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윤여정 배우가 출연한 유튜브 영상을 보게 되었다. 만 77세, 곧 여든이 되는 중견 배우인 그녀는 마른 몸매와 스타일리시한 패션 감각, 당당하면서도 세련된 태도로 젊은 세대에게도 트렌드 세터로 인정받고 있다. 영상은 그녀의 패션 아이템에 대한 이야기로, '인 마이 백'이라는 코너에서 그녀의 개인 소지품을 엿보는 내용이었다. 샤넬, 티파니, 까르띠에 등의 명품을 사용하면서도 전혀 과하지 않게 자기만의 스타일로 소화하는 모습에 감탄하게 되었다.
예전에 인기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에서 그녀가 착용했던 옷은 바로 샤넬이다. 중산층 가정의 남편과 평등한 위치에 있는 엄마를 표현하기 위해 그녀가 선택한 샤넬은 단순한 럭셔리 브랜드의 이미지를 넘어, 오랜 시간 입어도 손색없는 단정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드러내었다. 여성스러우면서도 편안한 느낌을 주는 아이템이다. 그녀는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잘 알고, 그 이미지를 전문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여자 나이 일흔일곱. 그 나이의 나는 사회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 커리어에서 어떤 성취를 이루고 있을까?
대학에 들어온 이후로 나는 나의 취향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시작했다. 누군가의 옷을 입고 차려진 음식을 먹는 시기를 지나, 스스로 용돈을 벌고 사고 싶은 물건을 사면서 많은 시행착오를 경험하였다.
특히 동아리 활동이 내 인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 같다. 시사영어 동아리에서는 매일 수업이 끝난 후 빌려둔 강의실에 모여 영어 시사 토론을 했다. 매주 발표자를 정하고 정해진 아티클을 바탕으로 회의 진행과 토론이 이루어졌다. 단순히 영어 실력을 키우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국제 사회에 대한 시야를 넓히고자 열심히 참여했던 선배들은 졸업 후에도 좋은 성과를 이루었다.
특히 기억에 남는 것은 데뷔 칼럼을 준비하던 시기이다. 그때의 선배들은 매우 깐깐하고 까다로웠던 터라, 칼럼 발표는 마치 교수님에게 실시간 중간고사 시험 감독을 받는 것처럼 느껴졌다. 발표를 준비하면서 다른 뉴스 기사도 찾아보고, 영어 문장과 단어의 의미를 고쳐가며 자연스럽게 해석하려고 노력하였다. 발음, 톤, 예상 질문을 정리하고 프린트물도 보기 좋게 편집하였다. 그 사이 활동이 미비하다는 지적을 받기도 하였다. 동기들이 활동 기간이나 친밀도를 고려하여 발표를 진행하자고 말해주었기에 다행히도 칼럼은 무사히 진행되었다. 선배들에게 서운함을 느꼈고, 나를 지지해준 동기들에게는 미안한 감정이 들었다. 하지만 데뷔는 잘 마무리되었고, 이 경험 덕분에 후배들이나 동기의 데뷔 때는 좀 더 너그러운 선배가 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나는 한 조직이나 단체에서 인정받는 것이 그 단체의 주된 활동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그 조직의 일원으로 인정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또한, 나를 지지해주는 이들이 있기에 나의 활동이 더욱 힘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동기들은 내가 준비하는 과정을 이해해주었고, 내가 진정성 있게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주었다. 졸업 후에도 그들의 배려와 우정에 고마움을 느끼게 된다.
또한, 나의 전공과 다른 영역에서 누군가 앞에서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준비를 즐긴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글을 유려하게 쓰는 것은 부족하지만, 특정 내용을 말로 전달하는 데 자신감을 얻었다.
공대를 졸업하고 학원 강사로 일한 후, 문화콘텐츠 박사로 진로를 확장하며 문화 기획 회사를 창업하게 되었고, 여러 산업의 업체에서 마케팅 업무를 맡게 된 것은 아마 이러한 경험에서 나의 흥미와 강점을 발견한 덕분이 아닌가 싶다.
내가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 그리고 가치 있게 생각하는 것을 곰곰이 따져보자.
공자의 <논어>에 나오는 '知之者는 不如好之者요, 好之者는 不如樂之者(지지자 불여호지자, 호지자 불여락지자)'는 '알기만 하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보다 못하다.'라는 뜻이다.
나는 이 말이 알기만 하는 사람과 좋아하는 사람과 즐기는 사람이 다른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자기 스스로를 얼마나 이해하고 고민했는가 그리고 그것을 얼마나 실천했는가에 따른 단계적인 나의 모습이라고 생각한다.
나의 취향이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은 그것을 찾아 모험과 탐색을 한다. 그래서 기존의 것들을 더 깊이 있게 들여다보기도 하고 전혀 새로운 것들을 알아보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지식을 쌓아나가는 것이다. '알기만 하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일단 이렇게 발을 들여놓고 보면 그것을 좋아하는지 아닌지를 깨닫게 된다. 내가 이것을 배우고 알게 되는 시간이 너무 빨리 흐르고 더 많이 알고자 하는 욕심이 드는가 하는 것이다. 그래서 처음보다 좋아하는 것을 공부할 때는 좀 더 오랜 시간 더 좋은 성과를 거두게 마련이다.
그런데 좋아한다고 모두 잘하지는 못한다. 어떤 것이든 능력치가 한계에 다다르면 그 이상의 성과를 내기 위해서 훨씬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런데 그것을 잘하는 것은 어쩌면 태생적으로나 환경에 적응한 감각적은 것으로 유리한 사람들이 있기 마련이다. 그래서 좋아하는 사람들보다 즐기는 사람들은 '그냥'의 힘으로 무언가를 하는 사람들이다.
노력은 기본이고 좋아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숙명 같은 것으로 받아 들니 어떤 경우에라도 그 일을 해내고 마는 그런 사람들이 '즐기는 사람'이다. 분명 잘하고 싶고 재미있을 때도 있겠으나 그렇지 않은 때에도 '그냥' 그 일을 자동적으로 하게 되는 사람들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즐기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 우선은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어떤 것에는 그저 '아는 사람'으로 끝날 수 있지만 또 다른 것에는 '아는 사람'에서 '좋아하는 사람'이 되기도 한다. 그렇게 '좋아하는 사람'의 경험을 만들어 두어야 결국에 '즐기는 사람'이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처음부터 '즐기는 사람'이 되려고 하면 안 된다. 왜냐면 그럴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즐기는 사람'이 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 간략하게 다음과 같은 단계를 밟으면 될 것이다.
첫째, 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둘째, 그중에서 내가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을 찾기 위한 방법에 대해 오랜 기간 고민해 온 야기 짐페이의 <세상에서 가장 쉬운 하고 싶은 일 찾는 법>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이 나온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알아보기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답을 하면서 찾을 수 있다.
- 돈을 지불하고서라도 배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지, 책장에는 어떤 장르의 책이 있는가.
- 내가 이것을 하게 되어서 다행이라고 여긴 장르나 물건 혹은 분야가 무엇인가.
- 감사인사를 하고 싶은 직업이 무엇인가.
- 역설적으로 세상에 대한 분노를 느낀 일이 무엇인가.
내가 잘하는 것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것을 돌이켜 보면 된다.
- 내가 가장 충실했던 경험이나 반대로 짜증 났던 상황은 언제 인가; 내가 잘하기 때문에 더 집중할 수 있었고 다른 사람이 그 수준이 아니라서 답답하고 짜증이 났기 때문
- 당장 일을 그만두더라도 더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가
- 지금까지 성과를 냈던 일이 무엇이었는가
- 나를 잘 아는 이들이 말하는 나의 장점은 무엇인가
- 잘하는 것은 버릇 같은 것으로 내가 언제나 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므로 자주 하는 것은 무엇인가
- 나의 단점에 대해서는 '오히려'를 붙여보기 ; 어떠한 단점에 대해 '오히려' 이러이러해서 좋아.라고 장점을 찾을 수 있다.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중에 무엇을 선택하면 좋을까라는 질문을 많이 한다. 대개는 돈을 벌기 위해서는 잘하는 것을 택하라고 한다. 그런데 오래 하려면 잘하는 것 중에 좋아하는 것을 찾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내가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을 이해했다면 그중에 나의 성향, 가치관과 맞는 것을 택해야 한다. 일은 삶의 일부이고 삶의 목적과 궤를 함께 해야 비로소 오랜 기간 보람을 찾으며 행복하게 일할 수 있다.
나의 가치관은 다음과 같은 형용사들로부터 찾을 수 있다.
- 자녀에게 조언을 해줄 때 가장 권하고 싶은 행동이 무엇이고 그렇지 않은 행동이 무엇인가
내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 이상향과 가치에 맞는 것이 필요하다. 정직하고 성실이라는 가치관이 크다면 리스크가 큰 일보다는 안정적이면서 기복이 크지 않는 일이 맞을 수 있다. 반대로 새로움과 시행착오에서 발전하는 것에 큰 가치를 두는 사람이라면 발전 가능성과 긍정적인 파급력을 만들어 내는 일과 같은 것이 좋을 수 있다.
즉, 내가 꾸준히 행복을 위해 하고 싶은 일을 찾기 위해서는 내가 잘하는 것, 내가 좋아하는 것, 나의 가치관에 맞는 것의 교집합을 찾으면 된다. 만약 지금 당장의 나로부터 이런 교집합이 찾아지지 않는다면 나의 가치관을 나침반 삼아 그 방향에서 나의 좋아하는 것을 찾고 그중에 내게 맞고 잘하는 것을 접목하면서 능력치를 오려나가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러니 나의 커리어가 지금 조금 꼬여있다고 해도 속상해하지 말자. 어차피 100살까지 살 것이라면 이왕 사는 거 좀 더 내가 진짜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살면 좋지 않은가. 주눅 들어 기한번 못 펴는 아낙네를 연기하더라도 샤넬을 입어주는 자존감 짱짱한 여배우처럼 우리는 우리가 좋아하고 잘하는 것 안에서 스스로의 가치관을 반짝일 수 있는 일을 찾아 집중하고 확신을 가지면 된다.
비로소 행복 지도 워크 시트 4
-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