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화요일 Jan 23. 2023

차례 없는 명절, 그날이 왔네요.

<중년의 진로수업>

에미야. 올해부터는 명절에 차례대신
성당 미사 가는 걸로 대신하자.
시대가 바뀌었으니 우리도 바꿔야지.
네 생각은 어떠냐?



몇 년쯤 되었나? 우리 집에서 명절, 제사를 모시기로 한 것이. 그전에는 애 셋에 맞벌이를 한다고 차례상도 제사상도 제대로 준비해 본 적이 없었다. 명절 하루 전쯤 시댁에 가면 어머님이 다 준비해 놓은 음식들을 꺼내놓고 차리는 것만 거들었을 뿐이다. 어느 순간, 연로하신 어머님이 힘들어 보이시기도 하 하나뿐인 며느리라고 변변히 돕지도 못해 죄송스러운 마음에 우리 집에서 차례와 제사를 모시고 와서 소박하게 나마 차리고 던 터였다.


2023년 설날 친정차례상


그런데 이번 설에는 어머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며 내 의견을 물으신다. 오랫동안 고심하신 흔적이 말씀 한마디 한마디에 느껴진다. 이번 설에는 나도 암수술 후 회복 중이고 애들 아빠도 왼쪽 팔 골절로 깁스를 하고 있는 터라 이런저런 상황을 고려하셔서 심사숙고하신 후에 말씀하신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래도 늘 해오시던 건데
안하게 되면
어머님께선 서운하지 않으시겠어요?
저는 어머님께서 괜찮으시다면
그렇게 해도 좋을 것 같아요.


예전에 비하면 단출하기 그지없는 차례상 준비지만 명절 전에는 왠지 모르게 부담이 되었던 건 사실이었다. 상에 올릴 음식을 한 번에 쭉 장을 보고 끝이면 좋으련만 다 샀다 생각하고 돌아오면 술이 없고, 다시 보면 향이 없고, 상에 올리려고 찾으니 곶감이 없고 이렇게 두세 번씩 시장과 마트를 들락거려야 겨우 구색이 갖추어지곤 했다. 남편은 남편대로 큰댁에 인사를 드리고 일 년에 딱 두세 번 제사와 차례상에 올릴 지방을 쓰기 위해 화선지에 붓펜을 새로 구매해서 준비해두어야  양가에 드릴 선물에 용돈에 자잘하게 챙길 것이 많았. 게다가 차례를 지내고 나서 남은 음식을 제때에 상하지않게 먹는 것도 큰 숙제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지금은 그나마 방학이라 상황이 조금 낫지만 학기 중에 이렇게 차례상을 챙기다 보면 자질구레하게 신경 쓸 일들로 잔뜩 예민해진 나를 발견하곤 한다.


옛날 우리 어머님 들 때에 비하면 일도 아니지만 변화하는 시대에 어설프게 걸쳐있는 듯한 차례문화는 명절 때마다 우리 모두를 조선시대로 강제소환한 듯한 묘한 착각을 불러일으키곤 다. 굳이 의미를 찾는다면 아이들에게 우리만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음을 보이는 것에 의의가 있으려나.


작년에 시어머님께서집 근처 성당에서 새로이 신자교육을 받으시고 영세를 받으셨다. 전도라고 해봐야 우리 큰 딸이나 막내가 애교 섞인 말로 "할머니 성당 같이 다니자"하며 투정한 것이 전부일 텐데 스스로 입교신청도 하시고 깨알 같은 기도문과 성경을 성실히 필사하시고 개근상까지 받으시며 우등생으로 천주교에 입문하셨다. 남편은 10여 년 전에,  시어머님은 작년에 두 사람 모두 자발적으로 천주교 신자가 되었다. 먼저 성당에 다녔던 나의 신앙생활이래 봐야 주일미사나 빠지지 않는 정도로 얄팍하기 그지없는 정도였으니 이 점을 감안하면 자발적인 의지로 천주교에 입교한 두 사람은 그 사실만으로도 대단하고 고마운 일이기도 하다.


불편하고 안 맞는 관습이더라도 하던 그대로 하기 쉬운데 어머님께선  틀을 새롭게 바꾸고자 하셨다. 그런데 이렇게 제안하신 것에 왠지 모를 쓸쓸함이 서려있다. 몇 년 전 내가 제사와 차례를 우리 집에 모시고자 결단했을 때의 그 정도의 부담쯤이나 되려나 아마도 긴 세월 지켜오던 차례라는 풍습을 누구보다도 잘 아시는 이시기에  그 미묘한 시원섭섭함은 감히 짐작하기도 어려울  것이.


근데 우리 차례 안모시니까 좀 이상하다.


설날 저녁에 성당에서 미사를 드리고 근처 음식점에서 우리 식구 5명과 어머님과 점심식사를 마치고 와서 막내딸이 한 얘기다. 실은 나도 조금 이상하긴 했다. 이래도 되나 싶기도 하고.  

 

성당에서 돌아가신 분들을 추모하는 '설날 합동 위령미사'를 2시간 남짓 드리고 나니 번거로운 음식준비가 빠진 자리에 오히려 돌아가신 분들을 생각하며 추모하는 기도의 시간으로 채울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제대 앞에 놓인 향로에 분향을 하고 돌아가신 분들을 위한 기도문인 연도를 40분 남짓 바치고 난 뒤, 설날 합동 위령미사를 한 시간 정도 드리는 과정이 이어진다. 어찌보면 이런 절차가 돌아가신 분들을 더 깊이 집중해서 기억하는 시간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


 한국 천주교회 장례 문화는 ‘연도의 문화’이다. 초상이 나면 “연도 났다”라고 하고 문상 때나 기일 혹은 명절에 연도를 바친다. 연도는 우리 민족의 가락에 담긴 “죽음이 죽음이 아니요 새로운 삶으로 옮아감”(위령 감사송 1)을 노래하는 파스카의 찬가이다.
 
                                인터넷 <굿뉴스>에서 발췌


 이렇게 명절에 모든 절차에 참여해 미사를 드린 건 처음이었다. 성당 안은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참석하고 있었고 긴 시간의 절차를 다들 경건히 따르고 있었다. 한국의 전통이 종교적인 형식과 시대의 정신을 반영하여 변화하고 있음을 몸소 느낄 수 있었다. 어색하지만 새로운 형식으로 우리 집안의 전통 문화도 탈바꿈하는 현장에 서 있었다. 매우 신비스럽고 홀가분한 경험이 내 깊은 곳에 아로새겨진 색다른 시간이었.



매거진의 이전글 석파정에 가보셨나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