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Opellie Oct 23. 2019

제도 그리고 사람

없어짐을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제도

학교를 다니면서 "제도"라는 단어를 머리 한 켠에 넣고 다니고 있습니다. 이전까지 보이는 것, 들리는 것에 대해 HR이라는 눈으로 바라봐왔다면 이를 제도라는 눈으로 바라보는 연습을 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을 겁니다. 어느 분의 제도에 대한 글을 마주했습니다. 특정 제도의 필요성을 부인하면서 그 제도가 필요없는 이유로 사람에 의한 잘못된 운영 가능성을 이야기하고 있었습니다. 현실적으로 이는 부인할 수 없는 일일 겁니다. 실제 빈번히 일어나고 있고 그래서 결국 특정 제도가 잘못되었다거나 우리 기업에 맞지 않다는 결론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우리는 생각보다 많이 경험해온 까닭입니다. 그래서 그 제도를 왜 만들고자 하는가? 그 제도를 만들고자 함에 있어 특정 개인의 이익이 개입되어 있지는 않은가? 를 제도를 만들 때 늘 고민해야 하고 더불어 제도가 그 운영 과정에서 잘못된 형태로 운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소통'을 어떻게 이어가야 할까?를 늘 고민해야 합니다. 제도 바라보는 이론가가 아닌 실무자로서 가지고 있는 생각입니다.


국내에 BSC를 도입했던 어느 기업에서 실제 그 제도를 직접 공부해서 적용했다고 했던 분의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었습니다. 담당자가 직접 공부하고 제도를 이해하고 그 제도를 운영했던 까닭에 제법 잘 운영되었지만 해당 담당자 퇴사 이후 제도가 본래 취지와 맞지 않는 모습으로 바뀌었고 '기존과 별 다를 바 없다'는 말들이 나오기 시작했다는 이야기입니다. 대상은 다르지만 저도 비슷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당시 HRIS(Human Resource Information System의 약자)라 불렀던 인사시스템을 만들었을 때 일입니다. 해당 시스템 구축 단계부터 참여를 했고 그래서 구축 이후에도 제가 실무자와 개발자 간 소통 창구 역할을 하고 있었지요. 시스템 구조를 알고 있기에 자료를 전달하거나 개발을 요청할 때 어느 정도 제 단계에서 조율이 가능했고 system이 일정 수준의 일관성이 유지될 수 있었지만 제가 다른 계열사로 이동하고 난 이후 그 소통 창구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시스템이 복잡(?)해지기 시작했던 경험입니다.


제도는 없어질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닐까?

일전에 'HR의 목적은 HR이 필요없는 상태를 만드는 것'이라는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HR이 결국 HR제도를 통해 움직임을 생각해 보면 제도 역시 '없어질 것을 목적으로 만드는 것'이라 말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제도는 인위적입니다. 인위적이라는 건 방향성을 가진 '의도'를 가지고 있음을 말하고, 따라서 그 인위성과 맞지 않는 누군가의 입장에서 그 제도는 불편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겁니다. 경우에 따라  그 인위성과 맞지 않음 판단 이전에 그 누군가가 경험해 본 적이 없다는 이유로, 즉 낯설다는 이유로 제도 자체에 대해 거부의 몸짓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중요하다고 말하고 싶은 것이 바로 제도가 가진 '취지'와 그 취지를 전달하는 방법론으로서 '소통'입니다.


왜 하는가?

제도를 왜 만드는가? 즉 제도를 통해 만들어지는 인위성이 필요가 없어지면, 다시 말해 구성원의 재량에 기반한 행동이 제도의 취지에 벗어나지 않는다면 제도는 그 목적을 달성하게 되며 더 이상 필요가 없는 존재가 됩니다. 제도란 없어질 것을 최종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라 말하는 이유입니다. 물론 현실적으로 쉬운 일은 아닐 겁니다. 우리가 익히 아는 것처럼 소통이란 우리가 그 단어를 말하는 것보다 훨씬 어렵고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왜 하는가?를 잊어버리면 그 소통은 오히려 독이 됩니다. 잘못된 왜 하는가?를 전달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왜 하는가?가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이것이 우리가 관행에 빠질 가능성을 줄여줄 수 있가는 점에 있습니다. 제도의 취지와 다른 방향으로의 운영형태가 발생했을 때 제동을 걸 장치이기도 합니다. 이 개념은 우리가 아는 "우리가 제대로 나아가고 있음"을 확인해주는 KPI와 같은  기능입니다. 제도의 why가 제대로 소통되면 제도 자체가 하나의 KPI기능을 할 수도 있음을 의미합니다. 개인적 견해로 우리 나라는 이 부분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해왔고 못하고 있었고 그 상태가 제법 지속되어왔던 모습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일단 왜 하는가?에 대해 제도 자체에 대한 이해가 아닌 개인적 이익 관점에서 해석되어온 측면이 있고 설사 그 본래의 why를 알더라도 선뜻 누군가에게 why라는 단어를 이야기하지 못해온 우리들의 인식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언젠가 누군가는 바꿔야 할 모습이기도 하죠. why를 말하는 게 무례하거나 잘못된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것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말이죠.


제도가 만들 구체적 상태를 그려보기

제도를 만들 때 범하기 가장 쉬운 오류 중 하나가 지금 당장의 마주한 이슈의 해결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A라는 누군가가 일탈행위를 했다면 기준을 만들어 그 A의 행위를 대상으로 제도나 기준을 만드는 것입니다. 제도는 일회성이 아닌 방향성을 가진 도구이므로 특정 행위가 발생했다면 그 행위만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그 방향성이 추구하는 미래의 '상태'를 같이 그려보아야 합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동일한 혹은 유사한 행위가 이번 건에 대한 처벌이나 강제에 끝나지 않고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도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제도를 통해 만들고자 하는 미래의 구체적 상태를 그려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상태를 만들기 위해 제도의 모습과 운영의 모습, 그리고 소통의 방식이 어떻게 되어야 할까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  


제도와 사람, 그리고 사람과 제도

제도가 먼저인지 사람이 먼저인지 그건 모르겠습니다. 중요한 건 이들이 계속 영향을 주고 받으며 서로의 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이고 그러한 영향관계가 더 이상 필요없는 시점에 도구로서 제도는 사라지리라는 것입니다. 누군가를 통제하기 위한 제도가 아니라 선의지에 기반해 선한 영향을 만들어가기 위한 도구로서 제도를 꿈꿉니다. 


감사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외형적 강함과 내재화된 강함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