가 읽은 책과 세상: 김훈의 시 이야기》, 푸른숲, 2011년 9월 개정판 5쇄

김훈, 《내가 읽은 책과 세상》, 푸른숲, 1989년 7월 초판

매거진의 이전글 허균과 홍길동이 꿈꾸던 세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