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단휘 Oct 02. 2024

#30 첫 만남

2024년 10월 2일 수요일 갑진년 계유월 기해일 음력

새로운 사람을 만나게 되었을 때, 그 사람을 기억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이름은 무엇이며 어떻게 생겼고.... 다음에 만났을 때는커녕 몇 분 정도 지난 뒤에도 그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곤 한다. 특히 개인으로 만나는 게 아니라 집단으로 처음 만날 경우 그중 누군가를 기억한다는 것은 기대하기 힘들다. 혹자는 집단 내 한두 명만 기억해도 본전이다, 라고 주장하지만 난 그 한두 명 기억이 안 된다. 한 번에 많은 정보가 들어왔을 때 특유의 정신없음으로 인해 모든 정보가 뒤섞이고 누가 누구인지 알 수 없게 되어 버린다.


한 번은, 집단으로 만났지만 아예 한 명에게 집중해 버린 적도 있다. 언젠가 베이킹 프로그램에 참여하러 갔을 때도 명씩 나눠 쓰는 게 있고, 네 명씩 나눠 쓰는 게 있었다. 난 우리 테이블에서 새로 만난 세 명을 모두 기억할 자신이 없기에 오직 옆사람에게만 집중했다. 이 사람 한 명 정도는 기억해 보자고. 그렇게 통성명도 하지 않은 채 그 사람 자체를 기억해 보았다. 그리고 얻은 의외의 성과는, 누군가에 대해 어느 정도 익숙해지고 나서 이름을 들으면 이름을 먼저 들었을 때보다 기억에 잘 남는다는 사실이다. 이름이 궁금해질 때쯤 들어야 쉽게 기억한다.


듣자 하니 사람을 기억할 때 사진처럼 기억하는 자도 있고 보이지 않는 무언가의 집합으로 기억하는 자도 있는데, 나는 후자에 가까울 것이라더라. 설명을 듣고 보니 맞는 말 같다. 사진처럼 기억하는 사람은 지난번 만남과 이번 만남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대의 달라진 점을 쉽게 찾아낸다고 한다. 나 같은 경우에는 자주 만나는 사람이 머리를 숏컷으로 자르거나 파마나 염색을 해도 쉽게 인지하지 못하지만 말이다. 어쩌면 이름을 나중에 들었을 때 더 잘 기억하는 것도 새로운 이름에 보이지 않는 무언가를 쌓아가는 것보다 이미 쌓여서 하나의 인물을 구성하고 있는 정보에 그 사람의 이름으로 라벨링을 하는 편이 더 수월해서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더라. 다수의 사람을 한 번에 만났을 때 잘 기억하지 못하는 것도 각 사람이 가진 보이지 않는 무언가에 대한 정보가 뒤섞여서 개개인을 이루기 힘들기 때문이겠지.


언젠가 이름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내가 좋아하는 사람과 비슷한 이름이라면 좋은 첫인상으로 시작하고, 꺼려하는 사람과 비슷한 이름이라면 좋지 못한 첫인상으로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고 했는데, 이건 비단 이름만 그런 것은 아니다. 왠지 나에겐 외형의 첫인상보다 이름의 첫인상이 더 강하게 작용하지만, 외형의 첫인상도 무시할 수 없는 영역이다. 아는 사람을 닮은 외형을 가졌다면 그 사람의 인물 정보를 기반으로 새 정보 집합을 만드는 건가, 하며 IT업계의 fork라는 개념과 상속이라는 개념을 떠올려 본다.


무엇보다 누군가를 처음 마주했을 때, '이 사람은 내 친구는 되기 어렵겠구나'라던가 '적당히 거리를 두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식의 인식이 되는 경우가 있다. 살면서 쌓여 온 인간에 대한 빅데이터로 인해 긍정적인 부분보다는 부정적인 부분에서의 무의식적인 경고가 나오는 것 같다. 머릿속에 그런 경고가 뜨지 않은 사람하고는 그럭저럭 잘 지내는 편이다. 경고가 뜬 사람은... 그럭저럭 잘 지내보려고 하는데 항상 결국엔 일이 터지더라. 드물게 '이 사람 좋아!'라는 식의 긍정적인 반응이 오기도 하는데 거의 발생하지 않는 일이다. 그리고 발생한다면... 당신은 나에게 유의미한 존재로 남을 확률이 높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