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상추꽃 Sep 24. 2020

취준생에 대한 오해



일반 시험 접수와 달 취준생 필기시험을 볼 자격이 처음부터 주어지 않는다. 그전에 자기소개서 회사에 대한 철저한 자료조사와 내가 살아온 인생을 녹여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다. 시험장에 들어갈 수 있을지 모르는 상태에서 하루 종일 독서실에서 필기시험 공부를 한다. 과목도 회사마다 들쑥날쑥이다. 기본 인적성 시험에 한국 시험을 보는 기업도 있고, 시사경제를 보는 기업도 있고, 관광학을 보는 기업도 있다. 하지만 그렇게 몇 점 차이로 험만 좋아할게 아니다. 그저 면접 볼 자격이 주어지는 것일 뿐, 그때부턴 또 제로베이스니까. 접은 보통 최대 3차까지 있고 그렇게 최종적으로 뽑히는 사람은 종종 한 자릿수 실상 말실수 한 번에 아웃될 수 있다. 황이 이렇다 보니 회사 하나에 정말 뼈를 깎는 노력이 투입된다. 

 

회사가 여러 개라는 뜻은  끔찍한 작업을 수십 번 반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상황을 얼마나 쉽게 생각했으면 '회사가 하나도 아닌데 괜찮지 않냐'는 말이 나올까 싶어 순간 울컥했었다. 그 '많은' 회사 중에 왜 한 군데도 못 붙는지, 어차피 기회가 '많이' 남아있는데, 떨어지면 그냥 다른데 '' 쓰면 되데 왜 상심하는지 이해 못하는 뉘앙스를 풍기는 사람들이 그땐  원망스러웠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