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자리톡 CEO 박병종 Jul 10. 2019

커리어 성장의 비밀,  미켈란젤로 마인드셋

개인의 성장을 위해 회사를 이용하자!

많은 사람들이 커리어의 성장을 원하지만 정작 어떻게 해야 성장할 수 있는지는 잘 모릅니다. 시간이 흘러 경력이 쌓인 것을 성장이라 생각하는 우를 범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성장은 시간과 마인드셋의 함수이며 시간보다 더 중요한 것은 마인드셋입니다. x축을 시간, y축을 성장(연봉)으로 한 좌표평면에 1차함수로 표현한다면 마인드셋은 기울기(방향)를 나타냅니다. 시간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주어지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흐른 후 각자 성장폭이 다른 이유는 마인드셋의 차이 때문입니다.

성장함수

나의 성장을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노동력과 임금의 등가교환'이라는 마인드셋에서 벗어나는 것입니다. 개인의 성과와 인센티브가 일대일 대응하는 조직이 아니라면 이런 등가교환 프레임은 개인의 성장을 저해합니다. 현재의 임금 수준에 나의 성장을 묶어 놓는 유리천장 효과를 내기 때문입니다. 성장을 위해선 어떤 마인드셋을 갖춰야 할까요?


회사를 이용해 인생의 역작을 만들겠다.


회사를 이용해 내 인생의 역작을 만들겠다는 마음가짐입니다. 내가 낸 아이디어가 회사를 성장시켰다면 이는 보편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작품'입니다. 미켈란젤로가 천지창조, 다비드, 피에타 등의 인류 역사에 남을 명작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은 메디치 가문의 후원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메디치 가문은 미켈란젤로의 예술 작품을 이용해 통치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가문의 권위를 높였습니다. 미켈란젤로와 메디치 가문은 각자의 이익을 위해 서로를 이용했고 그렇기 때문에 지속 가능한 관계를 맺을 수 있었습니다.


회사는 본디 직원을 이용해 성장하겠다는 목표가 분명합니다. 반면 대다수 직원이 회사를 이용해 성장하겠다는 목표가 분명한지는 의문입니다. 많은 직원들이 관심을 갖는 '연봉 상승'이라는 결과는 '개인의 성장'이라는 실체의 그림자입니다. 실체가 있으면 그림자는 반드시 따라 옵니다. 내가 성장했는데도 회사가 충분한 보상을 하지 않는다면 나를 인정해주는 회사로 가면 그만입니다.


정작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얼마나 멋진 작품을 만들 것이냐, 그 작품을 만들기 위해 회사의 인적・물적 자원을 어떻게 확보할 것이냐입니다. 매달 초 자리톡 팀원들은 회사를 성장시킬 자신만의 아이디어를 내고 함께 실행할 동료와 프로젝트 실행 기회를 확보하기 위해 경쟁을 벌입니다. 회사의 후원 속에 각자 작품 활동을 이어 나갑니다. 성공한 시도는 커리어라는 통장에 포트폴리오라는 자산으로 쌓입니다. 회사는 바뀌어도 내 포트폴리오는 어디 가지 않습니다.







자리톡의 기업문화


https://brunch.co.kr/@brunchmpto/61


https://brunch.co.kr/@brunchmpto/64


https://brunch.co.kr/@brunchmpto/65


https://brunch.co.kr/@brunchmpto/75


https://brunch.co.kr/@brunchmpto/91





매거진의 이전글 노사관계 대신 얼라이언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