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월밤 Jun 03. 2024

오랜만에 만난 친구 그리고 나에 대한 걱정

오랜만에 친한 친구를 만났다. 오랜만에 낮술도 한잔 하며 이야기를 했다.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친구가 나에게 말한다.

<가끔 너의 글이나 피드를 보면 대단하면서도 정말 네가 행복할까? 행복한 거 맞겠지?>라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 아무리 미래를 위한다고 하더라도 과연 행복한 것이 맞을까라는 생각을 했다고 했다. 


친구 주변엔 수입의 50% 이상 저축하며 사는 사람이 없다고, 나 같이 사는 사람이 나밖에 없다고 한다. 

생각을 해봤다. 행복한가? 불행하진 않다. 그렇다고 안 힘든 것도 아니다. 돈을 아끼고 모으며 사는 게 쉬운 게 아니기에 늘 행복할 수는 없다. 내가 감당해야 할 부분임을 알기에 나는 기꺼이 감당하며 살아가고 있다. 


오히려 계획 없는 소비가 나에겐 더 큰 스트레스라는 것을 내가 알기에 나는 지금이 싫다고 말할 수는 없다. 

미혼인 친구와 결혼 4년 차 아이 한 명을 기르고 있는 나, 우리의 시선은 다를 수밖에 없다. 

혼자일 때 바라보는 시선인 친구에게 나의 시선을 강요할 수 없듯이, 지금 내가 살아가고 있는 이 삶을 친구도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누군가의 삶을 내가 직접 살아보지 않는 이상은 그 사람의 미래, 가치관을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3인 가족 외벌이, 아이 한 명, 50% 이상 저축은 정말 빠듯할 수밖에 없다.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럼에도 내가 꾸준히 하는 이유는 내가 나의 삶을 살아오면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에 최선을 다했을 때 쌓아지는 자산이라는 것이 보이기 때문이다. 


주변에서 다수가 <30대에 자산을 굴리기 위해 산다고? 돈이 다는 아니잖아?>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 


내가 부모의 울타리 안에서 살아갈 때는 각박한 현실이 보이지 않았다. 언젠가는 내가 부모의 곁을 떠나 독립을 해야 하는 시기가 올 수 있고, 부모가 내 곁을 떠나 내가 강제적으로 독립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올지도 모른다. 언젠가는 말이다. 사회생활을 하며 독립을 할 수도 있지만 결혼이라는 울타리를 만들며 독립을 할 수도 있다. 


나는 결혼을 하고 이 울타리를 내가 잘 만들어가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나에게 현실을 배제하고 살아간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기 때문이다.


나를 혼자 감당할 때와, 내 새끼 내 배우자가 있을 때는 천지차이가 되어버린다. 그래서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하는 것이다. 


돈이 다여서가 아니라, 할 수 있을 때 최선을 다해 종잣돈을 모으고 자산을 지키고 늘려가고 싶은 것이다. 

나는 아이가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 우리 가족에게 있어서는 종잣돈을 만들 수 있는 황금기라고 본다. 


결혼하고 한 해 한 해 지날수록 우리의 자산이 마이너스가 되었다면, 내가 지금 하고 있는 것들이 소용이 없는 것이구나 느꼈을 수도 있다.

어쩌면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는 다르게 살았던 우리였을지도 모른다. <저렇게 사는 게 행복할까?>라는 시선으로 보였을지도 모른다. 

안 힘든 것은 아니지만, 오히려 지금까지 우리가 해온 게 없었다면 더 힘들었을 것 같다. 


한 해 한 해 우리의 자산은 조금이라도 늘어났으니까, 그리고 지금 살아가는 30대에 의해 우리의 40대가 달라질 수도 있으니까 나는 지금 내가 하는 것에 최선을 다하는 것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것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