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디자이너도 분석할 때
제품 출시 전이나 막상 출시는 했지만 수집된 데이터가 적을 때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막막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제가 도움받았던 것은 경쟁사를 분석해보는 방법이었습니다. 현재 시장에 살아남은 경쟁사들의 면면이 곧 데이터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보통 한국에서는 조직 내 기획팀이 있는 경우 경쟁사 분석을 디자이너가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최근 기획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디자이너가 기획에 가담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경쟁사 분석에 대해 알아두면 좋은 시대가 온 것 같습니다. 참고로 이 글은 UX적인 경쟁사 분석에 초점 맞춰져 있고 기초적인 내용만을 다루고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지금부터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쟁사 분석이 필요한 이유는 ‘진짜’ 경쟁사를 분류하고 강점과 약점을 팀 내 공유하기 위해서입니다. 경쟁사를 잘 이해할수록 이길 가능성이 높은 것은 상식입니다. 하지만 *프레임워크 위에서 생각하지 않을 경우 강점과 약점 그리고 경쟁사를 팀원들이 서로 다르게 인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프로토타이핑 툴 Justinmind의 마케팅 편집자 Steven Douglas는 우리가 UX를 위해 경쟁사 분석을 해야 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시장에서 통용되는 사용성(*멘탈 모델)을 발견하기 위해
우리 서비스의 사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목표를 발견하고 집중하기 위해
서비스가 시장 어디쯤 위치한 지 이해하기 위해
경쟁사의 강점과 약점을 알기 위해
우리 제품의 장단점을 파악하기 위해
제품의 기능 변경 시 신뢰할 수 있는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프레임워크(Framework): 제각각 나열된 정보들을 특정 사고체계에 맞춰 분류하고 인식하는 과정
*멘탈 모델(Mental Model): 인터페이스가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할 것이라 유추하는 인간의 사고 과정. 여기서는 특정 도메인의 관습적 UX에 해당한다.
조금 더 현실적인 접근을 위해 가상의 부동산 서비스 "A"를 상정하고 상황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서비스 A는 국내를 타깃으로 하는 부동산 앱이다.
런칭한지 얼마 되지 않았다.
앱 리뷰에서 사용성이 떨어진다는 피드백을 많이 받고 있다.
개선해야 하는 기능 파악이 안 되고 있다.
경쟁사 분석을 통해 서비스 A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했습니다.
시장의 멘탈 모델을 파악해, 우리 서비스에 부족한 점을 인식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성을 개선해 부정적인 사용자 피드백을 줄인다.
A는 부동산 앱 시장에 통용되는 멘탈 모델을 파악해 서비스에 부족한 점을 개선하고자 합니다. 우선 직/간접 경쟁자 목록을 작성해보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서비스의 '진짜' 경쟁자를 발견하고자 합니다.
직접 경쟁자: 시장에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유사한 가격과 동일한 제품을 제공하는 서비스들
간접 경쟁자: 현재 수익 창출 방법은 다르지만 잠재적인 경쟁자가 될 수 있는 서비스들
간접 경쟁자에 선정한 두 서비스(네이버 지도, 당근 마켓)는 부동산까지 확장될 기회가 있다고 생각해 선정했습니다. {뇌피셜 주의}
네이버 지도: 아파트명을 검색하면 '위치 정보'뿐 아니라 부동산 정보까지 볼 수 있음.
당근 마켓: '내 근처' 탭 속 동네 기반 ‘부동산' 카테고리가 존재. 현재 활발히 서비스되고 있음.
경쟁자 선정이 완료되었다면 기능을 비교할 수 있는 차트를 제작합니다. 우선 서비스를 사용하는 소비자에게 유용한 기능과 UX 목록을 선정합니다. 모든 기능을 다 비교해보면 좋겠지만 시간적으로 한계가 있습니다. 만약 이번 앱 업데이트 목표가 '개인화'에 있다면 로그인의 유무나 소셜 기능, 프로필 사진처럼 관련 사항을 중심으로 비교해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아래는 간략히 만들어본 기능 비교 차트입니다.
저는 고객이 부동산을 더 자세히 검색할 수 있는 필터와 검색 기능, 상세 페이지에서 개인 SNS로 공유할 수 있는 기능과 서비스하는 OS 등을 비교해보고 싶었습니다. 비교 차트를 통해 필터 기능과 검색 기능은 직접 경쟁자들이 모두 갖추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부동산 앱인데 필터와 검색 기능이 빠져있다면 사용자가 멘탈 모델 부조화를 느낄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습니다. 만약 서비스 A에 두 기능 중 하나가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 우선순위를 높여 보완하는 계획이 생길 수 있겠네요.
간접 경쟁자 당근 마켓에는 핵심 서비스인 중고거래와 관련한 필터 기능은 존재하지만 부동산 서비스만을 위한 필터 기능은 따로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흥미롭게도 페이스북 같은 SNS에 정보를 직접 공유하는 기능은 직접 경쟁자 중 직방과 호갱노노만 갖추고 있었습니다.(일반적으로 기능 비교는 아래 예시처럼 다양하게 진행합니다.)
기능 비교가 충분히 되었다면 항목을 만들어 문장화 시킵니다. 아래 예시에는 서비스 간 강점과 약점, 가격, 소셜 미디어와 온보딩 경험 등을 다루었네요. 이후 조직 내 해당 사항을 공유하고 피드백을 통해 더 발전된 논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작업을 반복합니다.
이외에도 수많은 경쟁사 분석 기법이 존재합니다. 그중 참고할 만한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SWOT 분석은 가장 대중적인 분석 프레임워크입니다.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의 머릿글자를 모아 만든 단어로 경쟁사 분석뿐 아니라 경영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만들어진 분석 도구입니다. 아래 예시처럼 4분면으로 나눠 각 면에 내용을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Ecommerceceo.com의 창업자 Darren은 자신의 블로그에 SWOT 분석 시 우리의 강점이 아닌 경쟁 업체의 강점에서부터 시작하라고 조언합니다. 경쟁 업체가 나머지 서비스들과 차별되는 점은 무엇이고, 또 빛을 발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아래 리스트는 Darren이 제안하는 SWOT 분석 시 고려 사항입니다.
회사의 규모
주요 타겟층
제공되는 서비스
배송되는 시간
가장 중요한 가치
시장 점유율
가격대
품질 관리 기준
SWOT 분석은 제품 설계 시 영향을 미치는 내부(강점과 약점)와 외부(기회 위협)를 평가하는데 적합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네 가지 범주로 요소가 제한되는 것은 가설을 지나치게 단순화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이야기합니다. 특히, Matrix를 구분해 사고하는 것이 실무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분석 기법을 사용할 때는 항상 비판적인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겠네요.(디자이너의 생각정리 도구로는 꽤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아래 SWOT 분석에 관해 잘 정리된 아티클이 있어 첨부합니다.
https://brunch.co.kr/@choihs0228/35
보스턴 컨설팅 그룹에서 만든 BCG 매트릭스는 한 기업이 보유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위에서 잠시 다룬 당근 마켓을 예로 들면 대표 서비스인 중고 거래가 존재하고 부동산, 중고차, 세탁, 과외 같은 하위 서비스들이 존재합니다. 이 서비스들은 저마다 시장에서의 상황과 위치가 다를 것입니다.
아래 예시에서 BCG 매트릭스의 세로축은 시장 성장률, 가로축은 시장점유율을 나타냅니다. 이 분석법에도 SWOT 분석과 유사하게 4분면이 등장하는데 개, 캐시카우, 별, 물음표라는 기호가 등장합니다.
별(Star): 시장성장률과 시장점유율이 모두 높은 사업입니다. 기업을 대표하는 핵심 사업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캐시카우(Cash Cow): 수익성은 가장 높지만 성장률은 낮은 사업입니다. Star였던 사업이 시장 성장이 약화됨에 따라 캐시카우가 되기도 합니다.
개(Dog): 시장성장률과 시장점유율이 모두 낮은 사업입니다. 장래성이 없어 시장에서 철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음표(Question Mark): 시장성장률은 높지만 시장점유율이 낮은 사업입니다. 경영 여부에 따라 Star가 되기도 Dog가 되기도 합니다. 점유율을 높이지 못하면 지속적인 현금 유출로 조직 내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BCG 매트릭스를 우리 기업이 가지고 있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단순히 기호화시키는데 그쳐서는 안 된다고 말합니다. 이 기법은 각 면에 위치한 기호를 어떻게 조금 더 나은 상황(Dogs를 Cash Cow로, Question Mark를 Star로)으로 만들 수 있을까에 대한 '핵심 질문'을 찾는 데 있습니다.
위치 매핑이라고도 하는 지각 매핑은 경쟁 업체 사이의 내 위치를 시각화한 것입니다. 이는 대중적 인식 맵이라고 할 수 있으며, 성질이 다른 두 개 축에 의해 설정됩니다. 예를 들어 가격 vs 품질 혹은 영양소 vs 맛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맛과 영양소에 대한 지각 매핑입니다. 우유나 치즈 같은 제품들이 떠오르네요.
전문가들은 지각 매핑이 고객의 구매 결정 요소를 두 개의 축으로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점을 비판합니다. 조금만 생각해봐도 우리가 특정 상품을 구매하는 이유란 굉장히 복잡 미묘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방법을 실무에서 사용해본 적은 없지만, 비교군이 많아야 그나마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반적으로 관련 데이터 수집에 있어 다른 방법보다 비용이 많이 든다고 하네요.
실무를 진행하며 다양한 분석 기법을 만나왔지만 그 자체로 완벽한 것은 거의 없었습니다. 분석 기법은 복잡하고 역동적인 시장 상황을 지나치게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디자인에 분석 기법을 활용할 때는 적절한 거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이 주제를 다룬 이유는 조사를 통해 디자이너가 다양한 사실들을 배워나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검증된 분석 기법을 적절히 활용해보는 것은 인지 편향을 멈추고, 디자인에 논리를 부여할 수 있는 중요한 장치라고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0분 만에 읽는 경쟁사 분석 방법(끝)
[참고 자료]
https://uxplanet.org/top-things-to-know-about-ux-competitive-analysis-d91689fd8b36
http://meetcontent.com/blog/conducting-a-competitive-analysis/
https://curatti.com/how-to-conduct-a-competitive-analysis-in-marke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