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물여덟 살 두리의 마지막 항해 - 9
싱가포르를 떠나며 항로상에서 바지를 끌고 움직이는 예인선과 또 만난다.
싱가포르에 가까이 다가오면서 이런 비슷한 형태의 바지선과 예인선을 자주 만나고 있었기에 도대체 무엇을 싣고 움직이는 것일까? 궁금증이 들었었다. 게다가 이들은 저속으로 달리고 있어, 항로를 유지하며 서로 쫓고 쫓기듯 바쁘게 움직여야 하는 통항선 들이 만나게 되면 참으로 신경 쓰이는 골치 아픈 존재인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바쁜 해협 중의 하나인 이곳 싱가포르에서 왜 저런 바지선들이 설치고 있는 걸까?
누구에게 물어보거나 은밀히 뒤를 캐어 알아본 경우는 아니지만, 싱가포르를 떠나 서항(西航) 항로로 들어서면서 그 이유를 조금은 알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우리가 가야 하는 선수 쪽, 예전에는 그냥 바다였던 곳이 지금 한창 어둠을 몰아내는 불야성을 이루며 무척이나 바쁜 활기찬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규모의 토목공사 건설 현장이 들어서 있는 것이다. 해도를 보면 그곳은 싱가포르 주롱 지구와 연결된 바다였던 곳인데 지금은 매립을 통해 항로와 부두의 건설로 인해 그렇게 바빠있고 일부는 이미 완공되어 사용하고 있는 듯싶다.
보물섬이라면 더욱 좋고, 하여간 외따로 떨어져 누구의 간섭도 배제되는 은밀한 곳에다가 그래도 있을 건 다 있게 꾸밀 수 있는 섬 하나를 챙겨서 든든한 방파제를 쌓고 부두를 만들어 나만의 왕국을 건설해 보든 어렸을 때의 꿈을 떠 올려 본다. 치졸한 그런 꿈같은 상상 속에서나 있음 직한 건설의 현장이, 이곳 싱가포르에선 실제로 이루어지며 하루가 다르게 국토의 모양을 변모시켜 가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던 것이다. 조그마한 섬나라인 싱가포르가 그런 대규모 토목공사를 위해 수급할 수 있는 모래는 과연 어느 곳에서 조달한단 말인가?
그 대답의 배후에 그들 바지선과 그를 끌고 있는 예인선의 모습이 드러나는 것이다.
바지선이 싣고 있는 화물은 모두 새하얀 모래였다. 이런 바지선이 한 곳에서만 오는 것이 아니라 싱가포르의 동족 남중국해 바다에서도 보이고 말라카 해협에서도 보인다는 의미는 주위의 모든 국가에서 수입하는 게 아닐까? 하는 수긍을 하게 한다. 예전에 중동 건설현장으로 가는 커다란 품목의 기자재를 실은 바지선이 우리나라에서 원양 예인선으로 떠나서 이곳 싱가포르와 말라카 해협을 통항하던 시절도 있었다. 당시 그들이 출현하면 이곳을 지나가야 할 타 통항선은 예민한 신경을 쓰며 다녀야 했다.
나도 그런 경험을 해봤었지만, 지금 나타나는 모래 운반 바지선은 그 보다는 예인 선단이 소규모 이긴 하지만 시도 때도 없이 출몰하여 양적으론 다수가 되니 그때마다 통항선 항해자에게 피곤한 항해당직을 강요하는 것이다. 문득 이렇게 넓혀진 국토를 그려낼 때 기준선은 어떻게 조정되는 것일까? 하는 데 생각을 넓혀본다. 싱가포르란 한정된 땅덩이가 좁은 바다를 사이에 두고 앞쪽은 인도네시아와 국경을 마주 대하고 있고 뒤쪽 배경으론 말레이시아가 버티고 있는데 싱가포르에서 넓혀 놓은 매립지를 새로운 국경선을 산출하는 국토의 끝 단으로 선언한다면 납득이 될 수 있을까? 많은 토사를 외국에서 구입하여 바다를 메우어 땅을 일구어 내어 궁극적으로 그 땅이 새롭게 넓혀진 국토로 인정될지는 몰라도, 새로운 국경선을 산출하는 기준점으로 까지는 이웃나라들이 수용해 줄까? 의문이 남는 것이다.
기존에 확정되어 있던 그야말로 바다 위에 그어진 양국 간 각각 3마일의 폭을 가진 국경선 이거나 양측의 거리가 6마일을 넘기지 못할 경우 그 중간으로 그어졌던 국경선을 생각할 때 매립된 땅의 끝 단을 새로운 국경선을 산출하는 기준으로 인정해 주기가 상대국으로선 껄끄러운 경우가 되는 것이 아닐까 짐작해 보는 것이다.
아직은 어쨌거나 땅으로 넓힐 쪽 바다라도 남아 있으니 되었지만, 더 이상 만들어 가질 것이 떨어져 버리는 날이 되면 이웃나라에서 대규모로 땅을 매입해서 국토 편입하는 방법에 눈을 돌려야 하는 게 아닐까?(가능할는지는 몰라도) 싱가폴의 대규모 토목공사에 이런 문제점을 부각해 보며 앞날을 예측해 보는 상상이 스스로도 꽤나 흥미진진한 발상이라 여겨진다. 그동안 예인선과 바지선은 열심히 당기고 끌리며 우리 배에 가까이 다가왔다가 이제는 뒤로 빠져서 멀어져 가고 있다.
신흥 경제국가로 지칭하던 <네 마리 용> 중에서 가장 성공한 듯한 싱가포르의 활기찬 힘을 그 모래 더미를 실은 바지선의 모습에서 찾아낸 내 상상을 잠시 접어두기로 한다.
*10편에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