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다혜 Mar 29. 2023

독설로 바꿀 수 있는 것은 없어, 긍정이 우릴 바꿀거야

드라마나 영화에 멋지다고 나오는 리더들은 다 조금 별로인 구석이 있다. 일단 매일 자리를 비우고 연애만 한다. 중요한 순간에 나타나서 한다는 일은 독설이다. ‘이게 최선입니까? 확실해요?’ 그 말을 들은 사람은 엄청나게 불안해진다. 저 한마디로 돌연 모든 게 부족하고 불확실해 지는 거니까.


아니 팀장님은 현빈도 아니면서...


사회 초년생때는 그런 리더들이 멋지다 생각했다. 그들은 계속해서 나의 부족한 점을 상기시켜주었고, 옥의 티를 찾아주었다. 그런데 뒤통수가 얼얼해진 다음 배운 것은 하나도 없었다. 남은 것은 나 자신에 대한 의심이었다. ‘나는 왜 이렇게 꼼꼼하지 못하지’, ‘앞으로 큰일에서 실수하면 어쩌지’ 회사일이라는 것이 기본적으로 무수한 입장간의 부딪힘이다. 그렇기 때문에 거기서 갈려나가는 마음(멘탈)이 있기 마련이다. 그런 너덜너덜한 상태에서 다시 나의 부족함을 직시하게 하는 것이 어떤 효과가 있을까?


이런 상황에서, Cooperrider는 긍정적 탐구(Appreciative Inquiry, 이하 AI)를 제안한다. AI는 Cooperrider가 박사논문을 쓰면서 시작된다. A라는 병원에는 해당 조직의 문제점을 찾도록 하고, B라는 병원에는 과거에 가장 성공적이었던 경험을 떠올려 긍정적 핵심(positive core)을 중심으로 조직발전 방안을 생각해보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B병원의 조직효과성이 훨씬 컸고, 이렇게 AI 이론이 생기게 된다.


과거의 문제해결지향적(problem-solving oriented) 접근점은 문제의 원인을 찾기 때문에 책임추궁과 비판이 따를 수밖에 없다. 원인에 천착하다보면 과거지향적인 관점을 갖게 되고, 미래의 계획을 세운다기 보다는 이미 나있는 구멍을 메우는 일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영화 <우리도 사랑일까(take this waltz)>(2011)의 명대사 "인생에는 빈 틈이 있기 마련이야. 그걸 미친놈처럼 일일이 다 메꿔가면서 살 순 없어."를 생각해보자.


<우리도 사랑일까(take this waltz)>의 루와 마고



모든 조직에는 구멍이 있을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어떤 리더도 어떤 시스템도 구멍을 완전히 메울 수는 없다. 또 어떤 구멍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기도 하다.


기존의 행동주의 심리학에서 조직구성원들의 행동 변화를 중요하게 생각했다면, AI는 생각과 아이디어 변화에 초점을 둔다. 오래된 이슈를 보는 데 있어서 새로운 시각을 갖추는 것(new lens for seeing old issues)을 말한다. 내부 구성원들에 의해 새로운 것이 창조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분석에서 숫자나 데이터에 초점을 맞춘다면, AI는 언어적 문화적 기반으로서 '생성적 은유(generative metaphor)'를 주목한다. 생성적 은유의 좋은 예로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들 수 있다. 끝없는 성장중심의 경제에서 눈을 돌려 결국 ESG에 이르게 해준 아주 힘이 있는 단어이다.


그렇다면 우리 조직에서 긍정적인 것이란 무엇일까? 그저 좋은 것, 잘 되는 것이라기 보다는 '생명력을 주는 것', '조직을 살리는 것'이다. 조직에 새로운 담론을 창조해내는 생성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AI는 발견(Discover), 상상(Dream), 설계(Design), 실행(Destiny)의 4D 단계를 거친다.



사실 긍정탐구는 컨설턴트나 시스템에 의존한다기 보다는 상황과 구성원에 의존한다. 그렇기 때문에 4D의 과정에는 전체 조직원이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한 생각과 경험을 가진 조직원이 모여 서로 영향을 받아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평이 넓어지는 것 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감으로 인한 조직 전체를 볼 수 있는 시각을 가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4D의 과정에서 조심해야할 것은 부정적인 감정들이다. 위험 회피 본능으로 조직원들의 시야가 좁아질 수 있다.


다자이 오사무의 글 중에 좋아하는 문장이 있다. "나는 지금까지 설교를 듣고 마음을 고쳐먹은 적이 한 번도 없다. 정말로 훌륭한 사람은 그저 미소를 지으며 내 실패를 지켜보는 사람이다. 그 미소는 참으로 깊고 맑아서 아무말 하지 않아도 내 가슴에 뭉클 와닿는다." 결코 완벽함이 조직의 목표가 되면 안된다. 완벽함의 불가능성을 알고 우리 조직만의 최고의 경험을 나눌 때 그제서야 조직은 한 뼘 더 성장할 수 있다.


글로벌 이코노믹에도 실렸습니다.

https://www.g-enews.com/article/Opinion/2023/06/202306260825487400e8b8a793f7_1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