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Choiss Nov 16. 2021

'용역' 아닌 '컨설팅'으로| 도시재생 마인드

도시재생 (뉴딜)사업에서는 항상 압축된 시간과 과정으로 활성화계획을 속성으로 수립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당연히 효율적인 계획 수립을 위해 수많은 '용역' 발주가 이루어진다. 자연스럽게 입찰을 통해 선정된 계획 수립 회사는 ‘용역업체’가 되고 주민들에게도 그렇게 소개된다.


사실 용역업체라는 말은 행정 입장에서만 바라본 편향적 용어이다. 자신들이 일정 금액의 대가를 지급하여 계약을 맺고 활성화계획 또는 제안서를 작성해 주는 ‘용역’을 실행하는 회사로서 대하겠다는 것이다. 물론, 타 부서들에서 발주되는 사업 업무는 행정과 그 회사, 관련 부서와 협의를 거쳐서만 진행하므로 당연히 ‘용역’을 수행하는 회사인 것은 맞다. 행정이 요구하는 것을 전문성과 경험을 기반으로 '용역'을 통해 일대일의 관계에서 일을 진행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도시재생사업은 이보다 다자간 협의와 합의를 통해 진행하는 경우이다. 즉, 활성화계획 수립 과정에서 주민들과 지역단체들, 그리고 다양한 행정 조직들 간 의견과 사업들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지역재생 계획과 실행, 운영방안을 합의 및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정의 역할을 하기도 하고, 전문가의 관점에서 제안하고 설득하기도 해야 한다. 또한 타 분야 전문가들의 자문을 얻어야 하므로 단순한 ‘용역’을 수행한다는 것보다 지역에 대한 세밀한 ‘컨설팅’을 진행한다는 표현이 더 적합할 것이고 그렇게 존중 받아야 한다. 물론 용역업체는 종합적인 ‘컨설팅’을 진행하는 마음으로 '영혼' 있는 조사, 제안, 협의, 계획을 수행해야만 한다.


반대로 단순히 ‘용역’이라는 틀에 용역사나 행정, 주민들의 관념이 갇히면, 그저 에산을 유치할 활성화계획 보고서를 작성하는 '업무'만 강조될 수 있다. 복잡한 주민들의 의견 수용과 협의보다, 단순히 아이템 중심 사업들만 일률적 논리로 제안하게 된다. 또한 주민들은 용역사의 의견을 수용해야 예산을 따올 수 있다는 수동적 태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결과만 강조되는 ‘용역’인지, 아니면 과정을 강조하는 ‘컨설팅’인지에 따라 활성화계획은 빛 좋은 개살구가 될지, 돈이 투입되는 순간 폭발하는 갈등의 불씨가 될지, 아니면 새로운 희망의 동기가 될지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지역 문제를 진단받고 현안을 드러내며 해결할 방법을 ‘함께’ 고민하는 활성화계획 수립 과정은 행정, 주민, 용역사가 생각해 왔던 그 관행적 '용역'의 개념과 태도를 '컨설팅'으로 바꾸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본 글은 '도시재생 후진지 되지 않기(유룩출판, 2020)'의 내용을 수정, 정리한 것임

이전 11화 도시재생 ‘포켓마스터’가 되자 | 도시재생 마인드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