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해치지 않아> 리뷰,
참신한 발상X훈훈한 메시지

동물 없는 동물원이 탄생했다. <해치지 않아>는 "그 누구도 동물원에 가짜 동물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라는 발상으로 시작된동물원 직원들의 '극한 직무'를 그린 영화다.


참신한 소재만으로도 호기심을 자극했던 <해치지 않아>. 망하기 일보 직전인 '동산파크'에 원장으로 부임한 변호사 '태수'는 남은 직원들에게 팔려간 동물 대신 동물탈을 쓰고 고객을 유치하자는 엉뚱한 발상을 제안한다. 직원들의 반응은 제각각이다. 동물원을 살리기 위해서라면 뭐든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서 원장'과 '건욱', 절대 관둘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한 '해경'과 달리 수의사 '소원'은 미친 발상이라고 말한다.



이 발상은 양면성을 지닌다. 직원들의 '동물원 살리기 프로젝트'라는 야심이 담겨있는 동시에 관람객을 우롱하는 짓이기도 하니까. 하지만 이 우롱은 관람객은 물론 관객까지 유혹하는 데 성공했다. '과연 먹힐까'라는 우려가 '대박'으로 향하는 기적의 과정은 흥미진진하다. 황당무계한 발상, 쉴 틈 없이 이어지는 좌충우돌 사건사고들은 코미디와 서스펜스를 오가는 쫀쫀함을 선사한다.



<해치지 않아>는 단순히 웃기기만 한 영화는 아니다. 인간이 직접 동물이 되어보는 역지사지를 통해, 동물원에 갇힌 그들의 현실을 풍자한다. 동물이 제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는 이유로 닥치는 대로 쓰레기나 음식물을 던지거나 제 식대로 살아가는 동물을 단순한 오락거리로 생각하는 관람객들의 모습을 통해 인간의 이기심을 풍자한다. 갇혀 살아가는 동물의 고통은 직원들의 극한 직무와 대구를 이룬다. 뿐만 아니라, 눈 앞의 이익을 위해 소중한 것들을 등한시하는 지저분한 현실도 고발한다.


이 영화는 재미와 감동을 두루 갖춘 코믹드라마다. 쉴 틈 없이 웃기지만 그 속에 알알이 박인 메시지는 반성과 감동을 선사하는 <해치지 않아>. 온 가족이 함께 관람하기에 좋은 영화다.

매거진의 이전글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우리 모두의 로맨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