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동진 Jan 14. 2023

리메이크 영화의 과욕과 밋밋함

넷플릭스 영화 '레베카'(2020) 리뷰

굳이 원작 소설이나 히치콕의 1940년작과 비교 않더라도, <레베카>(2020)는 어느 쪽으로도 그 방향성이 모호한 리메이크다. (여러 해외 매체에서는 이 영화가 그 존재 이유를 입증하지 못한다며 혹평하기도 했다) 맨덜리 저택에 들어선 이후 잘 나가는 듯 보이던 서스펜스는 주인공 '나'(릴리 제임스)의 탐정 수사극처럼 변모하는가 싶더니 이내 로맨스로 향하고, 이 변화를 호의적으로 보기에는 초반 '나'와 '맥심'(아미 해머)의 관계 진전이 다소 급진적이다. 설득력이 없는 게 아니라 감정을 쌓아갈 시간이 너무 부족했다는 뜻이다. 한편 뮤지컬 관객들 사이에서 '진짜 주인공'으로 손꼽히는 '댄버스'(크리스틴 스콧 토머스) 역시 좋은 연기에도 불구하고 그 카리스마가 빛을 발하지 못한다. 가면무도회처럼 현대적으로 신경 쓴 몇몇 좋은 장면들도 눈에 들어오지만 부분적으로만 시선을 잡아 끌 뿐, 이 밋밋함의 원인은 어디서 찾아야 할까.


영화 '레베카' 스틸컷


문제는 극을 이끌어가는 '나'와 '맥심'의 캐릭터 자체에서 느껴진다. 우선 아미 해머의 연기는 내내 어딘가 경직되어 있다는 인상을 주는데, '나'를 향한 '맥심'의 태도는 '레베카'의 영향을 고려하더라도 중반까지 불분명하다. 감정을 전달하기보다 그 의중을 암시만 하는 듯 보인다. 맨덜리 저택의 모든 것에 짓눌려 있는 '나' 역시 종종 그 태도를 짐작하기 어려운 모습을 보이는데, 이쪽은 릴리 제임스의 연기 문제가 아니라 각본 자체의 난점에 가깝다. 가령 '잭 파벨'과 말을 타는 장면은 불필요하게 길고, 보트하우스에 사는 '벨' 역시 실질적으로 별 다른 역할을 하지 않는 데도 카메라가 그를 공들여 포착한다. (여담: 이 저택의 개는 왜 두 마리일까? 한 마리는 전혀 비중이 없다.)


각색의 방향은 전반적으로 '나'의 주인공으로서의 역할을 부각하는 쪽으로 맞춰져 있는데, 이것 역시 결과적으로 영화에 한 번도 등장하지 않는 '레베카'의 존재감을 상대적으로 퇴색시킨다. 서사를 이끌고 감정을 주도하는 주인공의 역할이 불필요한 것이 아니라, 이것이 기존 <레베카>(1940)의 장점을 퇴색시키는 쪽으로 귀결된다. 그 결과 맨덜리 저택 내부는 충실하게 구현되어 있음에도 화려한 미술과 분장, 의상 등이 그 진가를 발하지 못하고, 오히려 본격적인 무대가 펼쳐지기 전인 프랑스 남부의 오프닝이 더 기억에 남는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작품 중에는 좋은 안목과 뛰어난 협업으로 탄생한 멋진 결과물이 많다. 그중에는 고전이나 유명 프랜차이즈를 활용한 경우도 있다. 우리는 <스타 이즈 본>(2018)이나 <작은 아씨들>(2019)처럼 근사한 리메이크 사례를 알고 있으므로, 리메이크 영화의 목적이 모두 상업성이나 추억팔이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아쉽게도, <레베카>는 이쪽에 포함시키긴 어려울 것 같다. (2020.12.11.)


https://class101.net/ko/products/6358b8eaa5cc3b001500cb5e


영화 '레베카' 국내 포스터

https://www.netflix.com/title/81002196


*본 글은 <아레나 옴므 플러스> 2021년 1월호에 기고한 글입니다.

https://www.arenakorea.com/arena/article/47091



*인스타그램: @cosmos__j

*모임/강의 등 공지사항: bit.ly/cosmos__j

매거진의 이전글 내 취향을 더 단단하게 만드는 문화 콘텐츠 리뷰 쓰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